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東魏·北齊時代 太原 지방의 多文化 공존과 그 양상 = 东魏北齐时期太原地区的多文化共存与其特点 / 최진열 1

[목차] 1

Ⅰ. 서론 1

Ⅱ. 鮮卑服과 漢服의 공존 5

1. 鮮卑人의 鮮卑服과 漢服 착용 5

2. 漢人의 鮮卑服과 漢服 착용 12

Ⅲ. 鮮卑葬俗과 鮮卑文化 17

1. 梯形棺과 기타 鮮卑 葬俗 17

2. 기타 鮮卑文化의 유행과 수용 25

Ⅳ. 西域文化와 西域과의 교류 29

1. 西域人의 太原 거주와 활동 29

2. 鮮卑人·漢人의 西域文化 수용 36

Ⅴ. 결론 44

참고문헌 46

中文提要 52

초록보기

本文从东魏的军事中心和北齐皇帝居住地太原地区居住的非汉族鲜卑人、汉人和西域人的多元文化共存的方面进行了分析。 太原及其周边地区的鲜卑族在保留了草塬文化的同时,也接受了一些汉文化。在鲜卑族周围,穿着具有鲜卑服特征的服装的人数最多,约为47.7%。即便如此,从很多陶俑被发现穿着与右衽、窄袖、裤子、皮靴并存的服饰中可以看出,鲜卑文化和汉文化是共存的。在太原发现的韩裔墓、徐显秀墓、张海翼墓等,出土聊穿着具有鲜卑服特征的陶俑, 意味着一些汉族接受了鲜卑服装。另一方面,太原南郊北齐壁畵墓出土的陶俑穿的衣服是汉服比例较高的。这是因为,这意味着居住在太塬的一些汉族人接受了全部或部分鲜卑服。不寻常的遗物是违背‘胡服骑射’常识的服饰。一般来说,很容易让人以为骑马者都穿着左衽的衣服,但娄睿墓的骑马装是右衽汉服。这是为了打破“骑射=左衽胡服(鲜卑服)”的刻板印象,可以发现汉服和胡服杂糅的特点。 鲜卑葬俗梯形棺,不仅是鲜卑族(娄叡、侯莫陈某、太塬西南郊北齐洞室墓),也是汉族(孟鸿,窦兴洛,赵信),西域人(和公)墓中都发现了。这是一些汉族官僚们接受中华文化的证据之一。 贺拔昌、徐显秀墓中发现了辫子陶俑,表明,当时鲜卑族贺拔昌、汉族徐显秀周围仍然有人留着辫子,这是游牧民族的头发。库狄业墓出土的铜釜(铜鍑)是游牧民族使用的锅。这意味着,库狄业等生活在太原周边的游牧民族,是用游牧民族特有的餐具来制作和食用食物的。如果是这样,就可以推断,这些食物一定是游牧民族的食物。在九原岗北朝壁畵墓的狩猎图、仪式出行图、逐猎图,可以了解喜欢狩猎和武术的北方游牧民族的日常生活。徐显秀墓壁畵的绘画中使用了狮子、羊、鹿、龙、马等动物,动物图案的运用让我想起了斯基泰风格,想必是受到了游牧文化的影响。据说,娄睿墓的一个陶俑,看起来少女骑马的形象,意味着这表明他们无论民族出身如何,都熟悉游牧民族的文化。 其次,可以证实中国人和太原地区的中国人受到了西域文化的影响。西域人一边从事各种生计比如官吏、乐人、畵家、舞人什幺的,一边向住在太塬的汉人传播了自己的文化。娄叡墓、贺拔昌墓、贺娄悦墓、太塬西南郊北齐洞室墓出土的骆驼陶俑表明,他们通过与使用骆驼和马进行贸易的西方商人建立了关系,直接或间接地参与了中西贸易。居住在太塬的鲜卑族和汉族喜爱西洋商品,并在日常生活中使用它们。此外,还发现了一幅西域女性发型的徐显秀墓壁画,暗示西域的发型在太塬地区流行,甚至还透露,唐时期流行的女男装,在北齐时期的太塬地区已经流行。 还可以看到中西文化融合的壁画比如九原岗北朝壁畵墓的昇天图、山西朔州水泉梁北齐墓的天象图和四神图、徐显秀墓壁画什幺的。 总之,生活在太原地区的非汉族鲜卑族保持着游牧文化,接受了中西文化,汉族也接受了游牧文化和西域文化,这意味着鲜卑族和太塬地区的汉族生活在一个多元文化共存的文化环境中。当然,其中有深受草原游牧文化和西域文化影响的汉族,比如徐显秀,也有深受汉文化影响的鲜卑族,穿着汉服的娄睿墓陶俑的服饰上就可以看出,这表明,根据每个人接受自己文化和外来文化的态度,多元文化共存的方面是不同的。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동아시아담론과 동아시아사의 해후 = Bridging East Asian discourse and history : towards critical glocal history : 비판적 지구지역사의 길 백영서 p. 1-46

보기
秦·漢의 國家祭祀와 중국적 세계의 표상 = National sacrifice of Qin and Han Empires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Chinese world : 郊祀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金龍澯 p. 47-88

보기
20세기 ‘종번관계’론의 형성과 변용 =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Zongfan(宗藩)’ theory in the early 20th century 孫成旭 p. 89-132

보기
세계사 속의 중앙유라시아 = Central Eurasia and global history : status, theory and a case study : 현황, 이론 그리고 사례 조원희 p. 133-164

보기
血統과 器量으로 본 16세기 일본 ‘高名사회’ = 血統と器量からみた16世紀の日本の‘高名社會’ 박수철 p. 165-196

보기
緯書, 鎭墓文, 그리고 道經 속의 ‘北斗’ = 纬书、镇墓文以及道经中的“北斗” : 其神格的展开与完成 : 그 神格의 전개와 완성 洪承賢 p. 197-240

보기
東魏·北齊時代 太原 지방의 多文化 공존과 그 양상 = 东魏北齐时期太原地区的多文化共存与其特点 최진열 p. 241-293

보기
宋代 皇帝 短喪制의 傳統과 變容 = The traditions and modifications of funeral ceremony of emperors in Song Dynasty 金成奎 p. 295-326

보기
금조 동원체계의 시배열적 분석 = The Jin Dynasty mobilization system by time series analysis : focusing on the problem of mobilization preparation period : 동원준비기간의 문제를 중심으로 박세완 p. 327-368

보기
한국학계의 西夏史 연구 현황과 발전 가능성의 모색 = Exploring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f history of Xixia(西夏) and its potential for advancement in Korean academia 권용철 p. 369-395

보기
몽골-티베트 관계의 문을 연 “대칸” = “Great Khan” who opened the door of Mongolian-Tibetan relations : a study of records related to the life of prince Köten (1208-1251) : 諸王 쿠텐(Köten, 1208-1251)의 생애와 관련 기록 연구 최소영 p. 397-438

보기
외교문서를 통해 본 도르곤 섭정기 조·청 외교 = Joseon and Qing diplomacy during the Dorgon regency : an analysis of diplomatic documents 이명제 p. 439-475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