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호주장로회는 1946년 4월 한국선교회의 재건을 목적으로 한국상황을 조사하기 위한 2명의 대표를 파송했다. 그리고 한국전쟁 직전까지 2명의 목사와 3명의 여선교사들이 부산을 중심으로 한국선교회를 복구하려고 노력했으나 인력과 재정이 어려웠다. 1950년대에 19명의 선교사가 파송되었고 1960년대에 30명의 선교사가 파견되었다.
호주선교회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과거의 선교역량을 회복하지 못했고, 특수한 분야에 집중하는 선교를 했다. 전쟁 과정에서 일본으로 피신한 여선교사들은 일본의 한인을 위한 사역을 했다. 전후에 부산과 마산을 중심으로 여선교사들은 유치원 사역, 여성 죄수 방문과 교육, 출옥여성을 위한 재활시설 운영, 통영·거제·거창·진주 지역에 대한 광범위한 순회전도를 했고, 성경통신과정을 실시했다. 1952년 설립된 일신부인병원은 전쟁의 참화 중 부산지역에서 가난하고 소외된 여성과 어린이를 돌보고, 의사와 조산사를 훈련시키는데 가장 큰 공헌을 했다.
호주선교회는 장로교 선교회들의 지역 경계를 없애고 각 지역에서 인력과 재정의 불균형을 극복하자고 제안했다. 이것은 “현지교회 중심 선교방법”과 연결되어 1964년 장로교 통합총회 안에 협동사업부를 설립하게 했다. 모든 선교회들의 재정은 일원화 되었고 총회산하 협동사업부에서 집행하게 되었다. 1960년대 이후 호주선교회는 영등포산업선교회와 민주화운동을 지원했고, 장애우 재활을 위한 양지기술학교 운영, 소외된 여성을 보호하고 보살피는 여성 재활선교를 지원했으며, 신학교육에서 일정한 공헌을 했다. 호주선교회는 소외된 약자와 여성, 사회정의에 대해 일차적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신학적으로는 복음전도를 강조하면서도 에큐메니컬한 특성을 강조하였다.
The Australian Presbyterian Church sent two representatives in April 1946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in Korea with the aim of rebuilding the Korea Mission. Prior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wo pastors and three female missionaries made efforts to revive the Korean Mission Church, focusing mainly in Busan, but they faced difficulties in terms of manpower and finances. In the 1950s, 19 missionaries were dispatched, and after 1960, 30 missionaries were sent.
The Australian Mission was unable to recover its missionary capabilities after World War II and focused on specialized areas of mission work. The Female missionaries who sought refuge in Japan during the Korean War engaged in ministry for the Korean community there. In the post-war period, female missionaries centered their activities in Busan and Masan, engaging in extensive itinerant work in areas such as kindergarten ministry, visiting and educating women prisoners, operating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released women prisoners, and conducting widespread evangelistic tours in Tongyeong, Geoje, Geochang, and Jinju. Established in 1952, Ilsin Women's Hospital made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 in caring for impoverished and marginalized women and children in the Busan area during the chaos of war, while also training doctors and midwives.
The Australian missionaries proposed eliminating regional boundaries among the Presbyterian Missions and overcoming imbalances in manpower and finances in each region.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department within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1964, which was connected to the "Local Church-Centered Mission Method." All mission churches' finances were centralized and managed by the Cooperative Work Department under the General Assembly. Since the 1960s, the Australian Mission has supported the Yeongdeungpo Industrial Mission an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operated a vocational school for disabled individuals, supported women's rehabilitation mission for marginalized women, and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ological education. The Australian Mission had a primary focus on marginalized individuals, women, and social justice. Theologically, it emphasized evangelism while also highlighting ecumenical characteristic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진일보한 선교정책," 「기독공보」1964년 5월 30일. | 미소장 |
2 | Brown John, 정병준 옮김, 『은혜의 증인들』(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9). | 미소장 |
3 | 김정일, 『한국기독교 재건교회사 Ⅱ』(서울: 여울목, 2018). | 미소장 |
4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편, 『한국교회와 호주교회 이야기』(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12). | 미소장 |
5 | 양명득, 『호주선교사 존 브라운』(서울: 한장사, 2013). | 미소장 |
6 | 양명득, 『호주선교사 열전-진주와 통영』(서울: 동연, 2019). | 미소장 |
7 | 양명득, 『호주선교사 열전-부산과 서울』(서울: 동연, 2021). | 미소장 |
8 | 양명득, 『호주선교사 열전-마산과 거창』(서울: 나눔사, 2023). | 미소장 |
9 | 이임하, “피난지 부산에서의 조산사 양성-일신부인병원을 중심으로,” 「항도부산」43(2022.2). | 미소장 |
10 | 정병준, 『호주장로회 선교사들의 신학사상과 한국선교 1889-1942』(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 미소장 |
11 | “F.M.C Notes”(May 1954). | 미소장 |
12 | “From Dr. Helen and Sister Cath Mackenzie”(Aug. 1952). | 미소장 |
13 | “John Brown’s address in Annual Meeting 1966”(Dec. 1966). | 미소장 |
14 | Brown, Norma R. “Masan Livestock Project”(July 1968). | 미소장 |
15 | Dunn, E. “Korean Christian in Japan: Meet Some members of the Yokohama Congregation”(Feb. 1951). | 미소장 |
16 | Huntley, Martha, “Home of Grace Austrailian Mission Story”(Nov. 1966). | 미소장 |
17 | Mackenzie, Helen, “The Strange Korea of Today”(Jun. 1952). | 미소장 |
18 | Withers, M., “Koreans in Japan”(Dec. 1950). | 미소장 |
19 | Withers, M., “News from Tokyo”(Oct. 1951). | 미소장 |
20 | Withers, M., “The House of Hope”(Nov. 1953). | 미소장 |
21 | “Minute of Presbyterian Council, Sep. 1960, United Presbyterian Mission, Seoul.” Korea Files-Presbyterian Council. | 미소장 |
22 | “Minutes of the Study Conference of the Presbyterian Council Taejon, Korea, Jan. 12, 1962.” Korea Files-Presbyterian Council. | 미소장 |
23 | “Presbyterian Council Minutes, Sep. 20, 1961.” Korea Files-Presbyterian Council. | 미소장 |
24 | “Presbyterian Council Minutes, Sep. 2-5, 1958.” Korea Files-Presbyterian Council. | 미소장 |
25 | “Report of the Joint Deputation to Korea(Jan. 9, 1948),” Korea Materials 1948. | 미소장 |
26 | Adams. Edward., “Report on Korea(Jan. 15, 1946),” Korea Materials 1946, 1 of 4. | 미소장 |
27 | Emmons, Peter E., “Signs for Our Times,” Outreach(Dec. 1947), Korea Materials 1947, 2 of 3. | 미소장 |
28 | Hooper, J. L., “To the Korea Mission(Jun. 29, 1945),” Korea Materials 1945, 1 of 2. | 미소장 |
29 | Hooper, J. L., “To the Korea Missionaries(Jun. 14, 1946),” Korea Materials 1946, 2 of 4. | 미소장 |
30 | Hooper, J. L., “To the Missionaries on Furlough from Korea(Jun. 15, 1944),” Korea Materials 1944. | 미소장 |
31 | Hooper, J. L., “To the Missionaries on Furlough from Korea(Mar. 8, 1945),” Korea Materials 1945, 1 of 2. | 미소장 |
32 | Korea Mission of Presbyterian Church USA. “Survey 1947,” Korea Materials 1947, 1 of 3. | 미소장 |
33 | Presbyterian Deputation in Korea. “Recommendation to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Oct. 20, 1947),” Korea Materials 1947, 1 of 3. | 미소장 |
34 | “Directory Missionary in Korea(Jan.1, 1949).” | 미소장 |
35 | Minute Book Korea and Other Sub Committees, Sep. 25, 1945-Oct. 5, 1951. | 미소장 |
36 | Minutes Foreign Missions Committee, Feb. 2, 1945-July 1964. | 미소장 |
37 | The Proceedings of Presbyterian Church in Victoria 1945-195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