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2022년까지 나온 문준경의 생애에 관한 각종 자료들을 총 동원해서 문준경의 생애를 재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룬 생애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문준경의 고향과 집안 내력, 어린 시절과 결혼생활, 문준경의 회심, 신학생 시절과 전도사 사역, 마지막 순교. 본 연구가 향후 생애 연구와 전기서 작업에 기여 하고자 한 부분은 먼저 문준경의 집안 내력을 이전 자료들보다 구체화한 점, 문준경의 결혼생활 중 소박맞은 부분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을 새로운 근거와 자료를 통해 진단한 점, 그리고 신학생 시절 사역을 정리한 점, 마지막으로 순교 장면에 대한 순차적 설명과 순교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정황들을 재구성한 점이다.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life of Evangelist Jun-Gyeong Mun by mobilizing various materials about her life, which have been published until 2022. The life history contents discus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her hometown and family history, childhood and marriage, conversion, time as a seminary student and work as a missionary, and martyrdom. In addition, the history of her family was more concrete than previous data. This study also aims to diagnose the different stances on getting deserted by her husband through new evidence and data, to reconstruct the ministry during the seminary student, and to provide a chronological explanation of the martyrdom at the time and the reconstructed circumstances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martyrdom.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상원. 『새끼를 많이 깐 싸암탉이라고?』. 서울: 쿰란출판사, 2016. | 미소장 |
2 | 김준곤. “낙도의 순교자 문준경 전도사.” 「빛과 소금」(1990): 160-168. | 미소장 |
3 | 김한옥. “문준경 조명 : 문준경의 멘토 장석초.” 「활천」 743권(2015): 82-85. | 미소장 |
4 | 김헌곤 편. 『순교자 문준경과 그의 사람들』. 신안: 문준경전도사순교기념관, 2016. | 미소장 |
5 | 문태사학회 편. “문태의 뿌리를 찾아서,” <2021 개교 80주년 기념 설립자 탐구 보고서> (목포: 문태고등학교, 2021). 1-32. | 미소장 |
6 | 문준경. “임자도교회 – 임자도교회부흥기” 「활천」 178권(1937): 84. | 미소장 |
7 | 문준경. “후증도교회 성전 건축기”, 「기쁜소식」 4권 (1937년 7.8월호): 27. | 미소장 |
8 | 문준경. “나의 구원과 봉사생활”, 「기쁜소식」 6권 (1939년 3월): 9. | 미소장 |
9 | 문준경전도사 전기간행위원회 편. 『섬마을 순교자』. 서울: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1985. | 미소장 |
10 | 문준경전도사 순교기념위원회. 『순교자 문준경과 그의 사람들』. 서울: 문준경 전도사순교기념관, 2016. | 미소장 |
11 | 박문석. 『바로잡은 문준경 역사와 사상 그리고 열매』. 서울: 기독교대한출판부, 2012. | 미소장 |
12 | 박문석. “현장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 문준경 조명; 문준경의 결혼과 전도활동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읽고.” 「활천」 723권(2014): 86-90. | 미소장 |
13 | 박문석. “문준경 조명: 문준경의 잃어버린 세월.” 「활천」 725권(2014): 86-89. | 미소장 |
14 | 박성신. 『한국교회 선교리더쉽에 관한 연구 – 문준경전도사를 중심으로』. 천안: 박사학위논문호서대학교, 2012. | 미소장 |
15 | 서울신학대학교 성결교회역사연구소. 『한국성결교회100년사』. 서울: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2007. | 미소장 |
16 | 신영춘. “순교의 순간: 문준경 전도사 순교사화.” 「활천」 780권(2018): 22-25. | 미소장 |
17 | 오성욱. “문준경 전도사의 섬마을 전도의 선교론적 재발견: 피에르 브르디외 (Pierre Bourdieu)의 상징자본의 관점에서.” 「대학과선교」 53(2022): 47-77. | 미소장 |
18 | 오영필. 『성결교회 수난기』. 서울; 성광출판사. 1975. | 미소장 |
19 | 유승준. 『천국의 섬 증도: 순교자 문준경을 따라 걷는 길』. 서울: 홍성사, 2012. | 미소장 |
20 | 이만신. “문준경 조명 : 문준경 전도사를 그리워하며.” 「활천」 724권(2014): 84-87. | 미소장 |
21 | 이현갑. 『섬 교회의 어머니 순교자 문준경』. 서울: 청파, 1990. | 미소장 |
22 | 임병진⋅유승준. 『천국의 섬』. 서울: 가나북스, 2007. | 미소장 |
23 | 전남동지방회 문준경전도사 순교기념사업회 청산위원회. 『문준경전도사 순교기념사업회 자료집 1-3』 (2021년 3월). | 미소장 |
24 | 전우용. “근대 이행기 서울의 객주와 객주업.” 「서울학연구」 24(2005): 131-168. | 미소장 |
25 | 정상운. 『성결교회 역사총론』. 안양: 성결교회와 역사연구소, 2004. | 미소장 |
26 | 정원영. 『영원한 전도자, 하나님의 사람 문준경』. 군산: 예원출판사, 2019. | 미소장 |
27 | 정원영. “현장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 문준경 조명 ; 문준경의 결혼과 전도활동에 대한 새로운 조명,” 「활천」 722권(2014): 85-89. | 미소장 |
28 | 정재우. “순교자 문준경의 순교영성에 대한 고찰.”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평택: 평택대학교, 2014. | 미소장 |
29 | 정태기. “문준경 조명 : 바른 역사적 평가를 바라며.” 「활천」 742권(2015): 86-88. | 미소장 |
30 | 주승민. 『순교자 문준경의 신앙과 삶』. 용인: 킹덤북스, 2010. | 미소장 |
31 | 최인식. “르네 지라드의 ‘모방적 욕망론’에서 본 폭력과 순교(殉敎).” 「한국조직신학논총」 62(2021): 163-202. | 미소장 |
32 | 최제순. 『“순교” 문준경 전도사의 삶을 찾아서』. 서울: 바른북스, 2021. | 미소장 |
33 | 황훈식. 『섬마을 선교의 어머니 순교자 문준경』. 서울: 출판사 수수, 2023. | 미소장 |
34 | 법률 제2059호 (1969년 1월 1일 시행). https://www.law.go.kr/lsInfoP.do?lsiSeq=2662&viewCls=lsRvsDocInfoR# (2023년 6월 17일 접속). | 미소장 |
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안군.”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3161 (2023년 6월 17일 접속). | 미소장 |
36 | 홍일갑. “신안 농민항쟁5).” <전북일보> (2022년 5월 18일 자). https://www.jnilbo.com/view/media/view?code=2022051817482272244 (2022년 12월 8일 접속).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