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문화예술공간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 연구이다. 문화예술적 경험이 우리의 삶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향후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활동에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문화예술공간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각 영역별 경험요소를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첫째,문화예술공간을 이용자의 경험, 둘째, 문화예술공간의 다양화와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성 역량과의 이용자들의인식, 셋째, 향후 잠재관객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과 제도적 개선점에 대한 내용이다. 연구참여자는 문화예술공간에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교육과 기획을 맡고 있는 전문가 3명이다. 연구참여자들의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그 동안의 경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첫째. 예술의 전당 문화예술프로그램 개선 방안,둘째. 사회문화예술프로그램과 학교문화예술프로그램의 연계성 방안, 셋째. 문화예술프로그램 개발의 강점과보완점 방안, 넷째. 문화예술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역량강화 방안, 다섯째. 온, 오프라인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및 문화예술향유 방향 제안 등 다섯 가지 방안을 도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대 취업준비생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art therapy to stress reduction of 20's job seekers 노현미 p. 5-24
학습코칭 연구 동향 및 발전과제 = The research trends and issues in academic coaching 서종수, 최성열, 신이나 p. 25-40
청소년의 온라인 여가로서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as online leisure on academic helplessness :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peer relationships :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이강욱, 지명원, 이주연 p. 41-54
진로구성인터뷰(Career Construction Interview)를 활용한 대학입시 거부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f the college entrance rejection experience using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 조영선 p. 55-74
4차 산업 시대와 대학교육의 미래 교육방법 모색 = Exploring future educational methods in the 4th industrial era and university education : focusing on online assisted learning : 온라인어시스트드 러닝 중심으로 이미나, 이은하 p. 75-89
결혼 이주여성의 이중언어 교육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bilingual education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이은하, 최진 p. 91-109
국내 미디어리터러시 연구동향 = Trends in media literacy in Korea : focusing on dissertations from 2000 to 2022 : 2000년부터 2022년 학위논문 중심으로 이영희, 윤혜향 p. 111-128
문화예술공간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 연구 = Research on participation in cultural arts spaces and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s 윤은경, 이미나, 김동일 p. 129-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