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에서는 십일면관음, 천수관음으로 대표되는 변화관음이 7세기 후반~8세기 초반의 신라에서는 사례가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논증하고 그 이유를 당과 신라의 불교문화의 차이 속에서 찾아보았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당에서는 현장이 󰡔십일면심주경󰡕은 한역한 이후인 660년대부터, 신라에서는 680년대부터 변화관음이 유행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주장을 보완하기 위해 거론한 문헌 자료들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당에서 변화관음의 출현은 690년 무측천이 황제를 표방한 이후이고, 현존하는 십일면관음상 및 󰡔삼국유사󰡕의 분황사 천수관음 사례를 볼 때, 신라에서 변화관음이 등장한 것은 8세기 중엽 경덕왕대(742-765)인 것 같다.

나당 전쟁 이후 신문왕(재위 681-692)-성덕왕(재위 702-737)의 통치 시기에 신라는 당과의 교류가 활발하였고, 불교문화의 유행헤도 민감하였다. 그런데 신라 사회에서 변화관음의 수용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이유를 당과 신라 사회에서 불교문화의 위상의 차이, 국가와 불교계의 관계의 차이, 그리고 전쟁 이후 신라 사회에서 불교계에게 요구한 역할의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보살의 범행(梵行)과 보시바라밀의 구족(具足)에 대하여 = On the pure practices of bodhisattvas and completing the perfection of generosity : focused on the Mahāparinirvāṇa Sūtra and Cunda's last meal offering : 『열반경』「범행품」과 순타의 마지막 공양을 중심으로 김수덕 p. 283-309
최승자의 초기 시에 나타난 불안 양상 = The aspects of anxiety presented in Seungja Choi's early poetry 이영희 p. 169-218

1896년 주미공사 이범진의 『미사일록(美槎日錄)』 연구 = The study of Misailrok written by Lee Beom-jin, the Chosun Minister to the US in 1896 이효정 p. 71-97
1960-1970년대 독서운동으로서의 자유교양대회 연구 = A study on liberal arts competition as a reading movement in the 1960s-1970s 이국환 p. 219-248
李忠民‧李榮世 父子의 학문전통과 성리사상 = Academic traditions and neo-Confucian ideas of Lee Chungmin and Lee Youngse 장윤수 p. 37-70
당과 신라의 변화관음 수용 = Why is the transformed Avalokitêśvara not seen in Silla in the late 7th and early 8th centuries? 박광연 p. 5-36
전남대 소장본 『위문강일기』의 서사 특성 연구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of Wimungang Ilgi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llection : 계명대 소장 새 이본 소개를 겸하여 채윤미 p. 99-138
고전문학콘텐츠의 새로운 흐름 = The new wave of cultural content in Korean literature : rewriting classic Korean stories into science fiction : SF를 통한 고전서사 다시쓰기 전기화 p. 139-168
대학 교양 한자(어) 교과목의 효율적 운영 방안 모색 = Finding effective ways to teach Chinese characters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 a Seoul National University case study : 서울대학교 <한국의 한자와 한자어>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홍진옥 p. 249-281

참고문헌 (4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영미, 『신라불교사상사연구』, 민족사, 1994 미소장
2 박치완, 『호모 글로칼리쿠스-왜 세계화, 세계 지역화가 아닌 지역 세계화인가?』, 한국외대 지식출판콘텐츠원, 2019 미소장
3 배진달, 『연화장세계의 도상학』, 일지사, 2000 미소장
4 이숙희, 『통일신라시대 밀교계 불교조각 연구』, 학연문화사, 2009 미소장
5 정병삼, 『의상 화엄사상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7 미소장
6 藤善眞澄, 『道宣傳の硏究』,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2 미소장
7 (財)なら・シルクロード博記念國際交流財團/シルクロード學硏究せンター, 『観音菩薩像の成立と展開―変化観音を中心にインドから日本まで』(シルクロード学硏究 Vol. 11), 2001. 미소장
8 강문호, 「傅奕의 배불론과 당초의 불교정책」, 『신라문화』 30, 2007 미소장
9 강삼혜, 「토함산석굴의 11면관음보살상 연구」, 『강좌미술사』 44, 2015 미소장
10 강삼혜, 「낭산의 두 관음보살상 연구」, 『신라문물연구』 15, 2022 미소장
11 강우방, 「석굴암 불교조각의 도상적 고찰」, 『미술자료』 56, 1995 미소장
12 강희정, 「통일신라 관음보살상 연구 시론」, 『인문논총』 63, 2010 미소장
13 강희정, 「백제 양류관음상고-호림박물관 소장 양류관음상 2구를 중심으로」, 『미술자료』 70・71, 2004 미소장
14 김동하, 「경주 낭산 출토 불・보살상 재검토–석조십일면관음보살입상과 석조약사불좌상의 관계에 대하여」, 『대구사학』 100, 2010 미소장
15 김상현집, 「(輯逸)金光明最勝王經憬興疏」, 『신라문화』 17·18, 2000 미소장
16 김영미, 「통일신라시대 아미타신앙의 역사적 성격」, 『한국사연구』 50·51, 1985 미소장
17 김영미, 「신라 하대의 아미타신앙-『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중심으로」, 『이지관화갑기념 한국불교문화사상사』 상, 1992 미소장
18 김영태, 「신라의 관음사상」, 『불교학보』 13, 1976 미소장
19 김정희, 「한국의 천수관음 신앙과 천수관음도」, 『정토학연구』 17, 2012 미소장
20 라정숙, 「『삼국유사』를 통해 본 신라와 고려의 관음신앙」, 『역사와 현실』 71, 2009 미소장
21 류종민, 「석굴암 십일면관음상의 전래 및 전파고」, 『關大論文集』 12-2, 1984 미소장
22 리란, 「龍門石窟 唐代 觀音造像의 형상변천-紀年造像을 중심으로」, 『동양미술사학』 6, 2018 미소장
23 리링(李翎), 「十一面觀音像 圖像 연구–한족 지역과 티베트 지역 조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미술사논단』 19, 2018 미소장
24 박광연, 「신라 중대의 정불국토(淨佛國土) 인식과 의미」, 『불교학보』 68, 2014 미소장
25 박광연, 「동아시아의 ‘왕즉불’ 전통과 미륵불 궁예」, 『사학연구』 110, 2013 미소장
26 박선영, 「삼국시대 관음보살상의 연구」, 『불교미술연구』 2, 1995 미소장
27 박인석, 「『유가론기(瑜伽論記)』의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사상사학』 50, 2015 미소장
28 박형국, 「경주 석굴암 제불상에 관한 불교도상학적 고찰」,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21, 2000 미소장
29 배금란, 「신라 관음신앙 연구 : 관음성현의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서울대 종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20 미소장
30 변동명, 「신라의 관음신앙과 바다」, 『한국학논총』 34, 2010 미소장
31 森雅秀, 「インドの不空羂索觀音像」, 『佛敎藝術』 262, 2002 미소장
32 소현숙, 「천수관음신앙의 신라 유입 시기 재고-경전 한역 및 도상의 제작과 유통 양상을 통한 고찰」, 『한국고대사탐구』 42, 2022 미소장
33 신법타, 「십일면관음연구」, 『석림』 10, 1976 미소장
34 王雪, 「道宣撰『集古今仏道論衡』の日本古写経本」, 『仙石山仏教学論集』 11, 2019 미소장
35 王雪, 「道宣撰『集古今仏道論衡』の日本古写経本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硏究』 149, 2019 미소장
36 이경화, 「석굴암 십일면관음의 교학적 해석」, 『불교미술사학』 17, 2014 미소장
37 이숙희, 「통일신라시대의 변화관음보살상-11면관음상과 천수관음상을 중심으로」, 『항산안휘준교수정년퇴임기념논문집: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2권, 사회평론, 2006 미소장
38 정병삼, 「의상의 관음신앙」, 『동국사상』 10・11, 1978 미소장
39 정병삼, 「통일신라 관음신앙」, 『한국사론』 8, 1982 미소장
40 정병삼, 「인도와 한국의 관음신앙 비교 연구」, 『한국학연구』 6, 1996 미소장
41 조준호, 「경전 상에 나타난 호국불교의 검토」 『대각사상』 17, 2012 미소장
42 홍승기, 「관음신앙과 신라사회」, 『호남학』 8, 197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