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퇴계 산수시에 나타난 즐거움의 정감을 순정(純正)미학의 측면에서 서술해 보았다. 일본의 학자 다께우찌 도시오에 따르면 “순수하고 바름[純正]을 뜻하는 순정미학은 순수미의 한 측면으로써 미적인 것 일반의 특질이 가장 순수하게 구현되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한다. 그는 더 나아가서 “이것은 동시에 예술에 있어서도 항상 현실 형태에서의 이상적인 면을 추구하기에 이상미라고도 일컫기도 한다”라고 기술하기도 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봤을 때, 순정미학은 윤리적으로 바르고 감성적으로 순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이라고 말할 수 있다.

퇴계 산수시에서는 중화의 절제된 감정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주로 미적 체험의 주체인 화자에게 올바름[正]을 의미하는 성정지정(性情之正)의 인격미로 설명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퇴계의 시를 인격 수양의 수단으로만 여기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하지만 퇴계는 산수시의 궁극적인 지향점으로써 ‘산수지락(山水之樂)’의 ‘즐거움’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경지를 체현하고자 하였다. 물론 이러한 감성은 단순히 감각적인 차원에서 얻어지는 일반적인 형태의 감정과는 구분된다. 하지만 꾸준한 수양을 통해 체득되는 즐거움의 경지는 퇴계가 추구한 심미관인 ‘유어예(遊於藝)’에서 알 수 있듯이 일정 수준에 도달했을 때 자연스럽게 공감될 수 있는 긍정적인 정감이다.

이런 논의들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철학적 성찰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이론과 미학적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퇴계의 문헌과 산수시를 분석해봄으로써 여기에 함의된 사유와 감성을 도출해보았다. 특히 ‘대상의 존재’를 바탕으로 ‘감성적 인식’이라고 하는 미학의 대전제를 사용하여 순정미라는 구체적인 범주의 구성이 해당 연구의 중점사항이라고 말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풍류정신으로 본 조선 후기 풍속화의 미의식 = Aesthetic consciousness of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irit of Pungnyu : focusing on Kim Hong-do and Shin Yun-bok's paintings : 김홍도와 신윤복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옥희 p. 5-28
敦煌壁畫中紋飾語言的分析与應用探究 = 돈황벽화의 무늬장식언어에 대한 분석과 응용탐구 徐紫淳, 張志熏 p. 135-151
퇴계 이황 산수시에 나타난 순정미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urity aesthetics that appear in Toegye Yi Hwang’s Shan-shui poetry (山水詩) 김종백 p. 61-84
고아함에 대한 탐미 = A taste for elegance : literati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 in the context of consumption : 소비의 맥락에서 바라본 조선 후기의 문인화 이연주 p. 235-266
창암 서예와 동서양 미학의 조우 = An encounter between Changam calligraphy and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s : focus on Changgyeong (蒼勁) : 창경(蒼勁)을 중심으로 송수현 p. 153-190
서예시장의 플랫폼 구축 가능성 연구 = The study of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platform in the calligraphy market 문혜정 p. 115-134
탈(脫)텍스트, 반(反)서예 및 문자해체를 통한 서예의 동시대성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contemporaniety of calligraphy through de-text, anti-calligraphy and deconstruction of text-system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Book from the Sky(天書)> by Xu Bing : 쉬빙의 <천서(天書, Book from the Sky)>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이승희 p. 211-233
원과 네모 이미지의 구도와 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meaning of circle and square images : 퇴계의 「천명도」를 중심으로 한승일 p. 267-287
한국 상고시대의 미의식 =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Korean ancient times : 고조선의 철학과 문화적 특징을 중심으로 이수빈 p. 191-209
왕양명의 치양지(致良知)를 통한 산조(散調)의 창조정신 회복 = Restoration of Sanjo's creative spirit through Wang Yangming's Zhiliangzhi 김홍주 p. 85-114
秋史 金正喜 文人畵의 道家美學的 考察 = A study on Taoist aesthetics of Chusa Kim Jeonghee’s literati paintings : 〈不二禪蘭圖〉와 〈世外僊香〉을 중심으로 김미라 p. 29-60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論語集註』, 驪江出版社, 1992, 연인본. 미소장
2 『禮記正義』, 十三經注疏, 北京大學校出版社, 2000. 미소장
3 『二程遺書』, 上海古籍出版社, 1992. 미소장
4 『莊子』, 臺北 : 藝文印書館, 1968. 미소장
5 『朱子大全』,서울: 보경문화사, 1984. 미소장
6 『朱子語類』,中華書局, 2010. 미소장
7 李滉, 『退溪集』, 한국문집총간(한국 고전 종합 DB 원문 참조. https://db.itkc.or.kr) 미소장
8 李滉, 『退溪先生言行錄』(한국문집총간본, 한국고전번역원 간행.) 미소장
9 李滉, 『增補退溪全書』,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1985. 미소장
10 다께우치 도시오 저, 안영길 외 옮김, 『미학 예술학 사전』, 미진사, 1993. 미소장
11 배종호, 『한국유학의 철학적 전개』,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5. 미소장
12 이장우, 『퇴계시 이야기』, 서정시학, 2014. 미소장
13 이황 저․이장우 외 역, 『퇴계잡영』, 연암서가, 2009. 미소장
14 이황 저․이장우 외 역, 『도산잡영』, 연암서가, 2013. 미소장
15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 정신』, 예문서원, 1998. 미소장
16 조민환, 『동양의 광기와 예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0. 미소장
17 한덕웅, 『퇴계 심리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4. 미소장
18 강희복, 『퇴계의 ‘심여리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미소장
19 김종백, 『퇴계이황의 산수미학 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3. 미소장
20 이수연, 『퇴계의 예술철학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미소장
21 강경현, 「퇴계 이황의 ‘天命道’에 대한 분석–天命圈을 중심으로–」, 『퇴계학보』 Vol.131, 퇴계학연구원, 2012. 미소장
22 강희복, 「退溪 心學에서의 敬과 즐거움(樂)」, 『한국철학논집』 Vol.21, 한국철학사연구회, 2007. 미소장
23 蒙培元, 「퇴계의 心의 境地說과 그 현대적 의의」, 『퇴계학보』 Vol.87, 퇴계학연구원, 1995. 미소장
24 성충모, 「退溪의 美意識과 性情美學」, 『순천향어문논집』 Vol.5, 순천향어문학연구회, 1998. 미소장
25 윤사순, 「퇴계의 심성관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구』Vol.54,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71. 미소장
26 이민홍, 「사림파의 한문학과 성정미학」, 『대동문화연구』 Vol.27.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2. 미소장
27 이민홍, 「산수와 시조학, 그리고 성정미학」, 『시조학논총』 Vol.31. 한국시조학회, 2009. 미소장
28 이치억, 「퇴계 사칠론에서 사단의 순선함에 대하여」, 『유교사상연구』 Vol.45, 한국유교학회, 2011. 미소장
29 정규복, 「퇴계와 순정문학」, 『퇴계학보』 Vol.19, 퇴계학연구원, 197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