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삶의 과정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심층면접 자료 분석은 Mandelbaum(1973)이 제시한 세 가지 생애사 분석틀, 즉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삶의 영역은 「아버지의 과거 전력이 원죄가 되어 소수자 중의 소수자로 삶아가는 삶」, 「남편을 잃은 후 온몸으로 세상의 비난을 받아낸 삶」, 「중국 한족 노인 수발인으로서의 삶」, 「희망의 땅 남한에서 두 번의 결혼과 배신」으로 4개, 전환점은 「흥남 철수 탈출 실패와 반동분자로서의 북한잔류」, 「반동분자 자손들 간의 결혼」, 「남편과 사별 후 고난의 행군 시대 두 자녀의 상실」, 「중국으로의 밀입국 후, 열여덟 살 많은 한족 노인과 결혼」, 「한국 정착 후 네 살 연하의 남편과 결혼」, 「노인과의 결혼과 병수발」으로 6개, 적응은 「반동분자의 딸로서 무조건 참아내는 적응전략」, 「남편을 잃은 후 고난의 행군시절, 과부로서의 삶의 적응」, 「중국에서의 적응 전략: 도구적 수단으로서의 결혼」, 「남한에서의 적응 전략: 나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2번의 결혼」, 「사회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든든한 의지처 찾기」으로 5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리듬청각자극(RAS) 기법을 활용한 음악치료가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 균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using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RAS) on gait, balance and quality of life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강하은, 강경선 p. 1-16

여성의 폭식행동 경향성에 대한 비대면 마음챙김 기반 섭식 프로그램의 효과 =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Mindfulness-Based Eating Awareness Training(MB-EAT) on binge eating-prone women 홍혜정, 용홍출, 박중규 p. 17-36

외로움과 섭식 문제에 관한 메타분석 = Loneliness and eating problems : meta-analysis 김건우, 박기룡, 정보연, 이정현, 김수아, 김보영 p. 37-48

아동기 초기 외상과 경계선 성격 성향의 관계에서 정서 반응성과 정서 조절 곤란의 다중매개효과 =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허주연, 황성훈 p. 49-71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삶의 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lderly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ing life : based on Mandelbaum’s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 Mandelbaum의 생애사 분석방법을 토대로 양민숙, 강수운, 이동훈 p. 73-93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박영숙, 김보영 p. 95-113

자기애적 취약성과 공격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aggression :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rumination :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 이수연, 이종환, 임종민, 장문선 p. 115-130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에 대한 대상관계 미술치료 사례연구 = Case study on the change in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objective relations art therapy 이해정, 정재원, 임지향 p. 131-160

트라우마사건 및 사별 경험에 대한 대처 자기효능감 척도(CSE-7)의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study of the 7-item coping self-efficacy scale after experiencing traumatic events and bereavement (CSE-7) 엄희준, 이덕희, 김민지, 이동훈 p. 161-180

초등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표현력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self-expression by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백서호, 김장회 p. 181-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