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지금까지 2021~2022년 사이 국내 학계에 발표된 조선후기사 연구동향을 주요 논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야별 연구성과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확인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발전론의 시각으로 보아온 주요 개념들을 재고 혹은 비판하는 연구들이 발표된 점이다. 둘째, 최근 기후위기와 재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조선후기사 연구에서도 이와 관련된 전염병, 연료 소비, 동물생태에 관한 논문이 발표된 점이다. 셋째, 문헌·유물자료의 발굴 및 인접분야 연구 활성화로 2021~2022년 사이 많은 사상사·문화사 논저들이 발표된 점을 들 수 있다.

다소 산발적인 개별 연구들이 일관된 조선후기상을 그리고 있지 않더라도, 분야사의 공백과 간극을 메울 수 있는 개별 연구들이 탄탄히 축적된다면, 이는 구조사를 새롭게 예비하는 중요한 자양분이 되리라 생각한다. 다만, 매년 쏟아져 나오는 방대한 실증 연구의 문제의식과 논점을 공유할 수 있는 학술 공론장을 조성하고, 후속세대를 고려한 건전한 학술생태계를 만들어가려는 장기적인 노력 역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새로운 연구방법의 정립을 위한 모색과 고투 = Exploration and struggle in advancing historical research methodologies 오영교 p. 3-22

성장 시대의 끝에서 화학적 결합을 꿈꾸다 = Dreaming of chemical bonds at the end of the growth era 이재환 p. 23-53
고려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 Retrospect and outlook of Goryeo history research in 2021-2022 : 논쟁의 재점화와 분야의 다변화 이정란 p. 55-96
‘각개전투(各個戰鬪)’와 ‘암중모색(暗中摸索)’ = 'Engaging in individual combat' and 'groping in the dark'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early Joseon historical studies (2021-2022) : 조선 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2021~2022) 김경래 p. 97-131
2021~2022년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Status and challenges of late Joseon research in 2021~2022 : transitional efforts to set a new direction for structural history beyond internal development theory : 내재적 발전론을 넘어 구조사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한 과도기적 노력들 최주희 p. 133-196
2021~2022년 서양사 연구 동향 = 2021-2022 research trends in Western history in Korea : exploring changes in the system of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for national histories : 각국사 ‘회고와 전망’ 체제 변화를 모색하며 박단 p. 199-222
서양고대사 회고와 전망(2021~2022) = The retrospect and prospect of ancient Western history (2021~2022) : expansion of the horizon : ‘지평의 확장’ 이지은 p. 223-252
연구주제의 다변화와 시대별 균형 = Recent trends in the study of Western medieval history (2021-2022) : 2021∼2022년 서양 중세사 연구 동향 남종국 p. 253-288
팬데믹을 넘어선 연구열, 시대적 요청에 응답하는 연구를 기대하며 = Research passion through the pandemic : 2021-2022 writings on British history in Korea : 2021~2022년 영국사 연구 동향 배혜정 p. 289-313
연구의 다변화에서 경계 허물기로 = From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to the trans-border : Korean histroriographical trend in French history for the years 2021-2022 : 2021∼2022년 프랑스사 연구 동향 신동규 p. 315-344
느리게, 그러나 활기 있게 = Slowly, but with motion : recent trends in Italian history studies in Korea, 2021~2022 : 이탈리아사 연구의 최근 동향, 2021~2022 장문석 p. 345-373
지속성과 확장성 = Continuity and expansion : trends in German history research from 2021 to 2022 : 2021~2022년 독일사 연구 문수현 p. 375-408
가쁘게 달려온 뒤 숨을 고르며 러시아사 연구의 정체성을 고민한다 = Trying to take a breather after a breathless gallop and contemplate the identity of 'the Russian history study' in Korea 류한수 p. 409-445
균형과 확장 = Balance and expansion : the journey to a new takeoff : 새로운 도약을 위한 여정 김정욱 p. 447-480
위기의 시대, 역사(학)에 밀려온 도전과 남은 과제 = The age of crisis, challenge to history and remaining problems 임병철 p. 481-498
한국미술사 연구의 뉴노멀 = The new normal of research in Korean art history : search for methodology and post-boundary : 방법론 모색과 탈경계 김소연 p. 501-549
다양한 모색 속에 깊어지는 연구 = Deepening research through exploration of various methodologies : Asian art history (2021-2022) : 아시아미술사 연구(2021~2022) 심영신 p. 551-586
국내 서양미술사학의 토착적 발전을 위한 행보 = A move toward the indigenous development of Western art history in Korea 전한호, 이지은 p. 587-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