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영화 서사 공간과 사회 실천 간의 상호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리한 공간이론은 앙리 르페브르에 의해 제안된 것이며 영화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르페브르의 ‘3차원 공간’ 이론에 기반하여 영화 작품 『만강홍(滿江紅)』의 구체적인 텍스트를 분석하고 장이머우(張藝謀) 영화의 서사 공간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르페브르의 공간이론에 따라 영화 서사 공간을 물질적 공간, 정신적 공간, 사회적 공간으로 구획하고, 각 공간 형태에 서로 다른 서사 임무를 수반하는데, 영화의 서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제한한다. 장이머우의 영화 『만강홍(滿江紅)』은 서사 측면에서 고도로 공간화되어 있으며, 서사 공간이 캐릭터 이미지 구축을 위한 기초, 영화 서사 구조 원칙, 영화 주제의 상징적 이미지가 되어 매력적이면서도 색다른 공간 담론의 장을 형성한다.

Lefebvre's space theory has expanded a new direction for film studies, and can effectively analyze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film narrative space and social practice. The thesis is based on Lefebvre's "three-dimensional space" theory as a logical deduction, and under the perspective of the film "Lefebvre's space theory", the paper divides the film narrative space of "Man Jianghong" into material space, spiritual space and social space. Different spatial forms carry different narrative tasks, directly affecting and negating the narrative of the film. The "Man Jianghong" directed by Zhang Yimou is highly spatialized in terms of narrative. The narrative space has become a reference for character image creation, the structural principle of film narrative, and the symbolic image of the film's theme, creating an exciting field of spatial languag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억 매체로서의 디지털 게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igital games as memory media : focusing on the game 'My Child Lebensborn' : 게임 'My Child Lebensborn'을 중심으로 이승제, 성민영, 배상준 p. 1-19
빈발 패턴 기반 효율적인 그래프 스트림 요약 기법 = Efficient graph stream summarization scheme based on frequent patterns 김상혁, 이현병, 최도진, 임종태, 복경수, 유재수 p. 20-32

한국전통목조건축유산의 가상복원을 위한 HBIM 적용 방안 = Application of hbim for virtual restor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heritage 강혜리, 변혜빈, 이종욱 p. 33-42
메타버스기반 중·장년층 평생교육 = Lifelong education for older adults on metaverse : contents creator : 콘텐츠 크리에이터 이정미 p. 43-52
<유미의 세포들> 시청자 반응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연구 = A text-mining analysis of viewer expression on Yumi's Cells 박진우 p. 53-64
중국 무형문화유산 목판연화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디자인 전략 연구 = Research on design strategy of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w year woodblock pri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based on the case of Yangliuqing new year woodblock prints : 양류청 목판연화 사례를 중심으로 양징먀오, 장주영 p. 65-82
어포던스 기반의 한·중 대형 병원 앱 인터페이스디자인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interface design for large hospitals in Korea and China based on affordance theory 시우동, 오치규 p. 83-94
KANO 감성추출 요소를 활용한 골프퍼트 제품조형 연구 = A study on the product formulation of golfput using KANO emotional extraction elements 기육철, 김기수 p. 95-105
상상적 미디어와 미디어 고고학적 예술 = A study on the imaginary media and media archaeological art : focusing on Krzysztof Wodiczko’s artworks : 크지슈토프 보디츠코의 작품을 중심으로 도혜민, 신형섭 p. 106-114
영상화된 공연 콘텐츠를 둘러싼 주요 쟁점과 과제 = Key issues and challenges surrounding filmed performance content 김수진 p. 115-123
그로테스크의 웃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Grotesque's laughter : focusing on <Gold Rush, 1925> : '황금광 시대’를 중심으로 김성호 p. 124-135
자전적 연극의 창작과 무대형상화 = The autobiographical theatre’s creative production : research for the piece of <Madvedenko> : 연극 <Mad베젠꼬>에 관하여 우혜민 p. 136-146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이론에 기반한 영화 『만강홍(滿江紅)』 서사 공간 연구 = Research on the narrative space of the movie "Manjianghong" from the perspective of Lefebvre's space theory 이도, 한창완 p. 147-158
분석적 사고와 뉴스 정확성 탐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tic thinking and detection of news accuracy :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need for cognitive closure : 인지적 종결 욕구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차영, 박혜경 p. 159-175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결과 피드백 시스템 구성요소 도출 및 프로토타입 개발 = Identification of components and development of prototype for a core competency assessment feedback system for university students 이혜정, 임상훈 p. 176-185
프라이버시 관여도와 기술 신뢰도가 인공지능 기술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rivacy involvement and technology trust on AI perception : a focus on mediating roles of emotional responses : 감정 반응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전종우, 이종윤 p. 186-196
대학 인구교육 익명 토의에서 나타난 남녀 대학생이 인식하는 성별에 따른 어려움과 젠더 균열 = Gender difficulties and gender cleavage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in anonymous discussion of university population education 심준영 p. 197-206
공무원 영어시험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의 시험 준비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civil service English exam preparation process 강세라 p. 207-219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실재감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resence on academic performance in non-contact university courses 윤은주, 배대권 p. 220-232

구성주의 원리 기반 온라인 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structivist principle-based learning on learning achievement in an online environment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load : 인지부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우, 최윤영 p. 233-241
졸업생 삶을 통한 대안교육 가능성 이해 = Understanding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education through the graduate’s lives 허창수 p. 242-253

직장인의 마음챙김과 삶의 만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workers :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and personality variability : 핵심자기평가와 성격변산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박지훈 p. 254-267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과 창업자기효능감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 and entrepreneur self-efficacy on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ducation : 혁신역량의 매개효과 및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석조, 현병환 p. 268-283
지역활성화를 위한 과학문화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science and culture programs for local revitalization : focusing on science and culture regional centers :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 중심으로 이승현 p. 284-294
중소벤처기업의 역량과 아웃소싱 전략이 경영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outsourcing strategy of SM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전수성 p. 295-303
코로나19 발생 이후 상장 관광기업의 경영성과와 주식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 A case study on analyz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and stock value of listed tourism corporations after COVID-19 occurrence 김수정 p. 304-316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Korean wave, Hallyu 변상규, 박천일, 방우리 p. 317-325
접근성을 고려한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권역의 사회경제적 격차 및 영향요인 = Socio-economic gap and influencing factors in urban living zone parks supply areas considering accessibility 문지영 p. 326-340
도시개발사업에서 생활 접근성이, 주거만족과, 주거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living accessibility, housing satisfaction, and housing value in urban development projects 이호진, 이명훈 p. 341-355
Green food purchase behavior and subjective well-being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marketing = 경험 마케팅 시각에서의 녹색 식품 구매 행동과 주관적 웰빙 영향요인 연구 Wei-Jia Li, Ming-Xian Jin, Zi-Yang Liu p. 356-369
중국 왕홍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wanghong's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 in China based on the reliability and brand attitude mediation effect : 신뢰와 브랜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평평, 남인용 p. 370-381
3차원 감성 모델을 기반으로 한 중국 문화창의제품의 디자인 전략 연구 = Research on the design strategy of Chinese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under the three-layer affective model : take the mini table lamp series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of the palace museum as an example : 고궁박물원의 무드등디자인 시리즈를 중심으로 장송, 김세훈 p. 382-395
영화 도입부-결론부 비유사성이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film introduction-conclusion dissimilarity on its success 황혜원, 장수령, 이채현 p. 396-406
(The) effects of review quantity and review similarity on Chinese consumers’ perceived product popularity and purchase intention = 리뷰의 수와 유사성이 중국 소비자의 제품 인기 지각과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Shilei Huang, Mira Lee p. 407-418
수입국의 디지털 인프라가 크로스보더 온라인 쇼핑 구매 결정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imported country's digital infrastructure on cross-border e-commerce decision-making : evidence from Chinese cross-border online retailing : 중국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에 기반한 근거 왕옥진, 왕지안 p. 419-431
사회적경제기업의 디지털전환이 시장지향성을 통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on performance through market orientation 이은경, 서영욱 p. 432-444
사카이미나토(일본) 크루즈 기항지의 중요도-성취도 분석(IPA) = Importance-achievement analysis(IPA) for Sakaiminato(Japan) cruise port 이창복, 도연진 p. 445-458
보육교사와 원감, 원장의 영유아 교재교구 관련 인식 및 어린이집 운영효율성에 대한 영향을 근거로 한 교재교구 관리의 필요성 분석 = Analysis of the need for teaching materials management based on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education supervisors and principals, and regarding teaching materials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their impact on daycare center operation efficiency 이재무, 조경서 p. 459-470
Evaluation of anti-melanogenic properties of Korean galangal (Alpinia officinarum Hance) = 한국산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의 미백효과 Hyosun Lim, In Young Bae p. 471-482
병원 코디네이터에 대한 의료미용고객의 지각된 진정성과 경험 및 신뢰와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uthenticity and experience and trust of medical beauty customers for hospital coordinators 윤두윤 p. 483-490
학생, 보호자, 교사 비교를 중심으로 본 서울시 지역교육복지센터 성과분석 = Performance analysis on Seoul regional education welfare centers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students, guardians, and teachers 전구훈, 김희찬, 유호선 p. 491-500
청소년지도사가 지각하는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between youth work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주은지, 최인선 p. 501-512
노인요양시설 시설장의 위기상황 경험과 대처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A grounded theory study on crisis experience and response process of an elderly care facility director 서영식, 이윤정 p. 513-525
사회적 처벌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 연구 = Research on ethical issue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social punishment : via how medieval witch hunts work : 중세 마녀사냥 작동방식을 경유하여 김세연 p. 526-536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유형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강선경, 서상형 p. 537-546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감소된 헌혈율의 해결 방안 = Solutions to reduced blood donation rates due to COVID-19 pandemic 김소미, 김한아, 이근태 p. 547-554
코로나-19 유행 전 후 중증응급질환자의 임상적 특성 비교 분석 =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evere emergency patients before and during COVID-19 pandemic periods 김동훈, 장태창 p. 555-565
간호교육을 위한 VR 에듀테크 콘텐츠 디자인 = VR EdTech content design for nursing education : based on the educational types, human factor, and experience : 학습유형과 휴먼팩터, 경험을 기반으로 김정기, 장인규 p. 566-577
소아청소년에서 인슐린 저항성 지표 HOMA-IR과 중성지방-공복혈당지수와의 관련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HOMA-IR(insulin resistance) and TyG(triglyceride-glucose) index in healthy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권세영 p. 578-585
동작관찰훈련이 병행된 상지로봇치료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움직임의 질적수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upper limb robot therapy with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limb fuction, quality of movement, muscle activa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a pilot study : 예비연구 양윤모, 박주형 p. 586-599

참고문헌 (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亞裏士多德, 物理學, 張竹明譯, 商務印書館, pp.100-103, 1982. 미소장
2 H. S. 塞耶, 牛頓自然哲學著作選, 上海人民出版社, p.20, 1974. 미소장
3 劉懷玉, 陶慧娟, “理解列斐伏爾:以黑格爾—馬克思—尼采的<三位一體>為主線,” 山東社會科學, 第7期, p.55, 2018. 미소장
4 馬塞爾, 馬爾丹, 電影語言, 何振淦譯, 中國電影出版社, p.183, 1992. 미소장
5 龍迪勇, “尋找失去的時間——試論敘事的本質,” 江西社會科學, 第9期, pp.48-53, 2000. 미소장
6 孟君, “空間的消隱和浮現——論電影的<空間轉向>,” 江漢論壇, 第4期, pp.88-91, 2014. 미소장
7 陳旭光, “中國電影的<空間生產>:理論、格局與現狀—以貴州電影的空間生產為個案,” 當代電影, 第6期, pp.4-10, 2019. 미소장
8 巴拉茲, 貝拉, 電影美學, 何力譯, 中國電影出版社, p.28, 2003. 미소장
9 Lefebvre, The Production of Space (English Version), Oxford UK & Cambridge USA: Blackwell, p.33, 1991. 미소장
10 韓君倩, “語言與舞臺空間·銀幕空間,” 當代電影, 第5期, pp.85-87, 1994. 미소장
11 林葉, “城市人類學再思:列斐伏爾空間理論的三元關系、空間視角與當下都市實踐,” 江蘇社會科學, 第3期, pp.130-131, 2018. 미소장
12 林葉, “城市人類學再思:列斐伏爾空間理論的三元關系, 空間視角與當下都市實踐,” 江蘇社會科學, 第3期, pp.130-131, 201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