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 첫해 영아반 초임교사로서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 실행을 위한 원내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했던 교사들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영아반 초임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영아반 초임교사가 인식한 원내 교사학습공동체의 역할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영아반 초임교사 시절 원내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 6명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3월 24일부터 2022년 5월 1일까지 실시된 집단면담, 연구참여자의 기록작업과 저널, 연구자 일지 작성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초임교사들은 의무적으로 참여한 일이 공식적·비공식적 협의를 통해 일상이 되는 변화를 경험하였고, 판단을 유보한 수동적 업무이행에서 반복·순환적 과정을 통한 능동적 탐구로 변화하면서 원내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관점이 ‘일’에서 ‘삶’으로 변화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둘째, 영아반 초임교사들은 원내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면서 관계 형성의 시작과 협력적 운영을 통해 교직적응을 하고, 민주적 협의문화 속에서 잠재력을 발휘하며 주체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가 영아반 초임교사를 위한 유용한 지원 체계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novice infan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in-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during their first year of teaching to implement an infant-centered and play-based curriculum. Through this exploration, the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shifts in perspectives of novice infant teachers regarding their involvement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well as the roles and significance attributed to the in-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perceived by the novice infant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ix novice infant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an in-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within their institution during their first year of teaching. Data collection involved group interviews conducted from March 24, 2022 to May 1, 2022, along with participant documentation, journals, and researcher journ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novice infant teachers experienced a transformation from mandatory participation to a habitual engagement fostered by formal and informal discussions with their colleagues. They also shifted from passive compliance with judgment deferral to active inquiry facilitated by iterative and circular processes. Furthermore, they changed their perception of the in-school teaching learning community, evolving from viewing it as 'work' to considering it a part of 'life'. Secondly, as participants in the in-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novice infant teachers perceived that their participation enabled them to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through relationship-building and collaborative implementation. They were able to demonstrate their potential and grow autonomously within a culture of democratic consult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n in-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can serve as a valuable support system for novice infant teacher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영미(2005).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곽노의, 배정호(2012). 멘토링을 통한 초임 남자유아교사의 교직적응과정 탐색: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2), 31-60. | 미소장 |
3 | 곽향림(2019). 누리과정에 따른 단위유치원 교육과정설계: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유아교육연구, 39(2), 333-35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4 | 미소장 |
4 | 교육부, 보건복지부(2019). 2019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 미소장 |
5 | 권현조(2022). 존재론적 관점에서 본 1세반 초임교사의 교사 되어가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권현조, 전홍주(2020). ‘되기(becoming)’ 관점에서 1세반 초임교사 바라보기. 교육문화연구, 26(5), 971-999. https://doi.org/10.24159/joec.2020.26.5.971 | 미소장 |
7 | 김경은, 정지현(2016). 국내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1), 213-238. | 미소장 |
8 | 김경철, 김안나(2010). 세 명의 초임교사가 경험한 공립유치원의 3월 이야기. 생태유아교육연구, 9(3), 109-129. | 미소장 |
9 | 김민조, 심영택, 김남균, 김종원(2016). 교사들의 ‘반자발성’에서 출발한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3(4), 223-248. https://doi.org/10.24211/tjkte.2016.33.4.223 | 미소장 |
10 | 김언경, 박신영(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텍스트 연결망 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22(4), 1-25. https://doi.org/10.15409/riece.2020.22.4.1 | 미소장 |
11 | 김영신(2022).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김태수(2018). 수업전문성에 관한 중등수석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8), 489-507.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8.489 | 미소장 |
13 | 김태영(2022).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2), 145-172. https://doi.org/10.22590/ecee.2022.26.2.145 | 미소장 |
14 | 김혜선(2006). 교사되기를 향한 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육 이야기. 유아교육연구, 26(2), 283-308. | 미소장 |
15 | 박선미(2014).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나타난 교사발달의 의미 탐색. 인문학논총, 35, 285-311. | 미소장 |
16 | 박혜지(2019). 유치원 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공동체 참여경험과 의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보건복지부(2020).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 미소장 |
18 | 사영숙(2016). 수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영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 탐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서경혜(2008).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53-80. | 미소장 |
20 | 서경혜(2013). 교사 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 교육과학연구, 44(3), 161-191. | 미소장 |
21 | 서혜전, 공현희(2021).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 분석: 4차 표준보육과정 적용에따른 교사 인식과 실천 변화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지원연구, 6(1), 67-97. https://doi.org/10.52384/JECEC.2021.6.1.67 | 미소장 |
22 | 성구진, 김지은(2022).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 정책 실태 및 동향 분석: 시⋅도교육청의 유아교육 주요업무계획을 중심으로. 교육논총, 42(2), 201-220. https://doi.org/10.25020/je.2022.42.2.201 | 미소장 |
23 | 성정민, 박희숙, 송윤나(2021).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가 영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20(4), 129-151. https://doi.org/10.21183/kjcm.2021.12.20.4.129 | 미소장 |
24 | 손은실, 오채선(2022). 유치원 안과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나타난 교사 체험과 배움의 의미.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2(1), 55-101. http://dx.doi.org/10.26834/kscice.2022.04.15.55 | 미소장 |
25 | 신은미(2022). 협력적 컨설팅을 통한 초록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탐색. 한국유아교육연구, 22(3), 367-393. https://doi.org/10.15409/riece.2020.22.3.16 | 미소장 |
26 | 안태연, 임수연(2019). 초등 초임교사의 첫 학기: 실천공동체의 관점에서. 교원교육, 35(4), 217-238. https://doi.org/10.14333/KJTE.2019.35.4.217 | 미소장 |
27 | 안혜준(2014).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사례분석을 통한 학습공동체 경험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8(4), 5-32. | 미소장 |
28 | 양정은(2020).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초임 유아교사의 유아관찰 평가의 실천과 반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5), 159-170. https://doi.org/10.21184/jkeia.2020.7.14.5.159 | 미소장 |
29 | 유기미(2022). 영아반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적 경험.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윤선영, 임환미(2021). 학습공동체 작업을 통한 영유아중심·놀이중심 개정 표준보육과정 적용 과정에 대한 탐구. 질적탐구, 7(1), 205-243. http://dx.doi.org/10.30940/JQI.2021.7.1.205 | 미소장 |
31 | 윤희경(2016). 초임유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777-798. http://dx.doi.org/10.22154/JCLE.17.4.33 | 미소장 |
32 | 이원미, 권연희(2022).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의 의미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2), 1-18. http://dx.doi.org/10.14698/JKCCE.2022.18.02.001 | 미소장 |
33 | 이은정(2020). 유아교육기관 교사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교육연구논총, 41(3), 83-106. http://dx.doi.org/10.18612/cnujes.2020.41.3.83 | 미소장 |
34 | 이은정, 황해익(2022). 긍정조직학에 기반한 보육교사 학습공동체 지원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26(5), 25-52. http://doi.org/10.32349/ECERR.2022.10.26.5.25 | 미소장 |
35 | 이은화, 정가윤(2022).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배움 공동체 유아교사들의 배움과 성장 과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 321-346. http://doi.org/10.22251/jlcci.2022.22.16.321 | 미소장 |
36 | 이재은(2013). 초임 유치원 교사에게 멘토링의 의미와 초임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성공적인 멘토링을 위한 조건.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357-377. | 미소장 |
37 | 이준희, 이경호(2015). 전문가 학습공동체 구현양상에 관한 질적연구: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8(2), 1-29. | 미소장 |
38 | 임명희(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과정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경험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20(3), 1-23. https://doi.org/10.21213/kjcec.2020.20.3.1 | 미소장 |
39 | 정혜욱, 이윤주(2021). 공립유치원 교사의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23(2), 1-25. https://doi.org/10.15409/riece.2021.23.2.1 | 미소장 |
40 | 조영재(2015). 초등 초임교사 교직적응곤란 영향 요인 분석. 초등교육연구, 28(1), 133-157. | 미소장 |
41 | 조형숙, 김민정(2011).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학습공동체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1(4), 119-141. | 미소장 |
42 | 조혜진, 김옥주(2012).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105-126. | 미소장 |
43 | 주현준(2010).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모임에 관한 질적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2(3), 460-475. | 미소장 |
44 | 진다정, 이승연(2021). 놀이중심 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과정과 의미: 하늘초 병설유치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연구, 23(2), 26-57. https://doi.org/10.15409/riece.2021. 23.2.2 | 미소장 |
45 | 최성운(2014). 유아수학교육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6 | 최예린(2014). 소모임과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초임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적응 과정.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83-108. | 미소장 |
47 | 최지현, 권경숙(2012). 미혼 초임교사의 영아반 적응과정 탐색. 육아지원연구, 7(2), 75-102. https://doi.org/10.16978/ecec.2012.7.2.004 | 미소장 |
48 | 최효영(2010). 영아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경험과 그 의미.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9 | 탁정화, 황해익(2012).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73-103. | 미소장 |
50 | 황소영(2020). 유아교사학습공동체 운영지원을 위한 놀이중심 보육과정 컨설팅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1213-1242.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21.1213 | 미소장 |
51 |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https://doi.org/10.1086/46073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