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에서는 동성왕의 즉위 배경과 즉위 후 정국 운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동성왕 시해 사건과 苩加에 의한 반란의 의미에 대해 재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한성의함락 이후 웅진으로 천도를 단행한 문주왕은 倭에 체류 중이던 곤지를 불러들이는 한편 아들인 삼근을 태자로 책봉하며 정국을 시킴으로써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이때 문주왕에 의해 內臣佐平에 임명된 곤지는 개로왕 대에 征虜將軍 左賢王에 책봉되었으며, 이후 왜에 파견되어 왜에 이주해 있던 백제인들을 통합하고 왜와의 관계를 우호적으로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던 인물이기도 했다. 이와 같은 곤지의 귀국은 문주왕의 의지에 의한 것이었으며, 곤지는 내신좌평에 임명된 후 사망하기 전까지 다양한 정치 세력과 왕실 세력을 규합하는 책임자로서 활동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곤지의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규합된 세력들은 이후 동성왕이 즉위하는 과정에서 지지 기반이 되어주었을 것이다. 동성왕 전반기 對고구려전의 전개와 북방을 중심으로 한 관방의 정비 등은 이들 세력에의해 추진된 정책 방향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성왕은 재위 11년 만에 天地제사를 지내고 南堂에서 연회를 베풀면서 정국 운영 방향의 一新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사비로의 전렵이나 耽羅에 대한 정벌을 내세운 무진주로의 幸行은 백제의 관심이 북방보다는 남방으로 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고할 수 있다. 더욱이 사비로의 전렵은 사비로의 천도를 염두에 둔 행위이기도 했다. 이와 같은동성왕 후반기 정국 운영 방향의 변화는 정치 세력 구도에도 변화를 가져왔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동성왕 전반기에 활동했던 정치 세력들의 위기의식을 불러왔으며, 그것이결국 동성왕 시해 시도로 이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동성왕 시해의 중심인물로 『삼국사기』에서는 苩加를 지목하고 있으나 동성왕 대 전체를 걸쳐 최측근으로써 활동했던 백가가 동성왕을 시해하고자 한 뚜렷한 목적이 찾아지지 않는다. 오히려 동성왕 시해 시도 이후 가림성에서 머물렀으며, 무령왕 즉위 후 반란을 일으켰으나 곧 항복하는 등의 백가의 행적은 그가 동성왕을 시해한 것이 아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일본서기』에서는 ‘國人’에 의해 동성왕에 대한 시해 모의가 있었으며, 백가는 그들에의해 범인으로 지목된 것으로 보인다. 이때 ‘國人’은 동성왕 전반기 세력들로 볼 수 있다. 백가의 난이 일어난 후 ‘國人’ 세력은 백가의 항복에도 불구하고 그를 제거함으로써 추후 일어날 수 있는 시해 사건을 둘러싼 진실 공방에 대한 문제의 소지를 없애는 동시에 ‘국왕 시해자백가’를 처단했다는 명분을 통해 정권 교체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 것으로 생각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현구, 박현숙, 우재병, 이재석 공저, 2002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Ⅰ)』, 일지사 | 미소장 |
2 | 金泰植, 1993 『加耶聯盟史』, 一潮閣 | 미소장 |
3 | 盧重國, 1988 『百濟政治史硏究』, 一潮閣 | 미소장 |
4 | 盧重國, 2018 『백제정치사』, 일조각 | 미소장 |
5 | 兪元載, 1995 『中國正史 百濟傳 硏究』, 學硏文化社 | 미소장 |
6 | 양기석, 2013, 『백제 정치사의 전개과정』, 서경문화사 | 미소장 |
7 | 연민수, 1998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 미소장 |
8 | 李丙燾, 1977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 미소장 |
9 | 정구복, 노중국, 신동하, 김태식, 권덕영 주석, 2011 『역주 삼국사기3 주석편(상)』,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미소장 |
10 | 今西龍, 1970 『百濟史硏究』, 國書刊行會 | 미소장 |
11 | 三品彰英, 2002 『日本書紀朝鮮關係記事考證 下卷』, 天山舍 | 미소장 |
12 | 坂元義種, 1978 『古代東ア彌アの日本と朝鮮』, 吉川弘文館 | 미소장 |
13 | 강종원, 2005 「수촌리 백제고분군 조영세력 검토」 『백제연구』 42 | 미소장 |
14 | 강종원, 2005 「백제 사비도성의 경영과 왕권」 『고대 도시와 왕권』, 서경 | 미소장 |
15 | 강종원, 2020 「백제 웅진기 왕족의 정치적 성격」 『한국고대사탐구』 35 | 미소장 |
16 | 강진원, 2017 「백제 웅진·사비도읍기 天地祭祀의 전개와 특징」 『史學硏究』 127 | 미소장 |
17 | 김기섭, 2005 「百濟 東城王의 즉위와 정국 변화」 『韓國上古史學報』 50 | 미소장 |
18 | 김기섭, 2010 「백제 東城王 암살사건 재검토」 『한국학논총』 34 | 미소장 |
19 | 金庠基, 1967 「百濟의 遼西經略에 대하여」 『白山學報』 3 | 미소장 |
20 | 김수태, 2004 「백제의 천도」 『韓國古代史硏究』 36 | 미소장 |
21 | 김수태, 2022 「백제 문주왕의 집권과 좌절」 『충청학과 충청문화』 33집 | 미소장 |
22 | 金英心, 1997 「百濟 地方統治體制 硏究: 5~7세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金英心, 2000 「榮山江流域 古代社會와 百濟」, 『지방사와 지방문화』 3 | 미소장 |
24 | 노중국, 1994 「백제 귀족가문 연구」 『대구사학』 48 | 미소장 |
25 | 노중국, 2004 「漢城百濟의 陷落과 首都 移轉」 『鄕土서울』 64 | 미소장 |
26 | 문동석, 2005 「5~6세기 백제의 지배세력 연구」 『역사와 현실』 55 | 미소장 |
27 | 문동석, 2006 「백제 전지왕·개로왕대 왕족의 대두와 왕권강화」 『경희사학』 24 | 미소장 |
28 | 문안식, 2005 「개로왕의 왕권강화와 국정운영의 변화에 대하여」 『사학연구』 78 | 미소장 |
29 | 심정보, 2000 「백제 사비도성의 축조시기에 대하여」 『사비도성과 백제의 성곽』, 서경 | 미소장 |
30 | 梁起錫, 1980 「熊津時代의 百濟 支配層 硏究」 『사학지』 14 | 미소장 |
31 | 연민수, 1994 「5세기후반 백제와 왜국」 『일본학』 13 | 미소장 |
32 | 이기백, 1982 「웅진시대 백제의 귀족세력」 『백제연구』 9 | 미소장 |
33 | 이남석, 2005 「수촌리 고분군과 백제의 웅진천도」 『역사와 역사교육』 11 | 미소장 |
34 | 이남석, 2010 「고고자료를 통한 백제 사비 천도의 재인식」 『百濟文化』 43 | 미소장 |
35 | 李道學, 1985 「漢城末 熊津時代 百濟王位繼承과 王權의 性格」 『韓國史硏究』 50·51 | 미소장 |
36 | 李道學, 2003 「백제 사비 천도의 재검토」 『동국사학』 39 | 미소장 |
37 | 이재석, 2004 「5세기 백제와 왜국의 관계」 『백제연구』 39 | 미소장 |
38 | 장미애, 2015 「백제 후기 정치 세력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전우식, 2011 「百濟 '王權中心 貴族國家' 政治運營體制 硏究」,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0 | 鄭載潤, 1997 「東城王 23年 政變과 武寧王의 執權」 『韓國史硏究』 99·100 | 미소장 |
41 | 鄭載潤, 1999 「熊津時代 百濟 政治史의 展開와 그 特性」,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鄭載潤, 2004 「熊津時代 百濟史硏究의 成果와 課題-對外關係를 中心으로-」 『百濟文化』 33 | 미소장 |
43 | 鄭載潤, 2010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역사와 담론』 56 | 미소장 |
44 | 鄭載潤, 2016 「삼국시대 나주와 영산강 유역 세력의 동향」 『역사학연구』 62 | 미소장 |
45 | 채미하, 2008 「웅진시기 백제의 국가제사-‘祭天地’를 중심으로」 『百濟文化』 38 | 미소장 |
46 | 笠井敏光, 2014 「昆支王と飛鳥千塚古墳群」 『백제문화』 5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