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면접촉을 기피하는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세계 OTT 시장은 급성장하였고, 이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다양한 콘텐츠의 부재다. 한국은 K 팝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들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외국인 거주자, 외국 관광객들의 유입이 늘어가면서 한국 문화예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한국 전통문화예술 교육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시각적인 흥미와 함께 디자인 속에 담아있는 한국 전통 인문학이야기들을 담아 전달하여 한국의 문화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 현장조사 및 온라인조사 등을 통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전통 문화예술 교육 사례들을 조사, 정리를 하여 고찰하였다. 전통 문화예술 교육 현장을 온라인, 오프라인을 조사하여 교육의 주제, 지역, 교육의 형태, 대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 문화예술 교육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한글, 한복, 태극기, 일월오봉도, 태권도 5가지를 선정하여 미니노트 디자인 개발을 하였다. 한국 전통 오침안정법을 응용하여 제작한 미니노트는 전통 문화예술 교육 자료로 연계성 있는 디자인개발로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셋째, 미니노트 포장 패키지 디자인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니노트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의 한국 전통 문화예술들을 학습하고 체험하면서, 한국 전통 콘텐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교육 자료가 될 것이며, 지속적으로 전통 문화예술과 연계성 있는 디자인 개발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유의미한 연구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관 설치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andscape installations preference : focused on color factors : 색채 요소를 중심으로 공모, 천총, 김진성 p. 1-18

IPA 국제음성기호 표기를 위한 한글 형태 연구 = A research on Hangul morphology for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 focus on the design of new Hangul syllabic : 한글 신자소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미애, 김민 p. 19-32

오프라인 방탈출 게임에서의 매직서클 디자인에 관한 고찰 = A discussion of designing magic circle for escape room 김수완 p. 33-45

핵심기본간호술 VR 실습교육 콘텐츠의 플로우 분석 = Flow analysi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virtual reality practice training contents : comparison with Lab practice training : 실습실 실습교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정기, 윤재영 p. 47-61

2000년대 전시 사례를 통해 살펴본 식물에 대한 인식 변화 = Changing perceptions of plants in exhibitions since the 2000s : focusing on vegetal-theme art projects : 식물 주제 미술 기획전을 중심으로 김제민 p. 63-81

관객참여형 미술작품에서 나타나는 행동유도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affordance in spectator-participatory artworks 김채린, 고경호 p. 83-96

메타버스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는 연구 =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metaverse technology to the scene : taking the Chinese museum as an example : 중국 박물관을 중심으로 리우멍위, 박태욱 p. 109-124

시각적 모델을 활용한 메타버스의 발전 방향성 분석 및 고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etaverse using visual models : focused on understanding multimodality : 멀티모달리티의 이해를 중심으로 박준홍 p. 125-140

전통 문화예술 교육을 위한 오침안정법 미니노트 디자인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ni-note design using ochim-anjeongbeob for tradit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백미숙 p. 141-153

콜브의 경험학습모형을 적용한 AI활용미술 지도안 연구 = A study on art guidance using AI using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 focused o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 경남지역 일반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송서림, 조정형 p. 155-168

중국현대미술 전개과정에서 추상미술이 가지는 의미 = The meaning of abstract art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modern art 신광 p. 169-181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design units in art textbooks and teacher interviews : 미술 교과서 디자인 단원 분석과 교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신실라 p. 183-198

박물관 관광체험이 장소애착 및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useum tourism experience on place attachment and tourism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National Maritime Museum of Korea : 국립해양박물관을 중심으로 왕홍, 정호남, 조정형 p. 199-212

소상공인을 위한 스마트기술 분석 및 사례조사 연구 = Analysis and case study research on smart technologies for small businesses 윈트, 박승배 p. 213-224

국내 독거노인 고독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밴드 디자인 연구 = Research on smart wearable band design to prevent the lonely deaths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in South Korea 위상우, 이길옥 p. 225-241

18-19세기 한국 전통 종교와 옛 한글 문헌의 디자인적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traditional religion of the 18-19th centuries an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old Korean literatures. 1,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sideration of Hangul types and Gung-che style in related Taoism scriptures. 1, 도교 관련 한글 문헌 글자체의 특징 및 궁체 양식 고찰 유정숙 p. 243-257

파라메트릭 알고리즘과 모듈 기반의 3D 텍스타일 디자인 유형 분석 = 3D textile design category based on parametric algorithm and modularity 윤순란 p. 259-272

바이오닉스 디자인을 응용한 패션 액세서리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ionics design applied on fashion accessory design : focused on the coral forms : 산호류를 중심으로 단항천, 조정형 p. 97-108

(A) study of perceived simplicity in product quality information visualization styles in online markets and its relation to product quality trust = 온라인 매장의 제품 품질 시각정보 유형에서 지각된 단순성과 이에 따른 제품 품질 신뢰도에 관한 연구 : 국내에서 판매되는 쌀 제품 및 고령층 소비자 중심으로 : focused on older adult consumers for rice products sold in domestic markets Yoon, Jungwoo p. 273-286

수공예 기법으로 표현된 감성적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A study on the emotional fashion illustration expressed by handcraft techniques 음정선 p. 287-299

초등학교 도자공예 교육 개선을 위한 미술 교과서 분석 = An analysis of art textbooks for the improvement of ceramic craf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이규혁 p. 301-318

온라인 만화 플랫폼 사용자의 사용 의도에 대한 정보 시스템 성공 이론과 향락적 동기 시스템 수용 이론을 결합한 조사 연구 = An investigative study combining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and hedonic motivation system acceptance model for online comic platform users' intention to use : using the Chinese 'Kuai Kan' app as an example : 중국 '콰이칸’ 앱을 예시로 이박양, 한창완 p. 319-331

'늑대인간’과 '팜므 파탈’의 만남으로 재화된 『빨간모자』 = Retelling of Little Red Riding Hood as a narrative of 'werewolf' and 'femme fatale' : a case study on the visual narrative of Mon Chaperon Rouge by Anne Ikhlef and Alain Gauthier : 안 이클레프와 알랭 고티에의 그림책 『나의 빨간모자』의 시각적 서사를 중심으로 이성엽 p. 333-347

(The) educational turn in contemporary art = 현대미술 교육적 전회의 역사적 유래 및 특징 : 교육기반 참여 예술을 중심으로 : historical precedents and defini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y pedagogy-based art Eunji J. Lee p. 349-364

ICT 기반 고령자 주거공간 통합 리모델링 프로토타입의 제안 = A proposal of ICT based intergrated home remodeling prototype for elderly housing : focusing on a survey on the housing conditions for the elderly in Gangneung-si : 강릉시 노인주거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이진경, 문정인 p. 365-380

디자인씽킹 과정을 적용한 플립-문제기반학습 교과목 간의 학습 효과 차이 분석연구 = A study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s between flipped-PBL subjects using the design thinking process : focused on industrial design majors at a design college : 디자인 대학 산업디자인 전공 수업을 중심으로 이진영, 나건 p. 381-392

고객경험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패션 리테일테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etaverse-based fashion retailtech for customer experience : focused on the ZEPETO platform : 제페토 플랫폼을 중심으로 이호정 p. 393-408

캐릭터 의상 색채 분석을 통해서 본 스토리 전달 전략 분석 = Analysis of story delivery strategy seen through character costume color analysis : focused on the mail character of Disney animation <Mulan> and <Beauty and the Beast>, <Frozen 1> : 디즈니 애니메이션 <뮬란>과 <미녀와 야수>, <겨울왕국 1> 주인공 캐릭터를 중심으로 임영지, 김세훈 p. 409-428

디자인 사고 기반의 디자인 툴킷 개발 및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thinking-based design toolkit and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임채연 p. 429-441

루핑의 개방 구조에 의한 3D 프린팅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3D printing textile design by the open structure of looping 장해림 p. 443-456

BIB-LCJ법과 SD법을 이용한 해안도시 복합공원의 식물군락 색채 연구 = Study on plant community color of coastal urban comprehensive park based on BIB-LCJ method and SD method 정호남, 조정형 p. 457-470

산업체연계형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융합 교육과정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curriculum utilizing industry-linked capstone design : focused on product development cases using the fashion CAD : 패션 캐드를 이용한 상품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조영아 p. 471-486

자연의 인상을 통한 한국화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Korean painting through impressions of nature : focusing on the researcher's colored works : 연구자의 채색 작품을 중심으로 차민주 p. 487-498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영화 속 내면적 리얼리즘과 시적 표현 = Introspective realism and poetic expression in the films of Michelangelo Antonioni 청지아홍, 박성연 p. 499-510

소비자 유형에 기반한 전통문화상품디자인 평가 요소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valuation factors of traditional cultural product design on purchase intention by the consumer types 황건총, 조광수, 김용구 p. 511-524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Statistical Heritage.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2016) Cultural Heritage Anministration. http://www.memorykorea.go.kr:7779/-3 (accessed 2023, January 15) 미소장
2 Booh, G. M. (2002). A histo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Bangkakbon’publishing in Chosun Dynast.〔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Hanyang University. 미소장
3 Cultural Industry Promotion. www.law.go.kr/lsSc.do?section=&menu id 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 (accessed 2023, February 28) 미소장
4 Hong, S. C. (2020).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Baecheop〔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Cheongju University. 미소장
5 Hur, K. S. (2008). The study of Lee Gawon’s fulfillment process in classics study, Yeol-sang, Journal of Classical Studies. (28), 319. 미소장
6 Jeong, H. J. (2002). Effects of an experience-learning program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cogni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aty of Education. 미소장
7 Jeong, M. R. (2018). A study 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ancient thread-bound manuscript : focu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Yecheon Gwon cl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aty of Education. 미소장
8 National image survey. (202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http:www.kocis.go.kr/ebook/ecatalog5.jsp?Dir=396 (accessed 2023, January 15) 미소장
9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1970). Ⅱ 24book, mercantile page, Ming Dynasty of China tribute, 7. 미소장
10 Naga, G. Y. (1992) Books by Noriya Nagasa, Book7, Geamgo Sowon. 미소장
11 Park et, al. (2012). Joseon Dynasty palace painting, Stone Pillow. 미소장
12 Song, M. S. (2020). Ott market sales and subscriber statu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 미소장
13 Yeap, S. (1978). Chinese book saga, Baek Zhuang Publishing Company. 미소장
14 Zheng, H. (2012). Research and analysis about traffic problems in the early days of the Choson and Ming Envoys, History& The World (4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