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박영만의 <조선전래동화집> 속의 거짓말 주제 이야기를 분석하여, 1930년대 한국전래동화에서 등장하는 거짓말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한 박영만의 <조선전래동화집>에서 거짓말이 등장하는 28편 속인물관계, 거짓말 동기, 내용,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전래동화>에 나타난 도구로써의 거짓말은 살인을 꾸며내는 도구, 부를 얻기 위한 도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 해학의 도구로 정리되었다. <조선전래동화집> 속 거짓말의 의미는 거짓말에 대한 도덕적 판단의 모호성, 거짓말로 구축한 세계로 현실 전복하기, 모순을 활용한 해학이 만들어내는 카타르시스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선전래동화집> 속 거짓말 주제 이야기에서 추구한 도덕적 가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전문학과 디지털 인문학 융합연구의 경향과 관계 = Trends and relationships in the convergence of classical studies and digital humanities : centering on classical novels :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강우규 p. 7-36
Socio-cultural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cularism(laïcité) and multiculturalism in France = 프랑스 '세속주의(라이시테)'와 '다문화주의'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회-문화적 분석 Minseok Kwak p. 37-66

화계 박영만의 <조선전래동화집>에 나타난 거짓말 분석 = An analysis of lies appeared in <Chosun Traditional Folktales Collection> by Park Yeong-man 구수연 p. 67-100
다문화역량 증진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about multicultural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권순구 p. 101-130

드라마 <나의 아저씨> 서사에 나타난 연민의 감정 = Emotion of compassion in the narrative of the TV series My Mister : from the perspective of Martha Nussbaum's theory of compassion : 마사 누스바움의 연민 이론의 관점에서 김공숙 p. 131-164
한국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The stress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 a phenomenological approach 김주연 p. 165-186

포스트휴먼, 트랜스휴먼, 그리고 인간 정체성의 분화 = Posthumans, transhumans,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identity 김휘택 p. 187-219
Multicultural approaches and challenges in educational integration for Afghan special contributors and refugees in the Korean context = 국내 아프간 특별기여자 난민교육 통합 현장에서의 다문화적 접근과 도전과제 Subin Sarah p. 221-258
포스트 브렉시트, 인종차별과 이민자의 추방 = Post-Brexit, racism and deportation of immigrants : Ali Smith, Spring(2019) : 앨리 스미스, 『봄(Spring)』(2019) 이행선 p. 259-293
연근해어업에서의 이주노동자 수용제도의 한일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igrant workers receiving system of coastal and offshore fisheries i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the shift towards long-term employment : 장기 고용으로의 변화에 주목하여 최민경 p. 295-325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기수(2007), 「전래동화의 교육인간학적 기능」, 『교육사상연구』 21(14), 한국교육사상학회, 43~65쪽. 미소장
2 고광수(2001), 「전래동화에 나타나는 잔혹성의 의미와 효과: 「그림형제의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집」을 중심으로」, 『고전문학과 교육』 3, 5~20쪽. 미소장
3 구수연(2023a), 「창작동화에 나타난 아동의 거짓말」, 『어린이문학교육연구』24(2),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85~111쪽. 미소장
4 구수연(2023b),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거짓말의 양상」, 『어린이문학교육연구』24(3),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69~91쪽. 미소장
5 권혁래(2005), 「옛이야기, 동화로 쓰기와 박영만의 <조선전래 동화집>(1940): 식민지 시기 3대 전래동화집 <조선전래동화집>과 작가 박영만에 대하여」, 『동화와 번역』 10,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93~128쪽. 미소장
6 권혁래(2009), 「일제 강점기 호랑이·토끼 서사의 양상과 문학교육」, 『온지논총』22, 온지학회, 185~210쪽. 미소장
7 김문성(2011), 『마법의 거짓말』, 스타북스. 미소장
8 박성철(2001), 「소위 ‘새빨간 거짓말’에 대하여: 전형적인 거짓말에 대한 화용언어학적 고찰」, 『독일문학』 80(1), 한국독어독문학회, 368~395쪽. 미소장
9 박영만(2006), 『화계 박명만의 조선전래동화집』, 한국국학진흥원. 미소장
10 방정환(1923), 「새로 개척되는 ‘동화’에 관하야」, 『개벽』 31호. 미소장
11 박현숙(2015), 「박영만 『조선전래동화집』의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49(49), 한민족문화학회, 217~248쪽. 미소장
12 서현·김한희(2013), 「전래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및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미래유아교육학회, 179~210쪽. 미소장
13 서현·허혜윤·박미자(2015), 「전래동화를 활용한 배려교육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4(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75~311쪽. 미소장
14 손미랑·황윤세(2018), 「전래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 활동이 만3세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혁신연구』 28(4), 교육발전연구소, 577~611쪽. 미소장
15 송재범(1999), 「기만과 거짓말에 대한 윤리학적 소고: 국회 청문회 증인들의 거짓말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국민윤리연구』 42, 한국윤리학회, 479~494쪽. 미소장
16 심우장(2009), 「거짓말 딜레마와 이야기의 역설: 설화 <거짓말 세 마디로 장가든사람>의 이해」, 『구비문학연구』 28, 한국구비문학회, 1~31쪽. 미소장
17 오세정(2014),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설화 다시 쓰기의 문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8(4),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5~29쪽. 미소장
18 유구종·이경미·최승연(2015),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증진을 위한 조부모 활용전래동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태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1),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15~136쪽. 미소장
19 이은영·김영실·최진숙(2017), 「전래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만4세 유아의 인성과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2(3),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9~249쪽. 미소장
20 이채은(2017), 「<거짓말 이야기> 설화의 웃음 생성방식 연구」, 『한국문화이론과비평』 77, 한국문화이론과비평학회, 441~462쪽. 미소장
21 임석재(1987), 『임석재전집 I: 한국구전설화, 평안북도편 I』, 평민사. 미소장
22 장영란(2007), 「한국 신화 속의 여성의 주체의식과 모성 신화의 전복적 기제」, 『한국여성철학』 8, 한국여성철학회, 141~171쪽. 미소장
23 전연우·조희숙(2014),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나는 서발턴적 양상연구」, 『아동교육』 23(2), 한국아동교육학회, 197~212쪽. 미소장
24 조은경(2002), 「거짓말의 특징과 탐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2), 한국심리학회, 33~65쪽 미소장
25 최원오(2011), 「 ‘거짓말’ 구비서사의 서사적 성격과 신화적 기원: 문학적, 기호학적 관점의 혼용」, 『기호학연구』 29, 한국기호학회, 145~175쪽. 미소장
26 한선아(2003),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서울여자대학교 박사논문. 미소장
27 허정인(2012), 「<별주부전>에 나타난 역설의 미학」, 『한국어와 문화』 11,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57~77쪽. 미소장
28 홍미혜·유연옥(2017), 「전래동화를 활용한 배려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4(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75~311쪽. 미소장
29 Cyr. M-France(2003), La vérité sur le mensonge; 강형식 역(2006), 『거짓말에 대한진실』, 철학과현실사. 미소장
30 Mayer, C.(2008), Dilemma of life(G. S. Jo, Trans.), Seoul: Yeoldaerim(Original work published 2007). 미소장
31 Nodelman, P.(2001), The pleasure of children’s literature, 1, 2(S. J. Kim, Trans.), Seoul: Sigong Jr.(Original work published 1992). 미소장
32 Rheines, S. & Isbell, R.(1994), Stories: children’s literatur in early childhood, Delma publisher’s Inc. NY: Alban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