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Bigdata 분석과 인공지능을 적용한 시설물 건립 GIS 최적화 연구 = GIS optimization of facility implement using big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곽은영 ; 박대우 1

요약 1

ABSTRACT 1

Ⅰ. 서론 2

Ⅱ. 선행 시설물 건립 GIS 최적화 분석 2

2.1. 선행연구 및 배경 검토 2

2.2. 국내 선행연구의 생활 SOC 선정 범위 3

2.3. 생활 SOC별 최소기준 설정 3

2.4. 접근성 분석 및 취약지구 선정 4

Ⅲ. GIS 공간정보의 지역 공간 분류 및 검출 4

3.1. 공간 DB 데이터셋 준비 5

3.2. 데이터의 사전처리 5

3.3. GIS 공간정보의 지역 공간 분류 및 검출 5

3.4. 항공영상 분석에 대한 검증 7

3.5. 분석 결과의 활용 7

Ⅳ. 결론 8

REFERENCES 8

[저자소개] 9

초록보기

한국에서는 시설물을 건립하기 위하여 타당성 분석을 한다. 현재 시설물의 후보지나 미흡지 분석을 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는 인력을 이용하여 가공하고 전문가의 알고리즘분석을 통한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 시설물 허가가 진행되는 방법으로 수행하고 있다. 만약, 모바일이나 Web을 접속하여 시설물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예상 시설물의 GIS 데이터를 수집에서 분석까지 자동화하여 서비스를 한다면, 의사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시설물 건립에 대한 모바일이나 Web에서 미흡지 Bigdata를 분석하고 최적의 지점을 도출하여, 시설물 허가를 온라인으로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구 정보 데이터와 네트워크 데이터를 기반으로 Bigdata 분석한 정보와 항공영상 등 공간데이터를 활용한 최적 지점 분석을 위해 객체 검출 딥러닝 알고리즘인 YOLO와 Faster R-CNN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며, 웹과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최적 지점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전국 멧돼지 잠재서식지 예측을 위한 군집 및 서식적합성 분석 = Cluster and habitat suitability analysis for nationwide wild boar (Sus scrofa) potential habitat prediction 백경열, 김호걸, 박현준, 김유진, 정승규 p. 1021-1029

보기
공감 및 구체적 설명 생성 우울증 챗봇 구현을 위한 모델 기초 연구 = A basic model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depression chatbot to generate empathy and specific explanations 황새연, 오하영 p. 1030-1036

보기
멀티모달 AI 기반 Mobile 앱 UI/UX 모델 연구 = UI/UX model of mulit-modal AI-based mobile APP : focusing on senior-friendly services of bank APPs : 은행 앱의 고령 친화적 서비스를 중심으로 양은미, 박대우 p. 1037-1043

보기
Bigdata 분석과 인공지능을 적용한 시설물 건립 GIS 최적화 연구 = GIS optimization of facility implement using big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곽은영, 박대우 p. 1044-1052

보기
빔 조향에 따른 레이다 성능 변화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variation of radar performance according to beam steering 박명훈, 김정, 전우중, 권세웅, 이기원 p. 1053-1059

보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고 연령층 수면-각성 감지 알고리즘 개발 = Development of a sleep-wake detection algorithm for the elderly using 3-axis accelerometer in wearable device 박범준, 남보름, 이종실, 김인영 p. 1060-1069

보기
풀링이 없는 분기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한 딸기 과육 분할 = Strawberry flesh segmentation using branc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ithout pooling 이은주, 민정익 p. 1070-1077

보기
다중경로 환경에서의 레이다 성능 분석 도구 개발 및 활용 = Radar performance analysis tool in multipath environment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박명훈, 김정, 전우중, 권세웅, 이기원, 김상현 p. 1078-1086

보기
탄도탄 조기 경보 레이다 성능 분석 도구 개발 및 활용 = Ballistic missile early warning radar performance analysis tools : development and utilization 박명훈, 고진용, 김정, 권세웅, 이기원 p. 1087-1097

보기
플래시 사진과 필터 조합을 통한 비플래시 사진의 개선 = Improvement of no-flash image by flash image and filter combinations 김석준, 김진욱 p. 1098-1104

보기
Measurement of web application usability using heuristic evaluation method = 휴리스틱 평가 방법을 이용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측정 Nanda Fanzury, Aria Bisma Wahyutama, Mintae Hwang p. 1105-1116

보기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람 행동 인식 심층신경망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uman behavior recognition deep neural network using smartphone acceleration sensor 이종찬, 송특섭 p. 1117-1122

보기
모바일 고해상도 카메라를 활용한 숏폼콘텐츠 영상편집 특성에 관한 연구 =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content video editing using mobile high-resolution cameras 이준상 p. 1123-1130

보기
효율적인 단거리 기상 레이다 모의 신호 발생 방법 = The efficient simulation method for generation of a short range weather radar signal 이종길 p. 1131-1139

보기
SVM을 이용한 동형암호화된 신용평가 모델 학습 = Privacy-preserving credit scoring via support vector machine training with homomorphic encryption 이은민, 이주희 p. 1140-1145

보기
임베디드 시스템 내장형 소프트웨어 오류에 의한 오동작 감지용 실시간 전류/전압-레벨 패턴모니터링 및 비교시스템 = Run-time current/voltage-level pattern monitoring and comparison system for detecting malfunctions by embedded system software errors 이상훈, 박대진 p. 1146-1157

보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GNSS 위치 데이터 분석 = Analysis for GNSS location data of Android smartphones 유동희 p. 1158-1165

보기
플립러닝으로 진행되는 교과의 출석률에 따른 강의 만족도 = Lectures satisfaction with according to attendance rate of courses conducted by flipped learning 최진호 p. 1166-1171

보기
제한적 탐색 범위를 갖는 저 복잡도 그래프 신호 샘플링 알고리즘 = Low-complexity sampling of graph signals with limited search range 김윤학 p. 1172-1177

보기
부산광역시교육청-지역대학 공동교육과정 사례 분석 (다(多)고른 캠퍼스-영상 제작의 이해) = Analysis of joint curriculum case betwee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local university (Dagoreun Campus - understanding of video production) 박성대 p. 1178-1185

보기
몰입형 가상현실 환경에서 감각 전이에 관한 영향 분석 = Effects on sensory transfer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Dong-Youp Lee, Dongsik Jo p. 1186-1189

보기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J. J. Cho,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Living SOC,” Korean Society of Land and Public Law, vol. 90, no. 1, pp. 173-198, 2020. 미소장
2 KRIHS, Strategy for the Provision of Social Infrastructure at the Regional Level. (2019. November) [Internet]. Available: https://www.krihs.re.kr/publica/reportView.es? mid=a10102000000&num=000003627583. 미소장
3 KRIHS, Land Issue Report, Is Basic Living SOC Available within 10 Minutes? [Internet]. vol. 2, pp. 1-7, Oct. 2018. Available: https://www.krihs.re.kr/gallery.es? mid=a10103080000&bid=0024&list_no=27785&act=view. 미소장
4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PRIME MINISTER'S SECRETARIAT, (2019, April)Three-year life SOC plan (proposal)(2020-2022) [Internet]. Available: https://www.opm.go.kr/opm/info/policies.do? mode=view&articleNo=121270&article.offset=40&articl eLimit=10. 미소장
5 KRIHS, Land Policy Brief, A New Alternative to Private Investment Projects, Living SOC, (2019, June) [Internet]. Available: https://www.krihs.re.kr/gallery.es?mid=a10103050000&bid=0022&list_no=27414&act=view. 미소장
6 Korea Planning Association. (2021, January) A Study on t he Establishment of a Spatial Model for Win-Win Devel opment in the Age of Population Reduction [Internet]. pp. 158. Available: https://www.codil.or.kr/filebank/original/RK /OTKCRK210767/OTKCRK210767.pdf?stream=T. 미소장
7 H. E. Jo, and J. H. Nam, “A Study on the Scope of Life SOC and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by Type and Region - Focusing on the Facilities Status of Life SOC in Gyeonggi-do and its Improvement Plan,”Urban Design,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vol. 20, no. 5, pp. 33-52, 2019. DOI: 10.385195/judik.2019.10. 20.5.33. 미소장
8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2018) Basic Policy for National Urban Regeneration [Internet]. Available: https://www.codil.or.kr/viewDtlConRpt.do?gubun=rpt&p MetaCode=OTKCEC211204. 미소장
9 R. Girshick, “Fast R-CNN,” in Proceedings of th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Santiago:Chile, pp. 1440-1448, 2015. DOI: 10.1109/ICCV.2015.169. 미소장
10 J. Redmon, S. Divvala, R. Girshick, and A. Farhadi, “You only look once: Unified, real-time object detection,”in Proceedings of the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Las Vegas, NY: USA, pp. 779-788. 2016. DOI: 10.1109/CVPR.2016.91. 미소장
11 Z. Wu, X. Chen, Y. Gao, and Y. Li, “Rapid Target Detection in High 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s Using YOLO Model,”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XLII-3, pp. 1915-1920, May 2018. DOI: 10.5194/isprs-archives-XLII-3-1915-2018. 미소장
12 L. Zhao and S. Li, “Object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Improved YOLOv3,” Electronics, vol. 9, no. 537, pp. 1-11, Mar. 2020. DOI: 10.3390/electronics9030537. 미소장
13 E. Y. Kwak, and D. W. Park, “A Study on GIS Optimization of Facility Implement using Bigdata A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ience, Osong: Korea, pp. 204-206 202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