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십일면관음, 천수관음으로 대표되는 변화관음이 7세기 후반~8세기 초반의 신라에서는 사례가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논증하고 그 이유를 당과 신라의 불교문화의 차이 속에서 찾아보았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당에서는 현장이 십일면심주경은 한역한 이후인 660년대부터, 신라에서는 680년대부터 변화관음이 유행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주장을 보완하기 위해 거론한 문헌 자료들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당에서 변화관음의 출현은 690년 무측천이 황제를 표방한 이후이고, 현존하는 십일면관음상 및 삼국유사의 분황사 천수관음 사례를 볼 때, 신라에서 변화관음이 등장한 것은 8세기 중엽 경덕왕대(742-765)인 것 같다.
나당 전쟁 이후 신문왕(재위 681-692)-성덕왕(재위 702-737)의 통치 시기에 신라는 당과의 교류가 활발하였고, 불교문화의 유행헤도 민감하였다. 그런데 신라 사회에서 변화관음의 수용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이유를 당과 신라 사회에서 불교문화의 위상의 차이, 국가와 불교계의 관계의 차이, 그리고 전쟁 이후 신라 사회에서 불교계에게 요구한 역할의 측면에서 설명하였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영미, 『신라불교사상사연구』, 민족사, 1994 | 미소장 |
2 | 박치완, 『호모 글로칼리쿠스-왜 세계화, 세계 지역화가 아닌 지역 세계화인가?』, 한국외대 지식출판콘텐츠원, 2019 | 미소장 |
3 | 배진달, 『연화장세계의 도상학』, 일지사, 2000 | 미소장 |
4 | 이숙희, 『통일신라시대 밀교계 불교조각 연구』, 학연문화사, 2009 | 미소장 |
5 | 정병삼, 『의상 화엄사상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7 | 미소장 |
6 | 藤善眞澄, 『道宣傳の硏究』,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2 | 미소장 |
7 | (財)なら・シルクロード博記念國際交流財團/シルクロード學硏究せンター, 『観音菩薩像の成立と展開―変化観音を中心にインドから日本まで』(シルクロード学硏究 Vol. 11), 2001. | 미소장 |
8 | 강문호, 「傅奕의 배불론과 당초의 불교정책」, 『신라문화』 30, 2007 | 미소장 |
9 | 강삼혜, 「토함산석굴의 11면관음보살상 연구」, 『강좌미술사』 44, 2015 | 미소장 |
10 | 강삼혜, 「낭산의 두 관음보살상 연구」, 『신라문물연구』 15, 2022 | 미소장 |
11 | 강우방, 「석굴암 불교조각의 도상적 고찰」, 『미술자료』 56, 1995 | 미소장 |
12 | 강희정, 「통일신라 관음보살상 연구 시론」, 『인문논총』 63, 2010 | 미소장 |
13 | 강희정, 「백제 양류관음상고-호림박물관 소장 양류관음상 2구를 중심으로」, 『미술자료』 70・71, 2004 | 미소장 |
14 | 김동하, 「경주 낭산 출토 불・보살상 재검토–석조십일면관음보살입상과 석조약사불좌상의 관계에 대하여」, 『대구사학』 100, 2010 | 미소장 |
15 | 김상현집, 「(輯逸)金光明最勝王經憬興疏」, 『신라문화』 17·18, 2000 | 미소장 |
16 | 김영미, 「통일신라시대 아미타신앙의 역사적 성격」, 『한국사연구』 50·51, 1985 | 미소장 |
17 | 김영미, 「신라 하대의 아미타신앙-『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중심으로」, 『이지관화갑기념 한국불교문화사상사』 상, 1992 | 미소장 |
18 | 김영태, 「신라의 관음사상」, 『불교학보』 13, 1976 | 미소장 |
19 | 김정희, 「한국의 천수관음 신앙과 천수관음도」, 『정토학연구』 17, 2012 | 미소장 |
20 | 라정숙, 「『삼국유사』를 통해 본 신라와 고려의 관음신앙」, 『역사와 현실』 71, 2009 | 미소장 |
21 | 류종민, 「석굴암 십일면관음상의 전래 및 전파고」, 『關大論文集』 12-2, 1984 | 미소장 |
22 | 리란, 「龍門石窟 唐代 觀音造像의 형상변천-紀年造像을 중심으로」, 『동양미술사학』 6, 2018 | 미소장 |
23 | 리링(李翎), 「十一面觀音像 圖像 연구–한족 지역과 티베트 지역 조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미술사논단』 19, 2018 | 미소장 |
24 | 박광연, 「신라 중대의 정불국토(淨佛國土) 인식과 의미」, 『불교학보』 68, 2014 | 미소장 |
25 | 박광연, 「동아시아의 ‘왕즉불’ 전통과 미륵불 궁예」, 『사학연구』 110, 2013 | 미소장 |
26 | 박선영, 「삼국시대 관음보살상의 연구」, 『불교미술연구』 2, 1995 | 미소장 |
27 | 박인석, 「『유가론기(瑜伽論記)』의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사상사학』 50, 2015 | 미소장 |
28 | 박형국, 「경주 석굴암 제불상에 관한 불교도상학적 고찰」,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21, 2000 | 미소장 |
29 | 배금란, 「신라 관음신앙 연구 : 관음성현의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서울대 종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30 | 변동명, 「신라의 관음신앙과 바다」, 『한국학논총』 34, 2010 | 미소장 |
31 | 森雅秀, 「インドの不空羂索觀音像」, 『佛敎藝術』 262, 2002 | 미소장 |
32 | 소현숙, 「천수관음신앙의 신라 유입 시기 재고-경전 한역 및 도상의 제작과 유통 양상을 통한 고찰」, 『한국고대사탐구』 42, 2022 | 미소장 |
33 | 신법타, 「십일면관음연구」, 『석림』 10, 1976 | 미소장 |
34 | 王雪, 「道宣撰『集古今仏道論衡』の日本古写経本」, 『仙石山仏教学論集』 11, 2019 | 미소장 |
35 | 王雪, 「道宣撰『集古今仏道論衡』の日本古写経本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硏究』 149, 2019 | 미소장 |
36 | 이경화, 「석굴암 십일면관음의 교학적 해석」, 『불교미술사학』 17, 2014 | 미소장 |
37 | 이숙희, 「통일신라시대의 변화관음보살상-11면관음상과 천수관음상을 중심으로」, 『항산안휘준교수정년퇴임기념논문집: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2권, 사회평론, 2006 | 미소장 |
38 | 정병삼, 「의상의 관음신앙」, 『동국사상』 10・11, 1978 | 미소장 |
39 | 정병삼, 「통일신라 관음신앙」, 『한국사론』 8, 1982 | 미소장 |
40 | 정병삼, 「인도와 한국의 관음신앙 비교 연구」, 『한국학연구』 6, 1996 | 미소장 |
41 | 조준호, 「경전 상에 나타난 호국불교의 검토」 『대각사상』 17, 2012 | 미소장 |
42 | 홍승기, 「관음신앙과 신라사회」, 『호남학』 8, 197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