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SF드라마 〈그리드〉에 나타난 욕망 분석 : 미장센 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desire in SF drama 〈Grid〉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ise-en-scène / 안신영 ; 신서유 1

국문초록 1

Ⅰ. 들어가며 2

Ⅱ. 권력의 가시성과 공간구성의 미장센 5

Ⅲ. 유토피아를 향한 인간의 사유와 욕망 13

Ⅳ. 나가며 22

참고문헌 24

ABSTRACT 26

초록보기

본 연구는 SF드라마 <그리드>에 나타나는 미장센을 분석하고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드>가 구현하고 있는 디스토피아적 상상력은 인간이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우려하고 있는 미래에 대한 상상이다. <그리드>는 실제 세계의 시대성을 완전히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그리드’가 존재하는 허구적이고 낯선 공간을 뒤섞으면서 낯설게 보기를 통해 동시대에 대한 부조리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게 만든다. <그리드>속 세상은 정보를 장악한 권력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술과 정보의 과잉이 초래한 거대한 파놉티콘적 감시와 통제사회이다. 권력은 누군가를 통제할 수 있는 힘이며, 미디어 테크놀로지는 결국 권력을 가진 자들의 소유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드>는 힘을 가진 권력자가 가시성의 권력을 가질 때 그 파급력이 무한대로 커진다는 사실을 환기시키고 다수의 행복을 위한 소수의 희생은 정당한지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 또한 <그리드>는 각자의 욕망을 좇는 등장인물들 사이에서 옳고 그름이라는 이분법적 정답이 없는 질문을 던지며 인간의 사유를 촉발하고 파놉티콘적 공간 구성과 전자 파놉티콘을 통해 권력의 불균형으로 인한 시선의 권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그리드>의 미장센은 등장인물들의 욕망과 결핍 그리고 시공간 이동의 의미를 다양한 비유와 상징을 통해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고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가 지향해야 할 올바른 방향에 대해 재고하게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Undisputed masculine supremacy” = “모두가 인정하는 남성성의 우월함" : 캐서린 마리아 세지윅의 소설 『호프 레슬리』에 나타난 도덕적인 남성성에 대한 전복적인 상상 : a sbversive imagination of moral masculinity in Catharine Maria Sedgwick’s Hope Leslie Moon, Set Byul p. 33-55

보기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job search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오성찬, 전주성 p. 135-162

보기
‘不俗’의 심미성 추구 = Pursuing the aesthetics of 'non-vulgarization' : focusing on Shanshuichunquanji by Han Zhuo : 韓拙의 『山水純全集』을 중심으로 김연주 p. 163-194

보기
SF드라마 <그리드>에 나타난 욕망 분석 = Analysis of desire in SF drama <Grid>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ise-en-scène : 미장센 분석을 중심으로 안신영, 신서유 p. 5-31

보기
지눌의 『진심직설』에 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 = An analytical psychological examination of Chinnul's Chinsim Chiksul(眞心直說) 박정환 p. 81-109

보기
도시 구성요소 연구 = The study of the urban compositional element : focusing on the story of Asan's transformation as an event : 사건으로 본 아산의 변천 서사 맹주완, 강지은 p. 111-134

보기
Disabled bodies as the uncanny = 장애와 언캐니 Yoo, Hyun-Joo p. 57-8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