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 운영 지침」, 국립국어원, 2017. |
미소장 |
2 |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활동 현황 조사」, 국립국어원, 2022. |
미소장 |
3 |
기준성, 「한국어교육 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모의수업․강의 실습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2(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1-22면. |
미소장 |
4 |
김서형·박선희·장미라, 「한국어 수업 참관을 위한 수업 관찰 도구 개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6(3),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51-86면. |
미소장 |
5 |
김유미, 「‘한국어 교육실습’ 교과목의 교수요목과 교육방안연구: 한국어교육 전공학부과정을 대상으로」, 『Foreign languages education(외국어교육)』 16(2),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9, 355-384면. |
미소장 |
6 |
김정숙, 「한국어교육실습 영역 교과목 운영지침(안) 공청회 발제문」,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 2015. |
미소장 |
7 |
김재욱, 「한국어교육 전공 학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언어와 문화』 5(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9, 73-94면. |
미소장 |
8 |
김재정·심미자, 「사이버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운영 사례연구」, 『대학교수-학습연구』 15(4),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2, 85-116면. |
미소장 |
9 |
김지혜, 「예비 한국어 교사의 모의수업 연구-온라인 과정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61, 이중언어학회, 2015, 45-66면. |
미소장 |
10 |
노채환·송은정, 「강의안 작성에 대한 예비 한국어 교원들의 인식 연구: 한국어교육실습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외국어교육연구』 36(4), 한국외국어대학교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227-246면. |
미소장 |
11 |
민진영·최유하, 「학점은행제 수강생들의 한국어교육 실습 분석 연구: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9,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한국어학당, 2018, 49-82면. |
미소장 |
12 |
박현진, 「한국어교육 실습 강의 참관에 대한 학부생의 인식과 기대」, 『한국언어문학』 111, 한국언어문학회, 2019, 235-256면. |
미소장 |
13 |
이윤진, 「한국어교육실습 <모형1>의 내용 구성과 운영에 대한 고찰-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 수업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65, 이중언어학회, 2016, 183-221면. |
미소장 |
14 |
진정란,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 운영 사례 분석 연구: 사이버대학 교과목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교육연구』 28(2),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4, 207-232면. |
미소장 |
15 |
한상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말 연구: 유도 발화 범주의 교사말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1, 223-253면.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