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영화 서사 공간과 사회 실천 간의 상호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데 유리한 공간이론은 앙리 르페브르에 의해 제안된 것이며 영화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르페브르의 ‘3차원 공간’ 이론에 기반하여 영화 작품 『만강홍(滿江紅)』의 구체적인 텍스트를 분석하고 장이머우(張藝謀) 영화의 서사 공간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르페브르의 공간이론에 따라 영화 서사 공간을 물질적 공간, 정신적 공간, 사회적 공간으로 구획하고, 각 공간 형태에 서로 다른 서사 임무를 수반하는데, 영화의 서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제한한다. 장이머우의 영화 『만강홍(滿江紅)』은 서사 측면에서 고도로 공간화되어 있으며, 서사 공간이 캐릭터 이미지 구축을 위한 기초, 영화 서사 구조 원칙, 영화 주제의 상징적 이미지가 되어 매력적이면서도 색다른 공간 담론의 장을 형성한다.
Lefebvre's space theory has expanded a new direction for film studies, and can effectively analyze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film narrative space and social practice. The thesis is based on Lefebvre's "three-dimensional space" theory as a logical deduction, and under the perspective of the film "Lefebvre's space theory", the paper divides the film narrative space of "Man Jianghong" into material space, spiritual space and social space. Different spatial forms carry different narrative tasks, directly affecting and negating the narrative of the film. The "Man Jianghong" directed by Zhang Yimou is highly spatialized in terms of narrative. The narrative space has become a reference for character image creation, the structural principle of film narrative, and the symbolic image of the film's theme, creating an exciting field of spatial language.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亞裏士多德, 物理學, 張竹明譯, 商務印書館, pp.100-103, 1982. | 미소장 |
2 | H. S. 塞耶, 牛頓自然哲學著作選, 上海人民出版社, p.20, 1974. | 미소장 |
3 | 劉懷玉, 陶慧娟, “理解列斐伏爾:以黑格爾—馬克思—尼采的<三位一體>為主線,” 山東社會科學, 第7期, p.55, 2018. | 미소장 |
4 | 馬塞爾, 馬爾丹, 電影語言, 何振淦譯, 中國電影出版社, p.183, 1992. | 미소장 |
5 | 龍迪勇, “尋找失去的時間——試論敘事的本質,” 江西社會科學, 第9期, pp.48-53, 2000. | 미소장 |
6 | 孟君, “空間的消隱和浮現——論電影的<空間轉向>,” 江漢論壇, 第4期, pp.88-91, 2014. | 미소장 |
7 | 陳旭光, “中國電影的<空間生產>:理論、格局與現狀—以貴州電影的空間生產為個案,” 當代電影, 第6期, pp.4-10, 2019. | 미소장 |
8 | 巴拉茲, 貝拉, 電影美學, 何力譯, 中國電影出版社, p.28, 2003. | 미소장 |
9 | Lefebvre, The Production of Space (English Version), Oxford UK & Cambridge USA: Blackwell, p.33, 1991. | 미소장 |
10 | 韓君倩, “語言與舞臺空間·銀幕空間,” 當代電影, 第5期, pp.85-87, 1994. | 미소장 |
11 | 林葉, “城市人類學再思:列斐伏爾空間理論的三元關系、空間視角與當下都市實踐,” 江蘇社會科學, 第3期, pp.130-131, 2018. | 미소장 |
12 | 林葉, “城市人類學再思:列斐伏爾空間理論的三元關系, 空間視角與當下都市實踐,” 江蘇社會科學, 第3期, pp.130-131, 201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