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의 목적은 그동안 연구되지 않은 신광한의 “기재기이”에 수록된 <하생기우전>의 삽입시 양상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고전소설에 삽입된 시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작가에 대한 고찰과 당시 문풍에서 장르 인식을 고찰하고, <하생기우전>에 삽입된 8편의 작품을 분석한다. 문학사는 서정 장르에서 서사 장르로 발전하였다. 고전소설에 삽입된 시는, 서정 장르가 활발한 시대에서 서사 장르의발전 양상을 보여준다. 신광한이 살았던 시대는 조선 초기였다. 이때는 서정 장르 중심의 시대였다.
<하생기우전>은 전기적 성격을 띤 애정소설에 속한다. 남녀가 만나고 장애를 극복하고 사랑을 이루는이야기에서는 인물의 심리 묘사가 매우 중요하다. 조선초기에는 인물의 심리를 나타내는 서사기법이 발전하기 못했고 삽입시로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다. 정서를 드러내는 시의 특징을 살려 인물의 심리들드러내줌으로써 서사의 완결성에 기여하였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혜진(2021). “기재기이(企齋記異)” 환상계 진입(進入) 과정 묘사와 그 의미, 한국문학과예술 (39), 233-268. | 미소장 |
2 | 곽지윤(2005). 전기 소설 삽입시의 성격 및 문학 교육에의 활용 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김기동(1978). 이조시대 소설의 연구, 성문각. | 미소장 |
4 | 김수연(2005). <六美堂記>에 삽입된 한시의 양상과기능, 한국고전연구 11, 144-185. | 미소장 |
5 | 김일렬(1984). 조선조 소설의 의미와 구조, 형설출판사. | 미소장 |
6 | 김지영(2000). “三韓拾遺”의 構成과 揷入詩 硏究, 한문고전연구 6, 229-260. | 미소장 |
7 | 김진영(2018). <하생기우전>의 결말구조 양상과 그의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논문집 19(2), 181-206. | 미소장 |
8 | 박희병(2005). 한국한문소설 교합구해, 소명출판. | 미소장 |
9 | 양승민(2000). <최척전>의 창작동인과 소통과정, 고소설연구 9, 67-113. | 미소장 |
10 | 윤세순(2010). 17세기 전기소설에 나타난 삽입시가의존재양상과 기능 : 周生傳·韋敬天傳·雲英傳·想思洞記를 중심으로, 동방학문학 0(42), 165-194. | 미소장 |
11 | 임채명(2004). 企齋 申光漢 詩의 形式的 特質, 한국한문학연구 33, 141-178. | 미소장 |
12 | 전성운(2019). <하생기우전>; 점복(占卜)과 기우(奇遇)의 서사, 어문연구 100, 193-228. | 미소장 |
13 | 정숙인(2011). <崔致遠> 揷入詩歌의 양상과 기능, 어문논집 47, 149-165. | 미소장 |
14 | 채지수(2011). 李景奭의 “楓嶽錄” 삽입시의 두 가지양상, 한문고전연구 23(1), 97-12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