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오희문의 일기 『쇄미록』에 서술된 노비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노비와 노주-양반의 관계가 단지 신분적 위계를 유지하는 명령-수행의 수직적 관계, 지배-복종의 종속적 관계에 한정되지 않았으며, 생활적, 환경적, 정서적 연결성을 유지하면서, 생명과 운명의 공동체를 형성했음을 해명했다. 『쇄미록』에는 오희문과 가족이 피난길에 종의 집에 투숙하면서 노비 일가와 상호 돌봄과 상호 의존성을 형성했던 정황이 서술된다. 피난처에서 노-주는 같은 음식을 먹는 섭생과 생명의 공동체였으며, 주거, 날씨, 질병 등 환경을 공유했다. 노-주가 함께 노동에 참여했고, 노주의 명으로 노비가 대리적인 상행위를 하는 등 노-주는 생활적 차원에서도 신뢰의 연결성을 유지했다. 노-주는 일정 부분 감정적으로 공감하고 추억과 꿈을 나누는 정서와 영적 공동체였으며, 제사와 의례를 함께 지내거나 대리 수행하는 연결성을 형성했다. 그 밖에 노-주는 음악, 잔치, 유람을 함께 즐기는 풍류와 감성의 공동체적 성격을 공유했다. 노비는 신분적 특성으로 인해 문자 습득과 제도 교육으로부터 배제되었지만, 양반과의 접속, 교류, 교섭, 연결성을 통해 신체적⋅경험적으로 지식과 정보, 교양과 감성을 축적하면서 스스로를 일종의 ‘아카이브 신체’로 단련했다. 양반과 노비는 일상의 필요나 사안에 따라 조립식 신체처럼 접속과 분리를 반복하며 탄력적인 연결성을 유지했다. 이 연구에서는 신분적, 젠더적 동질 집단 중심으로 조선시대를 사유할 때 인지할 수 없었던 노-주의 교섭과 연결성에 대해 주목해, 노-주 관계의 복합성, 다층성, 연결성, 공동체성을 문학해석학적으로 해명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근대이전 한국 석비문 및 비지문의 문체 = The literary style of steles and epigraphs : focusing on Kŭmsŏkchipch'ŏp and Kŭmsŏkchipch'ŏp : 『금석집첩』·『금석속첩』을 중심으로 심경호 p. 11-44

『금석집첩』 수록 17~18세기 普賢寺 僧碑와 불교계 승비 건립의 변화 = Buddhist memorial stones of Bohyeonsa in GeumseokJipcheop and the change of making Buddhist memorials in 17th~18th century 정병삼 p. 45-88

영조 대에 조성된 왕실 석물과 현판 = Royal tombstone and royal signboard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김문식 p. 89-122

조선시대 노-주의 연결망과 공동체성, '아카이브 신체' = The network. community and archived body between Nobi (servants) and Yangban during Joseon period : a literary and interpretive study on the records of ths servants in Soaemirok : 『쇄미록』의 노비 기록에 대한 문학해석학적 연구 최기숙 p. 129-160

양모(養母)와 생모(生母) = Adoptive mother and birth mother : Jane Jeong Trenka's self-narrative and reconfiguring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 제인 정 트렌카의 자기서사와 모녀 관계의 재구성 장영은 p. 161-182

비장소의 쓰기-기록 = Writing-document of non-places : focusing on the autobiographical essay of an overseas adoptee : 해외입양인의 자전적 에세이를 중심으로 소영현 p. 183-210

유협의 『문심조룡』에 함유된 주요 易學 思想 분석 = Analysis on the core idea of I-Ching contained in YuHyeop's WénXīnDiāoLóng 조희영 p. 213-242

『삼국유사』 「흥법」편의 구성적 의미 = A study on the deployment and its meaning of Heungbeop(興法) in Samguk Yusa 정천구 p. 243-266

檀君天王堂에서 三聖祠로, 그리고 평양 檀君廟 건립에 따른 폐치 논란 = From Tangun Heavenly King Shrine(檀君天王堂) to Samseong-sa Shrine(三聖祠), and the debates on its abolit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Tangun-sa Shrine(檀君廟) in Pyeongyang 김성환 p. 267-301

조선본 『故事成語考』 연구 = A study on Gosaseongeogo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장연수 p. 303-328

『喪禮備要』의 판본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editions of Sangryebiyo 장동우 p. 329-369

조선시대 과거 응시 자격과 赴擧都目 = Qualifications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Bugeodomok in the Joseon Dynasty 박현순 p. 371-407

일제강점기 신종교의 위장 개종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disguised conversion of new religion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focusing on the case of Suwoongyo : 수운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창익 p. 409-436

현순의 공연 관련 활동 내용과 의의 = Soon Hyun's participation in performing arts : key activities and implications 최희영 p. 437-460

학술 용어 자료 구축 결과물의 정의문의 구조와 보완 =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mplementation of definition sentence of the results of construction of academic terminology 이준환 p. 495-530

'탈북민은 직설적이다?' = Are North Korean defectors straightforward? : a study on the meanings of North Korean defectors' blunt speaking : 북한이탈주민 화법 논의에서 '직설성'의 의미 연구 이주랑 p. 531-550

1960년대 문예영화와 전유되는 '열녀’의 기표들 = Literary films in the 1960s and the appropriated signifier of 'Yeol-Nyeo' (virtuous women) : focusing on Shin Sang-ok's films, Seong Chun-hyang (1961), Sarangbang Sonnimgwa Eomeoni (Mother and a Guest, 1961), and Yeollyeomun (Bound by Chastity Rule, 1962) : 신상옥 감독의 <성춘향>(1961),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열녀문>(1962)을 중심으로 이민영 p. 461-493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오희문, 『쇄미록』 1-8, 국립진주박물관 편, 전주대 한국고전학연구소 옮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미소장
2 『譯註 經國大典』 飜譯篇, 韓沋劤 외 옮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5. 미소장
3 강명관, 『노비와 쇠고기』, 푸른역사, 2023. 미소장
4 김용만, 『朝鮮時代 私奴婢硏究』, 집문당, 1997. 미소장
5 이수건 편저, 『경북지방고문서집성』, 영남대 출판부, 1981. 미소장
6 이혜정, 「16세기 奴婢의 삶과 의식세계: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7 전형택, 『조선 양반사회와 노비』, 문현, 2010. 미소장
8 정성미, 「『쇄미록』 연구」, 원광대 박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9 조우영, 『경국대전의 신분제도』, 한국학술정보, 2008. 미소장
10 지승종, 『朝鮮前期 奴婢身分硏究』, 일조각, 1995. 미소장
11 최기숙, 「『묵재일기』. 16세기 양반의 감정 기록에 대한 문학/문화적 성찰」, 『국어국문학』 193, 국어국문학회, 2020. 미소장
12 최기숙, 「女工⋅婦德⋅梱政과 ‘영혼 노동’: 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결혼생활과 노동/장 재성찰」, 『인문과학』 123,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원, 2021. 미소장
13 최기숙, 「여종의 젖과 눈물, 로봇-종의 팔다리: ‘사회적 신체’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신분제의역설」,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2. 미소장
14 최기숙, 『이름 없는 여자들, 책갈피를 걸어나오다』, 머메이드, 2022. 미소장
15 최기숙, 「매 맞는 노비와 윤리/교양의 역설: 『묵재일기』의 문학해석학적 연구」, 『동방학지』 203, 연세대 국학연구원, 2023. 미소장
16 Marc Augé, 『비장소』, 이상길⋅이윤영 옮김. 아카넷, 1992/20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