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등하교 안전사고 경향 분석 : 텍스트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 기반 = Analysis of school commuting safety and accident trend by school level :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김범준 ; 김관준 ; 박인선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1.1. 연구 필요성 2

1.2. 연구 목적 2

2. 연구방법 2

2.1. 연구절차 및 방법 2

2.2. 데이터의 수집 2

2.3. 데이터 전처리 3

2.4. 네트워크 통계 분석 및 시각화 3

2.5. 결과 해석 및 논의 3

3. 연구결과 4

3.1. 유치원 등하교 안전사고 분석 4

3.2. 초등학교 등하교 안전사고 분석 5

3.3. 중학교 등하교 안전사고 분석 6

3.4. 고등학교 등하교 안전사고 분석 6

4. 결론 및 정책 제언 7

4.1. 결론 7

4.2. 정책 제언 8

References 11

초록보기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학교에서 통지한 학교 안전사고 rawDATA (2016년∼2021년)를 바탕으로, 텍스트 마이닝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학교급별 등하교 안전사고 요인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은 하원 시간에 사고가 많았으며, 계단, 차량, 버스 등의 물리적 위험요인, 머리, 얼굴 등의 주요 손상 부위가 확인되었고, 하교-준비-귀가,등교-계단 등의 키워드가 연결됨을 확인하였다. 초등학교는 하교 시간에 사고가 많았으며, 계단 등의 물리적 위험요인, 앞니, 이마 등의 주요 손상 부위가 확인되었고, 하교-계단, 하교-운동장, 방과 후-수업-하교 등의 키워드가 연결됨을 확인했다. 중학교의 경우, 하교 시간에 사고가 많았으며, 계단, 자전거 등의 주요 물리적 위험요인, 발목, 무릎,인대, 다리가 주요 손상 부위로 확인되었고, 등교-자전거, 하교-운동장-친구-축구 키워드가 연결됨을 확인했다. 고등학교의 경우 등교 시간에 사고가 많았으며, 계단, 자전거, 버스 등의 주요 물리적 위험요인, 발목, 무릎이 주요 손상부위임이 확인되었고, 자전거-등교, 자전거-얼굴, 자전거-내리막길, 버스-발목의 키워드가 연결됨을 확인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급별 등하교 안전사고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학교급별 등하교 안전사고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데이터 기반 안전교육 및 안전관리 대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수직 개구부로 연결된 2개의 구획실에서 화원 조건이 개구부 유동 속도 및 고온 가스층 특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ire source conditions on vent flow velocity and hot gas layer characteristics in two rooms connected by vertical opening 김윤영, 이치영 p. 1-10

보기
화재시뮬레이션에서 연기농도에 대한 수치모델 불확실도 연구 = A study on numerical model uncertainty of smoke concentration in fire simulation 한호식, 장효연, 황철홍 p. 11-19

보기
벽지 화재의 표면 연소 현상 및 연기밀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Experimental study on combustion and fire smoke characteristics of wallpapers using smoke density chamber 이선효, 하예진, 전준호 p. 20-28

보기
비화재 조건에서의 연기 및 일산화탄소 반응 특성 분석 = Analysis of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moke and carbon monoxide in non-fire conditions 임유리, 신영민, 김봉준, 한동훈 p. 29-37

보기
CAFS 최적공기포비 도출을 위한 일반화재 및 유류화재 적용 실험 = Experiments on the application of class A and B fires to derive the optimum air ratio of compressed air foam systems 박태희, 김태선, 박정화, 양지현, 이병채, 김태동, 김봉준, 권진석 p. 38-43

보기
메탈히터를 이용한 옥외 수평 소방 배관 동파 예측 시스템 연구 = Freezing-prediction system of outdoor horizontal fire pipe using metal heater 김보형, 곽준재, 서상민, 김용배, 남준석, 임성식 p. 44-51

보기
소화용수 공급을 위한 연결송수관설비 활용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utilization of pipeline connection for the supply of fire extinguishing water 장경남 p. 52-59

보기
등하교 안전사고 경향 분석 = Analysis of school commuting safety and accident trend by school level :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텍스트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 기반 김범준, 김관준, 박인선 p. 60-71

보기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Major Traffic Accidents Statistics”, https://taas.koroad.or.kr/web/shp/sbm/initTfcacdSta ts.do?menuId=WEB_KMP_OVT_MVT (2022). 미소장
2 Y. S. Yeom, “A Man in His 30s who Drove Drunk in a Hitand-run Death Accident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the School Zone was Arrested and Charged”, Available From: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122701039921178001 (accessed December 27, 2022). 미소장
3 NEWSIS, “1.5t Cylindrical Cargo that Hit Hwang Ye-seo...A Disaster Caused by Insensitivity to Safety”, Available From:https://newsis.com/view/?id=NISX20230601_0002323811&cI D=10601&pID=10600 (accessed June 1, 2023). 미소장
4 S. M. Kang, J. Y. Kang and Y. J. Ahn, “Elementary School Student who Suffered Brain Damage due to School Fire Shutters ...School Principal Not Guilty, Administrative Chief Fined”, Available From: https://www.ytn.co.kr/_ln/0134_202201290800199123 (accessed January 29, 2022). 미소장
5 Supreme Court Decision 2016다235077 on September 23, 2016. 미소장
6 Cheongju District Court Decision 2011나3801 on January 13, 2012. 미소장
7 B. J. Seo and H. J. Choi, “Announcement of the Standard Plan for Seven Areas of School Safety Education by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Development Stage”, MOE 2015-02-26, Ministry of Education (2015). 미소장
8 E. B. Gong, “Statistical Analysis of School Safety Accidents in 2021”, SSIF 2022-14, School Safety and Insurance Federation (2022). 미소장
9 School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 (Accident and Compensation Statistics in 2022), “School Safety and Insurance Federation”, Available From: https://www.ssif.or.kr/reference/analist/view/3873 (accessed May 9, 2023). 미소장
10 School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 (Accident and Compensation Statistics in 2021), “School Safety and Insurance Federation”, Available From: https://www.ssif.or.kr/referenc e/analist/view/2593 (accessed April 6, 2022). 미소장
11 S. K. Lee, S. Jeong, H. G. Kim and Y. H. Yom,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opics in Korean Nursing Sc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1, No. 5, pp. 623-632 (2011).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23. 미소장
12 J. Y. Hwang and C. W. Kim,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Convention Research Domain”,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Vol. 30, No. 6, pp. 1-25(2015). 미소장
13 H. Jelodar, Y. Wang, C. Yuan, X. Feng, X. Jiang, Y. Li and L. Zhao,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d Topic Modeling: Models, Applications, a Survey”, Multimedia Tools and Applications, Vol. 78, No. 11, pp. 15169-15211(2019). https://doi.org/10.48550/arXiv.1711.04305. 미소장
14 S. S. Lee,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 31, No. 4, pp. 49-68(2014).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49. 미소장
15 J. H. Lee, J. M. Lee, W. K. Kim and H. G. Kim, “A Study on Perception of Swimsuit Using Big Data Text-Mining Analysis”,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Vol. 28, No. 1, pp. 104-116 (2017). 미소장
16 D. M. Blei,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55, No. 4, pp. 77-84 (2012). https://doi.or g/10.1145/2133806.2133826. 미소장
17 T. L. Griffiths and M. Steyvers,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1, No. 1, pp. 5228-5235 (2004). https://doi.org/10.1073/pnas.0307752101. 미소장
18 Y. W. Kim, “Do It! Easy-to-learn R Data Analysis”, EasysPublishing (20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