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이사야서에 나타난 다양한 양상의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에 천착하고, 그 해석을 기반하여 성경적 정의가 회복적 정의를 지향하고 있음을 논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 연구는 기존의 학자들이 주로 신약성경의 기독론에 근거해 회복적 정의를 지지해 왔던 이론적 한계를 뛰어넘어, 구약성경 신학의 관점을 토대로 회복적 정의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학문적 가능성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기독교 역사를 통해 많은 해석학적 어려움과 오해를 도출하였던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이 회복적 정의의 방편으로서 언약 백성의 회복과 그들이 수행해야 할 열방 선교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심도 있게 조망할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고는 크게 세 개의 중요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우리는 이사야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과 관련하여, 성경적 정의가 보응적 정의와 회복적 정의 중, 어느 개념적 범주에 속하는지 논할 것이다. 다음으로, 논자는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을 기술하는 이사야서 본문들(1:24-28, 10:5-11, 20-23, 19:23-25, 34:5-12, 52:13-53:12)을 중심으로, 그 진노와 심판의 양상과 목적을 회복적 정의의 관점에서 상세히 논할 것이다. 끝으로, 논자는 이사야서의 거대 구원의 담론(mega-salvation discourse) 속에서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이 시온 백성의 회복과 열방 선교를 향해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살필 것이다. 이 논의는 성경에 기술된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을 회복적 정의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학문적·실천적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pprove that the biblical justice is pursuing to the restorative justice based on the thorough investigation of God’s anger and judgement in the book of Isaiah. This study will provide the new academic possibility to appreciate the restorative justice from the angle of the Old Testament biblical theology beyond the theoratical limitation which solely argues it based on the Christology in the New Testament. Also, it will give a chance to interpret God’s anger and judgement, the biblical theme which has given rise to the enormous amount of misunderstanding and confusion in the Christian history, from the new perspective of the restorative justice and its influence on the restoration of Zion and mission of the nations. To achieve this goal, this article comprises of three main parts. First,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God’s anger and judgement in the Book of Isaiah, we will define the point that the biblical justice prefers the restorative justice to the punitive justice. Second, we will explicate a number of texts in Isaiah which contain the theme of God’s anger and judgement in terms of the restorative justice(Isa. 1:24-28, 10:5-11, 20-23, 19:23-25, 34:5-12, 52:13-53:12). Finally, within the mega-salvation-discourse of Isaiah, we will see how God’s anger and judgement contributes to Zion’s restoration and the mission of the nations as the restorative justice. This study will provide the new academic and practical possibility to interpret God’s anger and judgement from the restorative justi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 보응적 정의, 또는 회복적 정의를 이루는가? = God’s anger and judgement, does it achieve the punitive justice, or the restorative justice? 최윤갑 p. 7-38

로마서에 나타난 "그 종"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종 바울 = "The servant" Jesus Christ and his servant Paul in Romans 김명일 p. 39-70

(A) reformed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the second reformation by righteousness = 민중신학의 '의로 말미암는 제2종교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개혁주의적 응답 : 로마서 9:30-10:13을 중심으로 본 민중신학의 의 개념에 대한 개혁주의적 비평 : a reformed critique of the concept of righteousness in Minjung theology centering on Romans 9:30-10:13 Young Rae Kim p. 71-104

견인과 율법의 제3용법 관계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everance and the third use of the law 황병훈 p. 105-139

헤르만 바빙크의 은사 이해 = A study of Herman Bavinck’s understanding of spiritual gifts : with a focus on his Magnalia Dei : 『하나님의 큰 일』을 중심으로 이재욱 p. 141-171

태아 그리고 하나님의 형상 = The unborn and the image of God : a theological analysis for the amendment of abortion law : 낙태법 개정을 위한 신학적 분석 신원하 p. 173-205

장로교 진흥운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esbyterian Promotion Movement : focusing on Daegu and Gyeongbuk in the 1920s : 1920년대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김병희 p. 207-241

한국교회 생태계와 선교적 교회개척 = Korean church ecosystem and missional church planting 양현표 p. 243-276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mstutz, Lorraine S. “Restorative Justice: the Promise and the Challenge,”Vision 14 (2013), 24-30. 미소장
2 Blaising, Craig A. “The Day of the Lord: Theme and Pattern in Biblical Theology,” Bibliotheca Sacra 169 (2012), 3-19. 미소장
3 Blenkinsopp, Joseph. Isaiah 1-39: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New Haven: The Anchor Yale Bible, 2000. 미소장
4 Broughton, Geoff. “Restorative Justice: Opportunities for Christian Eng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Theology 3 (2009), 299-318. 미소장
5 Brueggemann, Walter. Isaiah 1-39.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8. 미소장
6 Childs, B.S. Isaiah.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1. 미소장
7 Hamilton, James M. Jr, God’s Glory in Salvation through Judgment: A Biblical Theology. Wheaton: Crossway, 2010. 미소장
8 Johnstone, Gerry & Van Ness, Daniel W. Handbook of Restorative Justice. Devon: Willan Publishing, 2007. 미소장
9 Kaiser, Otto. Isaiah 1-12. OTL.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83. 미소장
10 Kaiser, Walter C. Jr, Mission in the Old Testament: Israel as a Light to the Nations. Grand Rapids: Baker Books, 2000. 미소장
11 Marshall, Chris. The Little Book of Biblical Justice: A Fresh Approach to the Bible’s Teachings on Justice. Intercourse:Good Books, 2005. 미소장
12 Marshall, Chris. Beyond Retribution: A New Testament Vision for Justice, Crime and Punishment. Grand Rapids: Eerdmans, 2001. 미소장
13 Motyer, J. Alec. The Prophecy of Isaiah: An Introduction & Commentary. Downers Grove: IVP Academic, 1993. 미소장
14 Okoye, James Chukwuma. Israel and The Nations: A Mission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Maryknoll: Orbis Books, 2006. 미소장
15 Weiss, Meir. “The Origin of the 'Day of the Lord': Reconsidered,” Hebrew Union College Annual 37 (1966), 29-71. 미소장
16 Williamson, H.G.M. Isaiah 1-5: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New Your: Bloomsbury, 2014. 미소장
17 Yoon, I Sil. “The Impact of Theological Foundation of Restorative Justice for Human Rights Protections of North Korean Stateless Women as Victims of Human Trafficking,” Theological Studies 75 (2019), 1-10. 미소장
18 김명일. “God’s Judgment through the Davicid Messiah: Paul’s Use of the Suffering Servant in Isaiah 53”, 「갱신과 부흥」 26 (2020), 7-42. 미소장
19 김윤희. “21세기 상황 속에서의 선교 그리고 구약,” 「성경과 신학」 42 (2007), 34-65. 미소장
20 발터 아이히로트. 『구약성서신학 I』. 박문재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88. 미소장
21 존 골딩게이. 『이사야』. 윤성현 역. 서울: 성서유니온, 2001. 미소장
22 하워드 제어. 『회복적 정의란 무엇인가?』. 손진 역. 서울: 한국 아나뱁티스트 출판사, 201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