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관광참여,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의 영향관계 = The relationship analysis among tourism participation,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 윤정헌 1
요약 1
ABSTRACT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3
1. 관광참여 3
2.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3
3. 대인관계능력 4
4. 연구모형과 가설의 설정 5
Ⅲ. 연구방법 6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6
2. 표본추출 및 분석 방법 6
Ⅳ. 실증 분석 6
1. 표본의 특성 6
2. 신뢰성 및 타당성 검정 7
3. 상관관계 분석 8
4. 가설검정 8
Ⅴ. 결론 9
참고문헌 9
본 연구는 관광참여,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관광참여 및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등을 강화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부산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신뢰성 검정 및 타당성 검정을 거쳐 가설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참여의 구성요소인 질적 참여 및 양적 참여 모두 유의도 1%수준에서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가설 1),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은 유의도 1%수준에서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가설 2). 또한 관광참여의 구성요소 즉, 질적 참여와 양적 참여는 각각 유의도 1%수준에서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3). 이러한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 강화를 위해 대학생을 비롯한 성장기 청소년들에게 관광참여를 적극 권장할 필요가 있고,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등은 관광참여 프로그램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관광과정에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방향을 가다듬고, 타인과의 관계설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생각하고 판단하게 함으로서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양적 참여보다는 질적 참여가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 및 대인관계능력에 보다 강한 영향을 미침으로 관광정보획득, 관광활동 등과 관련된 지도를 통해 보다 질 높은 관광이 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기의 학생들에게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과 관련된 교육을 받고 행동하도록 함으로서 전반적인 대인관계능력을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tourism participation,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the Busan area. After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hypothesis tes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articipation were found to affect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Hypothesis 1).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was analyzed to affect interpersonal ability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Hypothesis 2). These test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courage youth in the growing stage, including university students, to participate in tourism to strengthen their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Therefore, local governments and education bureaus need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ourism participation programs actively. Second, qualitative rather than quantitative participation has a more substantial effect on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induce higher-quality tourism through maps related to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ourism activities. Third, education related to relationship-oriented identity can be provided to students, including university students, to strengthen interpersonal ability.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미랑 (2012). 관계적 자아정체성 개발을 위한 리꾀르의 Narrative 정체성 이론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32, 323-356. | 미소장 |
2 | 권상희 & 홍종배 (2009). 세대별 여가문화소비유형과삶의 만족도 연구: 여가소비경향, 자기정체성, 대인관계, 여가소비만족도, 삶의 만족도간 관계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46(1), 63-97. | 미소장 |
3 | 김명수, 민병남, 이승환, 김성희 & 김재훈 (2020). 경찰공무원의 스포츠참여가 대인관계 유능성, 자기수용,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 19(2), 3-26. | 미소장 |
4 | 김명화 (2008). 간호대학생의 자아 정체감, 대인관계및 적응에 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1), 55-64. | 미소장 |
5 | 김미라 & 윤정헌 (2021a). 대학생의 관광참여, 감성발달 및 관광만족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33(4), 45-61. | 미소장 |
6 | 김미라 & 윤정헌 (2021b). 대학생의 관광 참여수준, 감성적 가치평가 및 관광만족의 영향관계. 동북아관광연구, 17(2), 61-78. | 미소장 |
7 | 김수정 (202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사회적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RISS. | 미소장 |
8 | 김용대 & 김재석 (2016). 축제태도가 참여수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8(6), 215-233. | 미소장 |
9 | 김지경 & 김명소 (2003). 한국남녀의 관계적 자아의특성: 다원적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9(2), 41-59. | 미소장 |
10 | 김혜진 & 홍혜영 (2018).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1), 31-43. | 미소장 |
11 | 박노윤 & 이은수 (2014). 집단적 자아정체성, 사회적교환관계 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27(6), 955-977. | 미소장 |
12 | 박노윤 (2013). 팀 다양성과 관계지향적 자아정체성이개인의 목표전념과 창조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28(5), 221-250. | 미소장 |
13 | 박동영 & 정경화 (2014). 간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11), 337-346. | 미소장 |
14 | 박성준 & 김재현 (2007). 학교체육: 청소년의 스포츠여가프로그램 참여가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 체육학회지, 17(1), 1-12. | 미소장 |
15 | 박소정 (2003). 청소년기 여가활동이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12(4), 231-248. | 미소장 |
16 | 박종찬 (2012). 해양관광지 방문객의 개인가치에 따른 관광참여 제약요인. 호텔관광연구, 14(1), 17-30. | 미소장 |
17 | 성영실, 최우수 & 이성주 (2021).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6(2), 125-150. | 미소장 |
18 | 송사리 & 박명숙 (2019).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정체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자기유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31(4), 30-60. | 미소장 |
19 | 안경일 & 김재현 (2002). 스포츠여가활동과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의 관계. 한국학교 체육학회지, 12(2), 61-73. | 미소장 |
20 | 윤정헌 & 정호권 (2016). 가족관광 촉진요인으로서의 가족요인, 참여의도, 참여수준, 생활만족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28(10), 423-442. | 미소장 |
21 | 윤정헌 (2011). 부모의 관광 참여수준이 자녀의 관광가치지각, 관광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3(8), 5-22. | 미소장 |
22 | 윤정헌 (2018). 관광가치지각, 가족관광 참여, 가족의사소통 및 가족관계 만족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30(4), 79-96. | 미소장 |
23 | 윤정헌 (2022). 대학생의 관광참여, 자아정체성 및 생활만족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34(7), 75-89. | 미소장 |
24 | 이선희 (2020). 대학생의 해외관광 참여도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32(11), 27-46. | 미소장 |
25 | 이운기 (2006). 자아분화와 우리의식을 매개로 한 한국적 부모-자녀관계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영향 [박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RISS. | 미소장 |
26 | 임헌우 (2021). 노인의 경로당 여가프로그램 참여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와 자아탄력성의 이중 매개효과 검증 [박사학위 논문,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RISS. | 미소장 |
27 | 장호찬 (2017). 관광참여의 시간적 제약 완화를 위한고찰. 한국관광정책, 69, 22-29. | 미소장 |
28 | 최승묵 & 박정숙 (2012). 국내 관광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관광연구논총, 24(2), 25-47. | 미소장 |
29 | 최유선, 손은령 & 박소리 (2018). 대학생의 세계시민성, 진로정체성과 자아정체성 간의 관계. 進路敎育硏究, 31(2), 131-149. | 미소장 |
30 | 최인숙 (2011). 리더십 전략 그림동화를 활용한 교수활동이 유아의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복지연구, 9(3), 165-182. | 미소장 |
31 | 최찬주 (2020).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 [박사학위 논문, 칼빈대학교 대학원]. RISS. | 미소장 |
32 | 홍성권, 안경진 & 김종진 (2014). 관광참여가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42(3), 25-34. | 미소장 |
33 | 황혜리 & 김미경 (2004). 자존감, 대인관계능력, 적응유연성, 생활만족도와 하나님 이미지간의 관계:H 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5(4), 1281-1292. | 미소장 |
34 | Berk, M. S., & Andersen, S. M. (2000). The impact of past relationships on interpersonal behavior:behavioral confirmation in the social–cognitive process of transfer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4), 546-562. | 미소장 |
35 | Brewer, M. B. & Gardner, W. (1996). Who is this "We"? levels of collective identity and self repres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1), 83-93. | 미소장 |
36 | Flynn, F. J. (2005). Identity orientations and forms of social exchange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0(4), 737-750. | 미소장 |
37 | Johnson, R. E., Selenta, C., & Lord, R. G. (2006). Wh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self-concept meet: consequences for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99(2), 175-201. | 미소장 |
38 | Kivel, B. D., & Kleiber, D. A. (2000). Leisure in the identity formation of lesbian/gay youth:personal, but not social. Leisure Sciences, 22(4), 215-232. | 미소장 |
39 | Markuus, H. & Kitayama, S. (1998).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In P. G. Altbach, K. Arnold, & I. C. King (Eds.), College Student Development and Academic Life: Psychological, Intellectual, Social and Moral Issues (pp. 264-293), Routhledge. | 미소장 |
40 | Rubin, K. H., Booth, C., Rose-Krasnor, L., & Mills, R. S. L. (1995).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skills:A conceptual and empirical analysis. In S. Shulman (Ed.), Close relationship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pp. 63–94). Ablex Publishing. | 미소장 |
41 | Sluss, D. M. & Ashforth, B. E. (2007). Relational identity and identification: defining ourselves through work relationship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2(1), 9-3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