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paper discussed the 'Translation Transformation' Theory of Barkhudarov L.S., a representative scholar in the field of Russian translation theory. Based on the theory, the Russian-Korean translation aspects of Nikolai Gogol's short story, The Nose,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as Barkhudarov argued, the Translation Transformation Theory was a useful methodology for analyzing translation aspects between source and target languages. Second, in literary texts, translators produced optimal translations, attempting creative interventions by adapting the overall context of the text, and concretization, compensation, and addition were also used. Third, sentences containing cultural-bound lexis showed diverse translation aspects, and in such circumstances, mistranslation cases were frequently observed. Fourth, mistranslation cases were often found in translating figurative and idiomatic expressions. Because these expressions were often unfamiliar in the target language when translated directly. the best translation strategy was to achieve equivalence in meaning through the translator's active interventio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Translation method to acquire the idiomatic expressions of the passive voice Byun, Hye Won p. 5-23

학습 동기부여를 위한 메타버스 연계 게임화 기반 통역 교육 연구 = Gamification and metaverse based interpreter education for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 focusing on the needs of learners and trainers : 통역 교육 및 학습 주체의 수요를 중심으로 허지운 p. 25-46

기능주의 번역 이론에 기초한 애니메이션 영화 포스터 번역 분석 = A study on the English-Korean translation of animation film posters based on functional theories of translation 김혜영 p. 47-69

한영 자막번역에 있어서 문화소 번역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nslation strategies of culturemes in subtitle translation from Korean to English : focusing on TV drama, 「Extraordinary Attorney, Woo Young-Woo」 :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중심으로 서정목 p. 71-100

식민담론 텍스트의 비판적 다시쓰기 고찰 = A study on critical rewriting of colonial discourse text : based on American news translation : 미국뉴스 번역을 중심으로 신상범 p. 101-117

한국문학 번역서에서 표출되는 한국의 이미지 변화 = Evolution of Korea's representation in translated Korean literature 신지선 p. 119-135

한영 통번역을 위한 미국영어 형태 고찰(考察) = A study on American English for Korean-English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 focusing on early American settlers' English expressions : 미국 초기 정착민의 영어 표현을 중심으로 유선영 p. 137-154

고골의 단편소설 「코」의 러한 번역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translation aspects of Gogol's short story The Nose : focusing on Barkhudarov's theory of translation transformation : L.S. Barkhudarov의 번역 변환(translation transformation) 이론을 중심으로 최병근 p. 155-177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성희. (2002). 영한번역에 나타난 결속구조 전환양상. 『번역학연구』 3(1), 125-144. 미소장
2 김정우. (2010). 모파상 단편 'L'odyssée d'une fille'의 한국어 번역과 영어 번역의 비교 연구. 『번역학연구』 11(3), 125-144. 미소장
3 김효중. (1998). 『번역학』. 서울: 민음사. 미소장
4 김효중. (2004). 『새로운 번역을 위한 패러다임』. 서울: 푸른사상. 미소장
5 권상미. (2014). 한-영 동시통역 교육에 있어 의미기반 통역 훈련의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 - 문장 서두의 전환(shift) 훈련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18(4), 1-23. 미소장
6 Vinay, J.P. & Darbeinet, J. (2003). 『불어와 영어의 비교문체론』. 전성기(역). 서울:고려대학교출판부. 미소장
7 박철우, 김윤신, 김진웅, 긴진해, 박재연, 이동혁, 이지영, 이찬규, 이혜용, 임채훈, 정연주, 조경순, 최경봉, 최윤지. (2023). 『한국어 의미론』.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미소장
8 이근희. (2004). 번역의 변환(Shift) 현상에 관한 소고 (정보제공 목적의 텍스트 중심). 『번역학연구』 5(2), 113-144. 미소장
9 이근희. (2015). 『번역의 이론과 실제 (개정판)』. 한국문화사. 미소장
10 전성기. (1996). 『불한 번역 대조 분석』. 어문학사. 미소장
11 지광신. (1993). 번역에서의 등가 개념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인문과학』 69(0), 187-211. 미소장
12 피터 포셋, 김도훈. (2015). 『언어학과 번역』.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13 Бархударов, Л. С. (1975). Язык и перевод (Вопро сы общей и частной теории перевода). Междунар. отношения: Москва. 미소장
14 Гарбовский Н. К. (2007). Теория перевода. Издательство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Москва. 미소장
15 Илюшкина М. Ю. (2015). Теория перевода: основные понятия и проблемы. Издательство Ураль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Екатеринбург. 미소장
16 고골, 조주관. (2002). 『뻬쩨르부르그 이야기』. 서울: 민음사. 미소장
17 고골, 이기주. (2010). 『코·외투·광인일기·감찰관』. 서울: 펭귄클래식. 미소장
18 조지 손더스, 정영목. (2023). 코(니콜라이 고골) // 『작가는 어떻게 읽는가』. 서울:어크로스. 미소장
19 Н.В.Гоголь. (1977). Нос //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семи томах. Том третий. Москва:Художеств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