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오희문의 일기 『쇄미록』에 서술된 노비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노비와 노주-양반의 관계가 단지 신분적 위계를 유지하는 명령-수행의 수직적 관계, 지배-복종의 종속적 관계에 한정되지 않았으며, 생활적, 환경적, 정서적 연결성을 유지하면서, 생명과 운명의 공동체를 형성했음을 해명했다. 『쇄미록』에는 오희문과 가족이 피난길에 종의 집에 투숙하면서 노비 일가와 상호 돌봄과 상호 의존성을 형성했던 정황이 서술된다. 피난처에서 노-주는 같은 음식을 먹는 섭생과 생명의 공동체였으며, 주거, 날씨, 질병 등 환경을 공유했다. 노-주가 함께 노동에 참여했고, 노주의 명으로 노비가 대리적인 상행위를 하는 등 노-주는 생활적 차원에서도 신뢰의 연결성을 유지했다. 노-주는 일정 부분 감정적으로 공감하고 추억과 꿈을 나누는 정서와 영적 공동체였으며, 제사와 의례를 함께 지내거나 대리 수행하는 연결성을 형성했다. 그 밖에 노-주는 음악, 잔치, 유람을 함께 즐기는 풍류와 감성의 공동체적 성격을 공유했다. 노비는 신분적 특성으로 인해 문자 습득과 제도 교육으로부터 배제되었지만, 양반과의 접속, 교류, 교섭, 연결성을 통해 신체적⋅경험적으로 지식과 정보, 교양과 감성을 축적하면서 스스로를 일종의 ‘아카이브 신체’로 단련했다. 양반과 노비는 일상의 필요나 사안에 따라 조립식 신체처럼 접속과 분리를 반복하며 탄력적인 연결성을 유지했다. 이 연구에서는 신분적, 젠더적 동질 집단 중심으로 조선시대를 사유할 때 인지할 수 없었던 노-주의 교섭과 연결성에 대해 주목해, 노-주 관계의 복합성, 다층성, 연결성, 공동체성을 문학해석학적으로 해명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오희문, 『쇄미록』 1-8, 국립진주박물관 편, 전주대 한국고전학연구소 옮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 미소장 |
2 | 『譯註 經國大典』 飜譯篇, 韓沋劤 외 옮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5. | 미소장 |
3 | 강명관, 『노비와 쇠고기』, 푸른역사, 2023. | 미소장 |
4 | 김용만, 『朝鮮時代 私奴婢硏究』, 집문당, 1997. | 미소장 |
5 | 이수건 편저, 『경북지방고문서집성』, 영남대 출판부, 1981. | 미소장 |
6 | 이혜정, 「16세기 奴婢의 삶과 의식세계: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7 | 전형택, 『조선 양반사회와 노비』, 문현, 2010. | 미소장 |
8 | 정성미, 「『쇄미록』 연구」, 원광대 박사학위논문, 2003. | 미소장 |
9 | 조우영, 『경국대전의 신분제도』, 한국학술정보, 2008. | 미소장 |
10 | 지승종, 『朝鮮前期 奴婢身分硏究』, 일조각, 1995. | 미소장 |
11 | 최기숙, 「『묵재일기』. 16세기 양반의 감정 기록에 대한 문학/문화적 성찰」, 『국어국문학』 193, 국어국문학회, 2020. | 미소장 |
12 | 최기숙, 「女工⋅婦德⋅梱政과 ‘영혼 노동’: 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결혼생활과 노동/장 재성찰」, 『인문과학』 123,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원, 2021. | 미소장 |
13 | 최기숙, 「여종의 젖과 눈물, 로봇-종의 팔다리: ‘사회적 신체’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신분제의역설」,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2. | 미소장 |
14 | 최기숙, 『이름 없는 여자들, 책갈피를 걸어나오다』, 머메이드, 2022. | 미소장 |
15 | 최기숙, 「매 맞는 노비와 윤리/교양의 역설: 『묵재일기』의 문학해석학적 연구」, 『동방학지』 203, 연세대 국학연구원, 2023. | 미소장 |
16 | Marc Augé, 『비장소』, 이상길⋅이윤영 옮김. 아카넷, 1992/201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