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전통문화 가치인식이 문화도시 이미지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선아리랑제 방문객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traditional culture value recognition on cultural city image and loyalty : focusing on visitors to the Jeongseon Arirang Festival / 천덕희 ; 김지선 1

요약 1

Abstract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3

1. 전통문화 가치인식 3

2. 문화도시 이미지 3

3. 충성도 4

Ⅲ. 연구설계 4

1. 연구모형과 가설의 설정 4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설문의 구성 5

3. 표본설계와 분석방법 5

Ⅳ. 실증분석 6

1. 인구통계학적 특성 6

2.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6

3. 가설의 검증 6

Ⅴ. 결론 9

참고문헌 10

초록보기

요약: 본 연구는 강원도 정선아리랑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인식이 문화도시 이미지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전통문화 가치인식과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문화도시 이미지의 매개역할에 대해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관광학에서 가치연구는 주로 축제나 관광지의 가치연구가 주로 연구되었고, 전통문화와 관련된 가치연구는 아직 미진한 편이며, 특히 본 연구는 무형문화가 문화도시 이미지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의미 있는 연구이다. 분석결과, 정선아리랑에 대한 경제적 가치와 역사적 상징 가치인식은 정선군의 문화도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가치인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가치와 역사적 상징 가치인식은 정선군에 대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경제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가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도시 이미지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문화 가치인식과 충성도의 관계에서 문화도시 이미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국 전통문화 가치인식은 그 지역의 문화도시 이미지와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세계문화유산 관광지 매력과 충성도의 매개변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diator of attractiveness and loyalty at world heritage tourism sites :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 tourists in Guangdong Province, China : 중국 광주시 대학생 관광객을 대상으로 박예단, 박예화 p. 5-18

보기
전통문화 가치인식이 문화도시 이미지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traditional culture value recognition on cultural city image and loyalty : focusing on visitors to the Jeongseon Arirang Festival : 정선아리랑제 방문객을 중심으로 천덕희, 김지선 p. 19-30

보기
박물관의 증강현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체험이 실존적 진정성, 정서적 각성,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 museum's augmented reality mobile application experience on existential authenticity, emotional arousal, touris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손청, 윤지환 p. 31-47

보기
복합문화공간 방문객들에 대한 지각된 가치-태도-행동의도(VAB)체계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value-attitude-behavioral intention (VAB) system for visitors to complex cultural spaces : focusing on visitors to the Asia Culture Center : 국립아시아문화전당(Asia Culture Center) 방문객을 중심으로 김지흔 p. 49-63

보기
SNS 관광정보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Studying continued intention to use SNS tourism informa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personality : 성격의 조절효과 조승행 p. 65-77

보기
유튜브 관광 콘텐츠 이용자의 개인적 특성이 실재감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YouTube tourism content users on presence and continuous intention to use 정나리 p. 79-94

보기
관광객 방문행동 및 관광수용태세가 관광지 사후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ourism preparedness on the evaluation of a destination : focusing on tourists in Muju : 무주군 관광객을 대상으로 곽강희 p. 95-104

보기
장소 브랜드 복잡성이 장소 정체성 지각 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lace brand complexity on place identification : focusing on the resident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 광주광역시민을 대상으로 한승훈 p. 105-116

보기
서비스산업종사자들의 조직에 대한 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 충성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loyalty i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service industry employees 김정오 p. 117-127

보기
생성형 AI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인식과 성과 진단 연구 = A study on learners' digital literacy perceptions and performance diagnosis of problem-based learning using generative AI : focusing on smart tourism students : 스마트관광 수강생을 중심으로 이승훈 p. 129-145

보기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습기관 선택속성 및 시장세분화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institution selection and market segmentation of students in the credit bank system : a case study of tourism management majors in the offline credit bank system : 오프라인 학점은행제의 관광경영학 전공자를 사례로 이승길 p. 147-158

보기
대학생들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간의 구조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meta cognition,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박정하 p. 159-172

보기
제주 음식관광 가격에 관한 인식 연구 =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price on Jeju food tourism : a usage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의미론적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오문향, 서정모 p. 173-184

보기
농촌 치유관광 운영자의 농촌성 인식과 활용자원 분석 = The analysis of recognition of rurality and use of rural resources for operators of rural healing tourism 민재한, 김경희, 이혜영 p. 185-198

보기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진희 (2017). 향토음식에 대한 경험가치가 향토이미지 제고와방문의도에 미치는영향. 관광연구, 32(5), 137-155. 미소장
2 곽지연・김이태 (2018). 축제 방문객의 경험가치에 따른 지역이미지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2017 울산 아시아버드페어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27(8), 233-246. 미소장
3 권기대・권기백 (2020). 조선시대 안동지역의 정체성 및 지역이미지에 관한 연구: 권기의 [영가지] 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8(1), 5-16. 미소장
4 권기백・김신애・권기대 (2019). 한국전통문화도시의 정체성 및지역브랜드자산 비교연구-안동, 공주, 전주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7(1), 5-22. 미소장
5 김상겸・김성준 (2009). 국가의 전통 민족문화 계승의무와 전통사찰 보존에 관한 헌법적 연구. 토지공법연구, 43, 461-481. 미소장
6 김분태・공희숙 (2010). 서비스 기업에 있어서의 제휴 프로그램의가치, 만족, 충성도와 기업 충성도간의 관계. 마케팅논집, 18(1), 41-60. 미소장
7 김희정・김시중 (2012). 관광지 선택속성과 경험적 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백제역사유적지구를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지, 46(2), 147-159. 미소장
8 류호철 (2016). 무형문화재의 개념 확장과 전통문화 보전・ 활용:충남 서천군 마서면의 전통문화 전승을 사례로. 동아시아고대학, (41), 153-183. 미소장
9 문희강・윤초롱 (2011). 청소년들의 전통문화인식에 따른 한국적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이미지 연상. 한국의류학회지, 35(1), 51-62. 미소장
10 박종부・이수범 (2018). 지역축제 체험요소가 축제 이미지, 지역이미지 및 지역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안성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2(8), 163-175. 미소장
11 서희정・박세혁・이윤정 (2020).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인식,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10), 317-328. 미소장
12 안세길 (2020). 전주 한옥마을 방문객의 전통문화 가치인식과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9(2), 121-140. 미소장
13 이지현・류승완 (2022). 문화도시 특성이 도시정체성과 도시브랜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부천 문화도시를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22(4), 95-104. 미소장
14 유명희 (2022). 정선아리랑 현장의 변화와 전망. 한국민요학, 2022, 12, 66, 207-229. 미소장
15 전지현・황복희・이영선 (2017).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인식이 한복에 대한 선호도와 장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한복체험 정도에 따른 집단비교. 한국의류학회지, 41(4), 698-708. 미소장
16 정지은 (2022). 문화도시 정책 동향 및 사례 분석에 관한 탐색적연구, 문화산업연구, 22(2), 181-191. 미소장
17 조정현 (2015). 지역표상으로서 아리랑의 위상과 무대화된 진정성의 재인식. 민속연구, 30, 161-186. 미소장
18 진철웅 (2020). 근대 문화유산 가치에 대한 지각이 문화도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국제문화연구, 13(2), 225-248. 미소장
19 천덕희・임소영・정병웅 (2023). 축제 서비스품질이 목적지 이미지와 방문객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22(1), 201-218. 미소장
20 천덕희・최현묵 (2017). 한국의 전통문화가 국가이미지와 한국여행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6(2), 121-134. 미소장
21 한지숙・현용호 (2010). 슬로시티 브랜드 인지, 관광지 이미지,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 고찰-슬로시티 청산도 방문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4(6), 273-290. 미소장
22 황복희・이영선 (2019). 전통문화 가치인식이 전통문화상품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통문화 가치인식에 따른 소비자집단 비교. 한국디자인포럼, 62, 7-20. 미소장
23 Anil, N. K. (2012).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An example of small, local, and municipality organized festival. Tourism: An International Interdisciplinary Journal, 60(3), 255-271. 미소장
24 Azis, N., Amin, M., Chan, S., & Aprilia, C. (2020). How smart tourism technologies affect tourist destination loyalty.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Technology, 11(4), 603-625. 미소장
25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미소장
26 Cecilia, S. G. (2008). City image–as tourism destination. Analele Universitati Din Oradea, 1213. 미소장
27 Holden, J. (2006). Cultural value and the crisis of legitimacy. London:Demos. 미소장
28 Kandampully, J., & Suhartanto, D. (2000). Customer loyalty in the hotel industry: the role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imag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12(6), 346-351. 미소장
29 Loureiro, S. M. C., & González, F. J. M. (2008). The importance of quality, satisfaction, trust, and image in relation to rural tourist loyalty.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25(2), 117-136. 미소장
30 Mohamad, M., Ab Ghani, N. I., & Nasir, M. N. M. (2019).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destination service quality and tourist satisfaction on destination loyalty among international tourists visiting Malaysia. Journal of Tourism, Hospitality and Environment Management, 4(16), 10-26. 미소장
31 Ngando, E. O. (2018). Fashion as property in traditional culture:A Maasai case study. Journal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 Practice, 13(11), 878-883. 미소장
32 Oh, A. H., & Park, H. Y. (2020). The effect of airline's professional models on brand loyalt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brand attitude.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7(5), 155-166. 미소장
33 Richards, G., & Wilson, J. (2004). The impact of cultural events on city image: Rotterdam, cultural capital of Europe 2001. Urban Studies, 41(10), 1931-1951. 미소장
34 Timur, B. (2018). Service quality, destination image and revisit intention relationships at thermal tourism businesses. Journal of Gastronomy Hospitality and Travel, 1(1), 38-48. 미소장
35 Yang, C. S. (2003). Cultural protection policy in Korea: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living national treasures (No. 3). Jimoondang International. 미소장
36 www.heritage.unesco.or.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