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6.25 전쟁 중 첫 번째 임시수도였던 대전은 정치, 경제, 산업 및 군사적으로 6.25전쟁의 전체 판세를 결정할만한 전략 도시로 피‧아가 시간과 공간을 걸고 일대 결전을 치룬 지역이다. 미 제24사단은 계획된 지연전을 수행했고 북한군은 타격을 입어 차후 공격을 이틀 후에나 재개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미 24사단은 심대한 인적‧물적 손실을 입었으나, 67일 후에는 대전을 수복하여 설욕에 성공하였다.

이와 같이, 대전과 대전전투의 전략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의 진취적 보훈문화로 승화시킬 수 있는 보훈의식 계승방안을 구체화하였다. 첫째, 지금과 같은 엄숙한 의례 위주의 행사에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하며 개방적이며 참여적인 문화행사로 추진할 것과 ‘9. 28일’ 대전 수복일을 ‘대전지구 전투 전승기념일’로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6.25전쟁을 통해서 일종의 게임체인저 역할을 했던, 대전차 화기인 ‘수퍼 바주카’(M20 3.5인치 로켓포)가 대전전투에서 7. 20일 역사상 최초로 사용되어 적 T-34전차를 격파했다는 사실을 모티브로 하는 (가칭)‘수퍼 바주카 물축제 대전’의 추진을 제안하였다. 셋째, 콘텐츠 연계 마케팅을 통해서 지역홍보와 호국보훈 관광을 접목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역사 및 문화의 복합공간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넷째, 참전자의 1차 증언과 더불어 2차 증언 또는 후손에 의한 증언 등을 지자체의 주요 정책 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정책제언에 포함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6·25전쟁 시 UN군과 공산군의 심리전 비교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psychological warfare between UN and communist forces during the Korean War 정우열 p. 3-26
북핵 제재의 효용성 재고를 위한 국제 수출통제체제의 문제점 검토 = Review on the problems of international export control system for the efficiency of nuclea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 focused on the strategic communication : 전략적 소통(Strategic Communication)을 중심으로 최영근, 길병옥 p. 27-44
대전의 호국보훈 의식 계승방안 연구 = Honoring veterans in Daejeon : a study based on recognizing the strategic value of the Daejeon battle : 대전지구 전투의 전략가치 재인식을 기초로 장준근 p. 45-62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선양 방안 및 후손 지원을 위한 과제 = Independence activist Choi Jae-hyung's promotion plan and task for supporting his descendants 조상현 p. 63-82

여단급 KCTC 훈련 결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보병중대 임무별 공격작전 전투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results of infantry company mission-specific offensive operations, utilizing big data from brigade-level KCTC training results 강승욱, 문호석 p. 83-102

한국군의 효과적인 도시지역작전 발전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Military's effective urban area operations 신창대 p. 103-126
관광산업을 통한 통일 한국 재정확보 가능성 연구 = A study on securing finance for a unified Korea through tourism industry 이창원 p. 127-150
군 조직에서 셀프리더십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safety culture in military organization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eamwork : 팀워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나종철 p. 151-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