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황해도 지역을 대상으로 어교 생산지와 생산지 별 산출 어교에 관해 검토를 진행한 것이다.

어교 생산지는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어교를 공물로 분정한 지역 이외에 다양한 지역이 생산지로 파악, 상정되었다. 즉 바다 혹은 강에 접한 군현을 중심으로 적지 않은 군현이 어교 산출지로 확인되거나 산출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상정되었다.

지역별 산출 어교는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석수어교와 민어교의 산출 가능성을 가장 적극 고려케 했다. 아울러 해삼교, 은구어교, 어타, 오교 등의 산출 가능성도 기대케 했다.

어교가 공물로 분정된 군현을 포함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전개된 황해도 지역 어교 생산은 무엇보다도 경상, 전라, 충청 지역에 이어 조선시대 어교 생산의 토대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했다. 즉 기존 연구에서 인식된 것보다 훨씬 많은 지역에서 전개된 어교의 산출은 조선시대 어교 생산의 토대가 기대보다 견고했음을 인식케 했다. 아울러 어교에 대한 각 지역의 공적 수요뿐만 아니라 민간에서의 사적 수요에 대한 공급 기반 및 구조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초를 제공했다. 나아가 각 지방에서 중앙에 공납한 어교의 종류를 일괄하여 하나의 종류 혹은 시선으로 이해하거나 해석하려는 관점을 지양케 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세기 몽유록의 형상화 양상과 특징 =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Mongyurok in the 19th century : with Manha-mongyurok at the center : <만하몽유록(晩河夢遊錄)>을 중심으로 양혜승 p. 7-36

조선시대 경주기행문의 기록 양상과 특징 = Record patterns and features of Gyeongju travel document in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sea in Gyeongju area and the Gyeongju people's life : 경주의 바다와 경주인의 생활을 중심으로 이채경 p. 37-62

損窩 崔錫恒의 한시에 나타난 전란 기억 = The remembrance of war in Sonwa Choi Seok-hang's poems 박난아 p. 63-87

1847년 헌종 가봉태실의 조성 관련 인력 동원과 물품 수급 실태 = The mobilization of manpower and procurement of good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Gabong Taesil by King Heonjong in 1847 장경희, 김성수 p. 89-117

조선시대 황해도 지역의 어교(魚膠) 생산지와 산출 어교 = A study on the fish glues production area and types of fish glues produced in Hwanghae-do during the Joseon Dynasty 김병모 p. 119-150

효명세자의 관례 절차와 참례자들에 관한 연구 = The procedures and participants of Crown Prince Hyomyeong's Gwallye (Coming of Age Ceremony)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Wangseja Gwallye Deung-lok』 and ≪Su-gyodo≫ : 『왕세자관례등록』과 ≪수교도≫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아람 p. 151-180

동아시아 문명의 전환과 經學의 변형 = On the transition of East Asian civilization and the reform of Confucian classics : focusing on Yi Ik's interpretation of the "Three Returns(三歸)" in Analects 3:22 : 이익의 『논어질서』 「팔일」 22장 삼귀(三歸)해석을 중심으로 박지현 p. 181-206

『태극도』와 『태극도설』의 디지털인문학적 연구 = A revisit of the Taijitu (Diagram of the Great Ultimate) and the Taijitushuo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the Great Ultimate)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 an experimental research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research model in digital humanities : 디지털인문학적 철학 연구 모델 정초를 위한 실험적 연구 김학재 p. 207-235

丁若鏞與黃宗羲經世敎育觀的比較硏究 = 정약용과 황종희의 경세교육관 비교연구 王浩, 馬麗惠 p. 237-267

동학의 '인人’ 개념 = The Donghak's concept of 'human' : focusing on Yongdam Yusa :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윤상현 p. 269-296

종교 논쟁 속 조자신의 인간론과 사회 실천성 문제 = Zhao Zichen's theory of humanity through dispute over religion and its social praxis meaning 강지연 p. 323-346

근대 중국의 신법가 천치텐(陳啟天)의 신법치주의와 신국가주의 = The new legalist Chen Qi-tian's new legalism and new nationalism in modern China 김현주 p. 347-370

조선 말기 수당 이남규에 관한 기존연구 성과와 과제 =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existing research on Lee Nam-gyu in the late Joseon Dynasty 안외순 p. 297-321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世宗實錄』 地理志 미소장
2 『東國輿地勝覽』 미소장
3 『新增東國輿地勝覽』 미소장
4 『輿地圖書』 미소장
5 『海西邑誌』(1871) 미소장
6 한국학문헌연구소, 『邑誌』12(한국지리지총서), 아세아문화사, 1985. 미소장
7 김동수, 「『세종실록』 지리지의 연구-특히 物産·戶口·軍丁·墾田·姓氏項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미소장
8 김동수, 「『世宗實錄』 地理志물산항의 검토」, 『역사학연구』 12, 1991. 미소장
9 김병모, 「조선시대 어교(魚膠) 생산지와 산출 어교-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미술문화연구』 24, 동서미술문화학회, 2022. 미소장
10 김병모, 「조선시대 어교(魚膠) 생산지와 산출 어교-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68,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미소장
11 김병모, 「조선시대 어교(魚膠) 생산지와 산출 어교-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동방학』 47,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미소장
12 김병모, 「국가 수취 대상으로서 조선시대 膠의 분류」, 『동아시아고대학』 64집,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미소장
13 김병모, 「조선시대 교(膠)의 명칭 분화와 제조ㆍ생산된 교의 종류」, 『동방학』45,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1. 미소장
14 소순규, 「『世宗實錄』 地理志를 통해 본 朝鮮初貢物分定의 실제와 특성-厥貢, 土貢, 土産항목의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61, 한국사연구회, 2013. 미소장
15 신 학, 「동양회화에서의 아교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