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무용교육은 신체 활동 이외에 정신적 및 정서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인간의 이상적인 전인교육이다.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자아탄력성, 그릿, 대학생활적응, 그리고 무용능력성취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정(+)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의 요인 중 상황적응과 노력유지는 모두 대학생활적응에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무용능력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넷째, 흥미유지, 노력지속은 모두 무용능력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적응은 무용능력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필요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미가 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문선, 양수진(2019).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화·강박열정과 그릿(Grit)의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32(2), 79-101. | 미소장 |
2 | 강미선(1999). 무용/무용참가와 무용성취 과정에 관한 경로분석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8(4), 985-1005. | 미소장 |
3 | 곽현주, 김영희(2013).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9(3), 185-203. | 미소장 |
4 | 권묘정(2010).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 및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경근(1996). 한국 중학생의학업성취 결정요인, 교육문제연구 8(1), 83-103. | 미소장 |
6 | 김광현, 강성배(2016).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척도개발 및 타당화, 교양교육연구 10(3), 253-293. | 미소장 |
7 | 김근면, 차선경(2013). 간호대학신입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양면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 322-332. | 미소장 |
8 | 김미향, 김성회(2010). 중학생 자아탄력성 척도개발, 상담학연구 11(1), 189-206. | 미소장 |
9 | 김민혜, 오인수(2019).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친구관계 질의 조절된 매개효과, 교육혁신연구 29(1), 207-227. | 미소장 |
10 | 김진희(2016). 대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자기 통제력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매개효과,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17(1), 81-100. | 미소장 |
11 | 김혜옥(2015).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의 근무경험,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6(4), 623-634. | 미소장 |
12 | 네이버 심리학용어사전(2014). https://terms.naver.com. | 미소장 |
13 | 박선정, 민현주(2019). 여가무용 참여 여성들의 문화성향이 생활양식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7(5), 95-115. | 미소장 |
14 | 박수련, 윤주석(2022). 무용 예술교과 진입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7(5), 297-310. | 미소장 |
15 | 박은민(2019). 대학생의 부정적정서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383-401. | 미소장 |
16 | 박현경(2002). 무용전공 여대생의 무용활동에 따른몰입경험과 자기실현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박현린, 표정민, 김누리(2019).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그릿과 행복추구경향이 대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6(3), 59-86. | 미소장 |
18 | 서은희(2018). 저성취 대학생 대상 성적향상 프로그램효과 연구: G 대학교의 ‘러닝하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1), 250-257. | 미소장 |
19 | 서현아, 엄세진(2019).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그릿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8(2), 173-197. | 미소장 |
20 | 소지혜(2011).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적자기지각이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신연지(2011). 대학무용전공자의 교수, 학생 상호작용이 교수행동만족 및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우영지, 김나래(2020). 전문대생의 그릿 (Grit) 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 657-674. | 미소장 |
23 | 유경희, 김종경(2016). 적응프로그램 제언을 위한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관련 문헌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580-591. | 미소장 |
24 | 유민희(2021). 미적 체험 속 승화에 관한 내러티브와치료 기전으로서의 승화에 관한 연구 (79), 조형교육, 195-217. | 미소장 |
25 | 유정숙(2010). 한국무용 참가가 노인의 운동능력과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12(2), 33-43. | 미소장 |
26 | 육완순(1991). 춤의 사회화와 사회통합기능으로서의춤을 위하여,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예술 14(6). | 미소장 |
27 | 이미라, 전현숙(2015). 간호· 보건계열 대학생의 성격유형,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12), 8861-8869. | 미소장 |
28 | 이미현(2003). 무용전공자들의 애착유형차이와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이승주, 박주영(2018). 간호대학생의 그릿 (Grit)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2), 269-276. | 미소장 |
30 | 이시연(2021). 중학생의 친인권적 환경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9(18), 509-529. | 미소장 |
31 | 이영옥, 전윤화, 김미선(2018).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5(3), 336-345. | 미소장 |
32 | 이은석, 김성회(2013). 대학생 자아탄력성 척도 개발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3(6), 3077-3094. | 미소장 |
33 | 이은희(2018). 노인요양시설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을위한 주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거주자 및가족의 관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4), 197-222. | 미소장 |
34 | 이지혜(2014).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군집유형과긍정적 자동적 사고 및 행복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5), 25-45. | 미소장 |
35 | 이희진(2003). 무용전공 여대생의 체중조절에 따른 식습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6 | 임효진(2017). 그릿 (Grit) 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8(2), 169-192. | 미소장 |
37 | 장경문(2005).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6(1), 185-196. | 미소장 |
38 | 정소영(2007). 무용의 이해, 충남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39 | 정은정(2002). 무용실기수업의 교수행동이 학생의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0 |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2017). 대학생의 그릿과 자율성, 마인드셋 그리고 학업지속의향 간의 구조적관계, 청소년학연구 24(12), 45-69. | 미소장 |
41 | 조윤형, 정진철, 문명(2013). 개인-학교, 개인-전공 적합성과 취업가능성,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멘토링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6(3), 749-780. | 미소장 |
42 | 조희진, 전현수, 권성호(2013). 무용전공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무용만족도,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4(3), 39-51. | 미소장 |
43 | 진성희, 김균희(2019).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력이 학업성취 및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0), 805-824. | 미소장 |
44 | 최소빈, 양지수(2012). 예술고 무용전공자의 자아탄력성이 무용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4, 169-185. | 미소장 |
45 | 최숙희(2018).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1), 148-156. | 미소장 |
46 | 최정아(2018). 학업적 자기효능감, 목표자기일치감, 그릿이 학업성취를 위한 노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6(1), 41-63. | 미소장 |
47 | 최청자, 김형남, 정정아(2011). Feldenkrais Method 가현대 무용전공자의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4, 1-18. | 미소장 |
48 | 표정민(2018). 대학생의 그릿 (Grit)이 삶의 만족도와 학문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17(1), 25-46. | 미소장 |
49 | 하태희(2019).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0(6), 1329-1340. | 미소장 |
50 | 한수정, 김혜원(2018).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자아탄력성,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Giver, Taker, Matcher 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4), 461-467. | 미소장 |
51 | 한혜림, 이지민(2017). 자기통제력과 대학생활적응 간의관계에서 정서적 대처와 행동적 대처의 매개효과: 남녀 대학생 간의 다집단 분석, 가정과삶의질연구 35(3), 41-52. | 미소장 |
52 | 함수민, 이정희(2020). 대학생의 동아리활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 그릿을 매개변인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327-348. | 미소장 |
53 | 홍세정(2020). 영재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완벽주의, 마인드셋 및 그릿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4 | 홍은숙(2006). 탄력성 (resilience) 의 개념적 이해와교육적 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1(2), 45-67. | 미소장 |
55 | 황명주(2019). 외상 후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와 남녀차이 검증, 인문사회21 10(6), 1013-1028. | 미소장 |
56 | 황예델, 이경순(2019). 남· 녀 대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과보호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7(3), 179-206. | 미소장 |
57 | Alhadabi, A., & Karpinski, A. C.(2020). Grit, self-efficacy, achievement orientation goal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University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ce and Youth 52(1), 519-535. | 미소장 |
58 | Baker, R. W., & Siryk, B.(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2), 179. | 미소장 |
59 | Block, J., & Kremen, A. M.(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 | 미소장 |
60 | Credé, M., Tynan, M. C., & Harms, P. D.(2017). Much ado about grit: A meta-analytic synthesis of the grit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3), 492. | 미소장 |
61 | Datu, J. A. D., Yuen, M., & Chen, G.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riarchic Model of Grit Scale (TMGS):Evidence from Filipino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14, 198-205. | 미소장 |
62 | Duckworth, A. L. and Quinn, P. D.(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 미소장 |
63 |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and Kelly, D. R.(2007). Grit: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 | 미소장 |
64 | Rutter, M.(1985).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7(6), 598-611. | 미소장 |
65 | Schrader, C. A., 조은미 역(1998). 움직임의 표출, 정담.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