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 정서에 맞는 무용수 개발에 도움을 주며, 다양한 어린이무용극 작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18년 11월 12일∼29일 동안 전문무용수 15명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어린이무용극에서 춤과 구연동화의 역할 및 효과, 무용공연을 수행하는 무용수가 느끼는 구연동화에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심층 면담의 중심적인 내용을 텍스트마이닝 분석으로 데이터를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무용극에서 구연동화는 무용수의 표현적인 움직임을 전달, 무용극을 장으로 나누어 스토리 전개를 연결, 구연동화의 스토리 전달이 극의 사실감을 높이고, 장면을 연결, 어린이 관객의 지루함을 방지하여 공연의 이해도를 높이고 몰입감 있게 만드는 역할이다. 구연동화의 효과는 구연의 요소가 감정을 전달, 장면 전환의설명, 코믹하고 마임 같은 동작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무용수의 움직임과 캐릭터를 부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둘째, 구연 의지 및 긍정적 인식, 잘못 표현된 구연 설명과 비중의 문제, 구연동화에 의한 춤의 변위, 구연동화의비중에 대한 대안이 도출되었다. 결론: 구연동화는 어린이무용극에서 어린이 관객의 작품 이해와 극의 스토리 전개에 도움을 주는 역할과 무용수의 감정전달, 움직임, 캐릭터를 부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어린이무용극에서 구연동화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무용수도 구연에 의존하여 마임적인 움직임과 표현을 대신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반면, 대안으로 춤의 움직임에 충실한 작품개발의 필요성과 충분한 예산, 시간 등의 제약조건의 문제가해결된다면 어린이무용극의 구연동화와 구연의 도움 없이 춤으로만 어린이무용극을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제시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라인댄스 파티참여자의 참여몰입이 스트레스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immersion of line dance party participants 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강은주, 최성애 p. 1-17
시대변천에 따른 여성 롱 헤어의 커트 형태에 대한 분석 = Analysis of the cut shape of female long hai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 focusing on the 1970s, 1990s, and 2020s : 1970년대, 1990년대, 2020년대를 중심으로 박장순 p. 49-60
중년여성의 건강을 위한 한국기본춤 동작연구 = A study on Korean basic dance movements for middle-aged women’s health 백현순 p. 61-73
체육계열 대학생의 코로나19에 관한 은유분석 = A metaphor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on COVID-19 양은심, 김진아 p. 75-86
무용지도자가 인식하는 노인무용교육지도자의 유형과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dance education leaders recognized by dance leaders 이연정 p. 87-104

PBL 무용교육 연구동향 고찰 = A study on PBL da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이해원 p. 105-117
어린이무용극에서 춤과 구연동화의 역할 연구 = A study on the role of dance and storytelling in children’s dance drama : 대전시립무용단 '춤으로 그리는 동화’ 중심으로 이현수, 정은혜 p. 119-129
성인여성들의 16주간 유산소 운동이 성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16 weeks of aerobic exercise on sex hormone changes in adult women 임동현, 전유정 p. 131-144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를 통해 본 상상의 변이와 철학적 함의 = Variation of imagination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seen through Matthew Bourne’s <Swan Lake> 전효정 p. 145-156
놀이 중심의 초등학교 체육수업에 대한 탐구 = Exploration of play-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고미경, 배명훈, 김영식 p. 19-33
여성노인의 헬스케어를 위한 우리 춤 체조 개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and gymnastics for the elderly women health care 박은지 p. 35-47
NFT 기반 예술시장 동향분석 및 디지털 무용작품 시장의 가치와 전망 = NFT based art market trend analysis and digital dance market value and prospects 정유진 p. 157-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