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자연환경보전법의 개정으로 도입된 자연환경복원사업과 대상지역 후보목록 작성규정에 대한 헌법적 고찰 = Die neue Regelungen des Naturschutzgesetzes über die Wiederherstellung der Natur nach dem Gesetzesäderung 2021 : Eine Betrachtung aus verfassungsrechtlicher Perspektive / 길수현 1

목차 1

국문초록 1

Ⅰ. 서론 2

Ⅱ. 헌법상 환경권 보장의 의미 4

1. 헌법상 환경권의 보장 4

Ⅲ. 자연환경보전법상 자연환경 보전 6

1. 환경권의 구체화로서 자연환경보전법 6

2. 자연과 인간의 이익 사이의 정서 7

Ⅳ. 자연환경복원의 규범적 의미와 기능 8

1. 환경권의 실현으로서 자연환경복원 8

2. 자연환경의 보호와 그 침해에 대한 구제수단으로서 복원 10

Ⅴ. 자연환경보전법 개정과 자연환경복원사업 추진체계의 도입 12

1.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에 의한 자연환경복원사업의 근거규정 신설 12

2. 복원에 관한 자연환경보전법 상 규율체계 13

3. 개정된 자연환경복원사업 내용에 대한 검토 14

Ⅵ. 결론 24

참고문헌 27

Zusammenfassung 30

초록보기

인간에 의한 지구환경의 변화는 생태위기라는 말에서 나타나듯 자연과 인간에게 위험한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 헌법상 환경권과 환경국가원리는 자연과 인간의 이익, 미래세대의 환경이익 사이의 조화를 규율하는 환경법체계의 헌법적 근거가 된다. 자연환경보전법은 자연의 구조와 기능이 훼손되지 않게 보호하고, 훼손된 자연을 복원하여 환경권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도록 한다.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의 상실이 실생활에서 뚜렷해지는 가운데 전세계적으로 복원의 의미와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자연환경보전법은 2021년 개정을 통해 자연환경복원사업을 규정하여 복원사업을 통합적으로 체계화하고, 생태적 가치과 기능회복이라는 원래의 목표대로 복원사업이 진행되도록 대상지역 후보지 목록 작성을 의무화하였다. 여기에서는 자연환경보전법과 복원의 의미를 헌법적으로 고찰하고, 개정된 내용의 의미와 개선점을 살펴보록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판단계에서 피고인 구속기간 제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restriction of the defendant's arrest period at the trial stage 차승민 p. 1-22

보기
정보저장매체의 임의제출과 참여권 = Voluntary submiss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participate : 대법원 2022. 1. 27. 선고 2021도11170 판결 하태인 p. 23-52

보기
수직적 의료분업에서 간호사의 형사책임에 대한 대법원 판례의 부정합성 = Deconstructing the concept of nurse service as medical assistance 홍가혜 p. 53-69

보기
통신비밀보호법상 ‘공개되지 아니한’의 의미 = The meaning of 'non-public' under the Communication Secrets Protection Act : focused on Supreme Court Case No. 2020 Do 1007 decision : 대법원 2022. 8. 31. 선고 2020도1007 판결을 중심으로 김민경 p. 71-92

보기
형법 판례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 Der jüngste Trend der strafrechtlichen Rechtsprechung des koreanischen Obersten Gerichtshofs 조기영 p. 93-115

보기
감사원의 독립성 보장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ensuring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 focusing on the partial amendment to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Act : 최근 발의된 감사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중심으로 김나루 p. 117-137

보기
미성년자에 대한 의료행위의 설명과 동의 = Explanation and consent of medical practices for minor : focused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20Da218925 delivered on March 9, 2023 : 대법원 2023. 3. 9. 선고 2020다218925 판결을 중심으로 김나래 p. 139-162

보기
자연환경보전법의 개정으로 도입된 자연환경복원사업과 대상지역 후보목록 작성규정에 대한 헌법적 고찰 = Die neue Regelungen des Naturschutzgesetzes über die Wiederherstellung der Natur nach dem Gesetzesäderung 2021 : Eine Betrachtung aus verfassungsrechtlicher Perspektive 길수현 p. 163-192

보기
조세쟁송절차의 개선방안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ax dispute proceedings : focused on comparison of the legal systems in the U.S : 미국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전현철 p. 193-219

보기
대습상속 원인으로서의 상속 포기 도입 필요성 =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renunciation-of-inheritance as a cause of inheritance-by-representation : review of the French civil code introducing the renunciation-of-inheritance as a cause of inheritance-by-representation : 상속 포기를 대습 사유로 도입한 프랑스민법 검토 김미경 p. 221-241

보기
법인 아닌 사단과 총유 규정의 고찰 = A study on unincorporated association and the collective ownership : regarding the community spirit : 공동체 정신과 관련하여 이달순 p. 243-283

보기
「土地家屋證明規則」에 의한 민사재판과 운영 = Civil procedure and operations under the land and household certificate regulation(土地家屋證明規則) 손경찬 p. 285-311

보기
혼인의 효력으로서의 배우자 부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ousal support as an effect of marriage 이홍민 p. 313-341

보기
대학조교의 고용상의 문제와 개선방안 = Employment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university assistants 김성진 p. 343-367

보기
취업규칙의 법적 성질과 쟁점 = Legal nature and issues of employment rules : focusing on the disadvantage change : 불이익 변경을 중심으로 김홍석, 김효봉 p. 369-394

보기
수출통제제도 강화를 위한 대외무역법 개정 연구 = Study on Revision of Foreign Trade Act to strengthen export control system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Export Control Reform Act of 2018 : 한-미 수출통제법제 비교를 중심으로 박언경, 왕상한, 정관선 p. 395-426

보기
일본의 고유영토론과 메이지 10년 태정관지령 = Japan's inherent territory theory and the Taijokan Directive in the 10th year of Meiji Era 서진웅 p. 453-471

보기
몽골 상표법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 Main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Mongolian trademark law 바추리 차츠랄, 수렌잡 강저릭, 전용일 p. 427-452

보기
중국의 관완화 형사정책에 대한 고찰 = A investigation on China's leniency of criminal policy : focused on the community corrective system : 지역사회 교정 제도를 중심으로 조약 p. 473-508

보기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현호, 환경국가와 환경법, 신론사, 2015. 미소장
2 김성도 외,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 집문당, 2017. 미소장
3 김연태, “환경공익의 침해에 대한 행정의 책임과 그에 대한 소송-환경단체소송에 대한 독일의 입법례를 중심으로”, 「고려법학」,제90호, 2019. 미소장
4 박균성·함태성,「환경법」, 박영사, 2017. 미소장
5 박종원, “2021년 개정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른 자연환경복원제도 도입의 의의와 한계”, 「환경법연구」 제44권 2호, 2022. 미소장
6 신관호, “자연환경보전법의 제정과 앞으로의 운용방향”, 「환경법연구」 제14권, 1992. 미소장
7 윤소라, “자연환경훼손의 예방 및 피해구제와 행정소송법 개정안”, 「환경법과 정책」 제20권, 2018. 미소장
8 이현우 외, 자연환경보전 기본방침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미소장
9 장영수, 헌법학(제14판), 홍문사, 2022. 미소장
10 전광석, 한국헌법론(제6판), 집현재, 2021. 미소장
11 정종섭, 헌법학원론(제13판, 전면개정판), 박영사, 2022. 미소장
12 한수웅, 헌법학(제11판), 법문사, 2021. 미소장
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자연환경복원법(가칭) 제정안 마련 연구, 환경부 수탁보고서, 2014. 미소장
14 Adler, R.W., “Restoring the Environment and Restoring Democracy: Lessons from the Colorado River. 25th anniversary symposium issue: the next 2 5 years: interdisciplinary directions in environmental law”, Virginia Environmental Law Journal 25(1), 2007. 미소장
15 Caliess, C. “Art.20a”, in: Maunz/D ü rig(Hrsg.), Grundgesetz Kommentar, Band III, 2022 미소장
16 Erbguth, W./ Schlacke, S., Umweltrecht, 4.Aufl., 2012. 미소장
17 Kanner, A., “Natural Resource Restoration”, Tulane Environmental Law Journal, 28(2), 2015. 미소장
18 Kloepfer, M., Umweltrecht, 2016. 미소장
19 McKibben, B., The End of Nature, Random House, 1989. 미소장
20 Murswiek, D., “Art. 20a”, in: Sachs M.(Hrsg.), Grundgesetz(2.Aufl.), C.H.Beck, 1999. 미소장
21 Sparwasser, R./ Engel, R./Voßkuhle, A., Umweltrecht, Mü ller, 2003. 미소장
22 Verdicchio, S., “Environmental Restoration Orders”, Boston College Environmental Affairs Law Review 12, 1985. 미소장
23 White Jr. L.,, “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al Crisis”, Science 155(3767), 1967. 미소장
24 Zerbe, S., Renaturieriung von Ö kosystemen im Spannungsfeld von Mensch und Umwelt, Springer Specktrum, 2019. 미소장
25 아시아경제. “자연환경복원사업 관리체계 일원화”(2022. 1. 4.)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010409270880210 (검색일 2023. 8. 23) 미소장
26 Bundesministerium fü r Digitales und Verkehr. Bundesprogramm Blaues Band Deutschlandhttps://www.blaues-band.bund.de/Projektseiten/Blaues_Band/DE/00_Home/home_node.html (검색일 2023. 8. 12) 미소장
27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OP 15: Final Text of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https://www.cbd.int/article/cop15-final-text-kunming-montreal-gbf-221222 (검색일 2023.9.5.) 미소장
28 Europ ä ische Kommission. Nature restoration law. https://environment.ec.europa.eu/topics/nature-and-biodiversity/nature-restoration-law_en(검색일 2023. 8. 12) 미소장
29 Neue Zü richer Zeitung((NZZ), “Bericht des Weltbiodiversit ä tsrats: Der Mensch macht der Natur den Garaus” (2019.5.6.) https://www.nzz.ch/wissenschaft/biodiversitaet-der-mensch-macht-der-natur-den-garaus-ld.1479623?reduced=true (검색일 2023.8.12.) 미소장
30 UNDP.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ttps://www.undp.org/sustainable-development-goals (검색일 2023. 8. 12) 미소장
31 UNEP and FAO. The UN Decade on Ecosystem Restoration. https://www.decadeonrestoration.org (검색일 2023. 8. 12) 미소장
32 UNECE, Convention on Access to Information, Public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Access to Justice in Environmental Matters https://unece.org/environment-policy/public-participation/aarhus-convention/text (검색일 2023. 8. 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