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어 예비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에 대한 예비 교원의 인식을 전반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언을 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설문조사는 2023년 6월에 진행되었으며 한국인 67명, 외국인 75명으로 총 142명이 설문에 응답했다. 조사 결과, 조사에 참여한 예비 교원들은 한국어 교원이 되는 데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 교과를 통해 강의 실습, 강의 참관, 모의 수업, 교안 작성 등 실습 경험과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휘, 문법, 발음,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화, 토픽(TOPIK) 등 한국어교육의 내용 전반에 대한 강의 참관과 교안 작성 경험을 해 보기를 기대하지만 실제 교과에서는 ‘문법’을 내용으로 하는 실습 경험을 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 교원들은 실습 교과를 통해 보다 다양한 경험을 하기를 원하며 실습으로 진행하는 한국어 강의의 내용뿐만 아니라 강의 운영과 관련한 ‘교사 수업 언어’ 등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기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모의 수업을 통해서도 ‘학습자 수준에 맞는 교사 언어 사용’ 등을 어려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예비 교원을 위한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가 강의 참관, 교안 작성, 모의 수업 등의 실습 경험을 부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 교원들이 한국어 교원으로서의 역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하는 데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가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의 확대 운영, 강의 참관의 다양화, 교안 작성과 모의 수업에서의 체계적인 피드백, 강의 운영과 관련된 요소의 중점적인 교육 등이 필요하다는 점을 예비 교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식민지 관제대중잡지 『신민』의 국학 지면 연구 = A study on Korean Studies in colonial public magazine Shinmin 권채린 p. 7-46

챗GPT 담화를 통한 시어 고찰의 실제와 활용방안 = Exploration and utilization of poetic language through ChatGPT dialogue :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Kim Soo-young’s poetic language ‘The emotion of sorrow’ : 김수영의 시어 '설움’의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 김웅기 p. 47-85
'화순탄광사건’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 A study on the literary imagery of 'Hwasun Coal Mine Incident' 박순원 p. 87-112
백석 시에 나타난 교육적 의의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value of Baek-suk's poetry : focusing on 「Bonfire」, 「There is a White Wind Wall」, 「Fox Nangol Tribe」, and 「Noodles」 in the section of 'The Nature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한국 문학의 성격과 역사’ 단원에 수록된 「모닥불」,「흰 바람벽이 있어」, 「여우난골족」, 「국수」를 중심으로 송미진 p. 113-143
암흑기 시문학 재고(再考) = Reconsideration of korean poetry in the dark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신동옥 p. 145-184
김기림 시론에서 '이미지’라는 용어의 의미 확장 양상 = A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meaning of the word 'image' in Kim Ki-Rim's poetry 안웅선 p. 185-214
의미 네트워크(Semantic Network) 기반 학교폭력 소재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한·중 대학생의 문화적 경험과 인식 분석 =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media contents using SNA(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drama <The Glory> and film <Better days> : 드라마 <더 글로리>와 영화 <소년시절의 너(少年的你)>를 중심으로 이유정, 서영호 p. 215-254
구상 시에 나타난 숭고의 특성 연구 = A study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lime in Koo Sang's poetry 이재훈 p. 255-282
1960년대 중·고등학교 교지 소재 발굴시 고찰 = A study of the poems written by prospecitve poets in middle and high school journals in the 1960s 정경은 p. 283-313
백석 시의 시제 번역 방법 연구 = A study of tense translation methods in Baekseok poems Feng, Wen-Jun p. 315-350
고통의 용인과 수양하는 주체의 성립 = Toleration of suffering and establishment of a self-cultivating subject : focusing on Kim Ho-yeon-jae(金浩然齋) : 김호연재를 중심으로 성민경 p. 351-394
지역 자원 브랜드 웹툰의 서사성과 정보성, 광고 기능 = Narrativity, informativeness, and advertising features of local resource brand webtoons 장예준 p. 395-432
한국 걸그룹 노랫말에 나타난 여성 화자의 주체성 변화에 대한 언어학적 탐색 = Linguistic exploration of the changes in female speaker subjectivity in Korean girl group song lyrics 남신혜 p. 433-465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um’ course operation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 한국어 예비 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민진영, 이수미, 손다정, 장문정 p. 467-503
대학생 학술적 보고서에 나타난 주석, 참고문헌 오류 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annotation and reference errors appearing i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reports 송인성, 전영옥, 방영심 p. 505-536
음성인식 텍스트 변환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자가 피드백 수업 사례 = A case study on self-feedback using a speech-to-text conversion program, 'CLOVA Note' : for beginner level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 초급 단계의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이보라, 이선영 p. 537-570
일본 한글학교 교사를 위한 한글학교용 범용 교재 활용 방안 = How to use universal textbooks for teachers in Japanese Hangeul schools 이진경, 장향실, 신윤경 p. 571-609
대학글쓰기 학습자의 인식 및 선호도 분석 = Perception and preference analysis of college writing learners 조효주 p. 611-653
개별화된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 = Plan to develop a individualized online Korean language curriculum 최은지 p. 655-684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 운영 지침」, 국립국어원, 2017. 미소장
2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활동 현황 조사」, 국립국어원, 2022. 미소장
3 기준성, 「한국어교육 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모의수업․강의 실습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2(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1-22면. 미소장
4 김서형·박선희·장미라, 「한국어 수업 참관을 위한 수업 관찰 도구 개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6(3),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51-86면. 미소장
5 김유미, 「‘한국어 교육실습’ 교과목의 교수요목과 교육방안연구: 한국어교육 전공학부과정을 대상으로」, 『Foreign languages education(외국어교육)』 16(2),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9, 355-384면. 미소장
6 김정숙, 「한국어교육실습 영역 교과목 운영지침(안) 공청회 발제문」,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 2015. 미소장
7 김재욱, 「한국어교육 전공 학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언어와 문화』 5(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9, 73-94면. 미소장
8 김재정·심미자, 「사이버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운영 사례연구」, 『대학교수-학습연구』 15(4),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2, 85-116면. 미소장
9 김지혜, 「예비 한국어 교사의 모의수업 연구-온라인 과정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61, 이중언어학회, 2015, 45-66면. 미소장
10 노채환·송은정, 「강의안 작성에 대한 예비 한국어 교원들의 인식 연구: 한국어교육실습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외국어교육연구』 36(4), 한국외국어대학교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227-246면. 미소장
11 민진영·최유하, 「학점은행제 수강생들의 한국어교육 실습 분석 연구: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9,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한국어학당, 2018, 49-82면. 미소장
12 박현진, 「한국어교육 실습 강의 참관에 대한 학부생의 인식과 기대」, 『한국언어문학』 111, 한국언어문학회, 2019, 235-256면. 미소장
13 이윤진, 「한국어교육실습 <모형1>의 내용 구성과 운영에 대한 고찰-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 수업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65, 이중언어학회, 2016, 183-221면. 미소장
14 진정란,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 운영 사례 분석 연구: 사이버대학 교과목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교육연구』 28(2),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4, 207-232면. 미소장
15 한상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말 연구: 유도 발화 범주의 교사말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1, 223-253면.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