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문지원. (2022).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1』. 서울: 김영사. | 미소장 |
2 | 박성철·Malte, K., 최경인. (2017). 비속어의 번역전략 연구: 한독 영화자막 번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21(2), 27~51. | 미소장 |
3 | 서정목. (1996). 문화적 차이에 따른 Business Communication. 『동서인문학』 28, 343~361. | 미소장 |
4 | 서정목. (2009). 대조분석과 번역에 있어서의 등가. 『영미어문학』 93, 249~271. | 미소장 |
5 | 서정목·구본석. (2022). K-컬처에 있어 한국 영화의 자막번역 전략에 관한 연구: 베트남어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년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96~101. | 미소장 |
6 | 신상범. (2020). 압축의 미학을 위한 자막번역 전략연구-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통번역교육연구』 18(2), 167~186. | 미소장 |
7 | 이상빈. (2016). 트렌스크리에이션, 기계번역, 번역교육의 미래. 『통역과 번역』18(2), 129~152. | 미소장 |
8 | 임형재·이석철·리번켈빈. (2022). 『문화소 번역의 이론과 실제』. 서울: 박이정. | 미소장 |
9 | 전지현·최진실·박기성. (2017). 영상매체 속 비속어 한영번역 양상 및 영어학습자들의 번역수용에 관한 연구. 『언어과학』 24(3), 65~87. | 미소장 |
10 | Baker, M. (1992). In Other Words . 3rd edition,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11 | Brooks, N. (1968). Teaching Culture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Foreign Language Annals 1, 204-217. | 미소장 |
12 | Harvey, M. (2002). What’s so special about Legal Translation? Meta 47(2), 177-185. | 미소장 |
13 | Newmark, P. (1988). A Textbook of Translation. New York: Prentice-Hall International. | 미소장 |
14 | Nida, E. (1964). Toward a Science of Translating. Leiden: E. J. Brill. | 미소장 |
15 | Nord, C. (2018). Translating As a Purposeful Activity. 2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16 | Pedersen, J. (2011). Subtitling Norms for Television. Amsterdam/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 미소장 |
17 | Sarchevic, S. (1997). New Approach to Legal Translation. Hague: Kluwer Law International. | 미소장 |
18 | Varó, E & Hughes, B. (2002). Legal Translation Explained. Manchester: St. Jerome Publishing. | 미소장 |
19 | Venuti, L. (1995). The Invisibility of the Translater: A History of Translation.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20 | Vinay, J. & Darbelnet, J. (1958). Stylistique Comparée du Français et de l'anglais:Méthode de Traduction. Paris: Didier. | 미소장 |
21 | Tylor, E. B. (1871). Primitive Culture -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Language, Art, and Custom. London:Routledge. | 미소장 |
22 | 네이버국어사전(2023.8.10.). ko.dict.naver.com | 미소장 |
23 | 토킹어바웃(2023.7.1.). 콘텐츠 번역 “초월번역”으로 커가는 K-콘텐츠 시장. https://talkingabout.kr/news | 미소장 |
24 | 한국번역연구소(2023.7.20.).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영어 자막 호평. 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ktri8888&logNo=222844850914&cat egoryNo =54&parentCategoryNo=0 | 미소장 |
25 | Crayons & Marketers(2023.7.29.). crayonsandmarketers.com/news/transcreation-content-profiling-and-creativityin-marketing-campaigns | 미소장 |
26 | Subscene(2023.7.20.). https://subscene.co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