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무용극의 커뮤니케이션이 관객의 관람몰입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유의표집 방법으로 ‘어린이무용극’을 관람한 성인관객(보호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49부를 최종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WLN 24.0을 활용했고 자료처리 통계분석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이다. 결과 첫째, 어린이무용극의 커뮤니케이션은 관람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무용극의 커뮤니케이션은 재관람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무용극의 관람몰입은 재관람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무용극의 관람몰입은 커뮤니케이션과 재관람의도에 직·간접적으로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어린이무용극의 커뮤니케이션의 요소(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는 관객의 관람몰입을 높이며, 재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of children's dance dramas on the audience's immersion in viewing and intention to rewatch them.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adult audiences (guardians) who watched "Children's Dance Drama" as a significant sampling method, and 349 copi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used SPSSWLN 18.0, and the data process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mmunication of children's dance plays had a static and significant effect on viewing immer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ommunication of children's dance plays had a static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mmersion in watching children's dance dramas had a static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watch them. Fourth, it was found that viewing immersion in children's dance dramas had a very significant effect directly or indirectly on communication and re-view intention.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children's dance dramas increase the audience's immersion in viewing and affect the intention to re-watch.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취업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The medit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nxie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athletes 정재은 p. 1-19

파크골프에 참여하는 노년층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park golf 김옥주, 서재열 p. 20-35
대학운동선수가 은퇴 후 진로전환 과정에서 겪는 재사회화 경험 탐색 = Exploring the re-socialization experiences of college athletes in the process of career transformation after retirement 이완영 p. 36-50
태권도 품새의 경기화 = Competitionalization of taekwondo Poomsae : a study on the change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 변천에 관한 고찰과 발전방향 신종섭, 권헌수 p. 51-72
어린이무용극의 커뮤니케이션이 관람몰입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munication in children's dance drama on watching immersion and re-watching intention 이현수, 임자영, 정은혜 p. 73-87
한국과 동남아 화장품의 정의와 표시 규정 차이에 따른 K-뷰티 관리제도 개선 방안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beau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definition and labeling regulations of Korean and Southeast Asian cosmetics :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cosmetics export experts : 화장품 수출 전문가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김진숙 p. 88-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