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연구개발(R&D) 지출과 기업가치 간의 관계가 기업수명주기, 기술수준, 미래 성장전망과 같은 기업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또한 이를 통해 R&D 지출의 기업가치 평가지표로서의 유효성 여부도 검증코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모형은 Ohlson모형(1995)을 수정하여 활용하였으며, KIS-VALUE와 TS-2000에서 추출한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재무 데이터 13,720개를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기업의 기술수준은 Eurostat Indicators를 채택하여 분류하였고, 미래 성장전망은 BM비율(book to market ratio)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성장기 R&D 지출이 성숙기 R&D 지출보다 기업가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을 기술수준과 미래 성장전망을 기준으로 4개 그룹(2×2)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적어도 High-tech 기업 또는 미래 성장전망이 좋은 기업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그룹에서만 성장기 R&D 지출이 성숙기 R&D 지출보다 기업가치 관련성이 높았다. 비High-tech 기업이면서 미래 성장전망이 좋지 않은 그룹에서는 성장기 R&D 지출과 성숙기 R&D 지출의 기업가치 관련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성장기 기업을 대상으로 R&D 지출과 순이익의 상대적인 기업가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R&D 지출이 순이익보다 기업가치에 주는 영향력이 컸다. 셋째, 성장기 기업을 4개 그룹(2×2)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High-tech 기업이면서 미래 성장전망이 좋은 그룹에서만 R&D 지출이 순이익보다 기업가치 관련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R&D 지출은 기업가치 평가지표로 유효하였으며, 성장기에 속하고 미래 성장전망이 좋은 첨단기술기업일수록 R&D 지출의 기업가치 관련성이 높았다.

[연구의 시사점] R&D 지출은 기업수명주기 단계, 기술수준, 미래 성장전망(BM비율) 지표와 함께 활용될 경우 기업가치 평가지표로서 더욱 유효하다. 아울러, 성장기 High-tech 기업이나 미래 성장전망이 좋은 기업이 실제 기업가치보다 높은 시가총액을 형성하는 성장주 효과를 설명하는 데 R&D 지출이 유용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환경지출을 자발적으로 공시하는 기업의 특성 및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Determinants and value relevance of voluntary disclosure of environmental expenditures 박지영, 이지윤, 황나래, 신제원 p. 1-28
기업 내 노동조합의 특성과 원가하방경직성 = Labor union's characteristics and firm's cost behavior 전성민, 이상혁 p. 29-50
준수 또는 설명 방식에 따른 기업지배구조 핵심지표 미준수 사유의 설명과 기업가치 간 관계 = Explanations for non-compliance with key corporate governance indicators and firm value 두서영, 윤성수 p. 51-81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과 기업의 ESG 활동 = The association between financial statements comparability and ESG activity 정우준, 안혜진, 윤재원 p. 83-110
감사품질이 ESG 수준에 미친 영향 =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the level of ESG : accounting audit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 회계감사와 지속가능경영 최승로, 김동현, 이창섭 p. 111-140
연구개발비의 기업가치 평가지표로서의 유효성 연구 = R&D expenditures and firm valuation according to firm life cycle, technology level, and BM ratio : 기업수명주기, 기술수준, 미래 성장전망을 중심으로 안수근, 문형구, 박원구 p. 141-170

게임 셧다운 제도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 Game shutdown and accounting value relevance 문보영 p. 171-184
수주산업 회계부정 사례를 통한 외부감사인의 책임과 시사점 = Respon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external auditors through case of accounting fraud in the order-made production industry 배성호 p. 185-206

참고문헌 (5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태완, 왕현선. 2013. 기업특성에 따른 연구개발비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국제회계연구. 제50집:159-182. http://doi.org/10.21073/kiar.2013..50.008 미소장
2 권영도. 1996. 기업 라이프사이클과 장부가치 구성요소가 주식가격결정에 미치는 영향. 회계학연구. 제21권 제2호:45-73. http://www.kaa-edu.or.kr 미소장
3 김경열. 2007. 연구개발비와 소유구조 및 기업가치의 상호관계. 국제회계연구. 제18집:167-189. http://doi.org/10.21073/kiar.2007..18.008 미소장
4 김명종, 한태용. 2014. 연구개발비의 기업가치 관련성. 국제회계연구. 제58집:265-291. http://doi.org/10.21073/kiar.2014..58.014 미소장
5 김미형. 2010. 장부시장가 비율 차이의 정보효과. 경영교육연구. 제62권 제1호:181-198. http://www.kabe.or.kr 미소장
6 김승현, 박찬수, 김만진. 2015. 중저기술 산업의 혁신특성 분석과 발전방향. 정책연구. 1-136. http://www.stepi.re.kr/ 미소장
7 김영욱, 최영수, 최정호, 김학운. (2014). IFRS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의 가치관련성. 회계학연구. 제39권 제1호:117-146. http://www.kaa-edu.or.kr 미소장
8 김확열, 최미화. 2014.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따른 조세전략 및 현금보유, 기업가치. 국제 회계연구. 제53집:327-348. http://doi.org/10.21073/kiar.2014..53.017 미소장
9 나영. 2010. 무형자산의 가치관련성에 따른 경제위기 전, 후 차이분석. 회계정보연구. 제28권제4호:271-297. http://www.kaia-edu.or.kr 미소장
10 문해원, 조은혜, 최관. 2016. 기업수명주기와 회계정보의 비교가능성. 경영학연구. 제45권 제1호:67-93. http://doi.org/10.17287/kmr.2016.45.1.67 미소장
11 민인식, 최필선. 2009. STATA 기초 통계 와 회귀 분석. 지필출판사(지필미디어). 미소장
12 박선영. 2018. 무형자산성지출과 기업가치간의 관련성: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을 대상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31권 제9호:1665-1686. http://doi.org/10.18032/kaaba.2018.31.9.1665 미소장
13 박원, 권예경. 2011.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연구개발 지출의 가치관련성. 세무회계연구. 제30호:85-103. http://doi.org/10.35349/tar.2011..30.005 미소장
14 박원, 박상규. 2010.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회계이익과 순자산의 가치관련성. 경영학연구. 제39권 제6호:1451-1476. https://kasba.or.kr 미소장
15 박현재, 배기수. 2016. R&D 투자활동과 기업가치의 관련성 - R&D 투자순위를 중심으로. 세무회계연구. 제47호:27-40. http://doi.org/10.35349/tar.2016..47.002 미소장
16 백원선, 박성진. 2013. 기업수명주기, 수익비용대응 및 차별적 비용인식. 회계학연구. 제38권제2호:215-245. http://www.kaa-edu.or.kr 미소장
17 백원선, 송인만, 전성일. 2003. 회계정보 유용성의 추세변화와 원인분석. 경영학연구. 제32권제4호:1187-1206. https://www.kasba.or.kr/ 미소장
18 백원선, 송인만, 전성일. 2004a. 산업별 경제적 효과를 고려한 연구개발비의 가치관련성. 한국증권학회지. 제33권 제2호:191-214. http://www.iksa.or.kr 미소장
19 백원선, 송인만, 전성일. 2004b. 무형자산성 지출 관련 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회계저널. 제13권 제3호:213-239. http://www.kaa-edu.or.kr 미소장
20 송지준. 2008.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 AMOS 통계분석방법. 21 세기사. 미소장
21 안수근, 박원구. 2020. Eurostat Indicators 를 활용한 기술수준별 R&D 지출과 기업가치와의관련성 연구. 회계정보연구. 제38권 제3호:253-282. http://doi.org/10.29189/KAIAAIR.38.3.10 미소장
22 안홍복. 2002. R&D 지출정보가 B/M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가? 경영학연구. 제31권 제3호:655-678. https://kasba.or.kr 미소장
23 안홍복. 2010. 무형자산의 가치동인과 자본시장의 B/M 현상의 관련성 분석:부외자산 가설검증을 중심으로. 국제회계연구. 제31집:247-264. http://doi.org/10.21073/kiar.2010..31.011 미소장
24 원자연, 유상열. 2016. 기업수명주기와 경쟁전략이 성과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회계저널. 제25권 제5호:33-65. http://www.kaa-edu.or.kr 미소장
25 원자연, 유상열. 2020. 혁신, 기업수명주기 개선과 기업가치의 관련성. 경영학연구. 제49권 제3호:599-625. http://doi.org/10.17287/kmr.2020.49.3.599 미소장
26 이정길. 2010. 기업특성이 연구개발과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금융공학연구. 제9권 제2호:77-101. http://doi.org/10.35527/kfedoi.2010.9.2.004 미소장
27 정안정. 2016. 산업별 기술수준에 따른 연구개발비 지출이 이익지속성, 이익성장성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3권 제1호:17-44. http://www.asgba.org 미소장
28 정혜영, 전성일, 김현중. 2003. 연구개발비 정보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산업별 비교. 경영학연구. 제32권 제1호:257-282. https://kasba.or.kr 미소장
29 조성표, 박선영. 2013. 연구개발지출 관련 연구들에 대한 검토 및 향후 연구방향. 회계학연구. 제38권 제1호:427-469. http://www.kaa-edu.or.kr 미소장
30 최성호, 박종일, 남혜정. 2016. K-IFRS 의무도입이 순이익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 연결, 별도, 개별재무제표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세무와 회계저널. 제17권 제3호:89-126. http://www.koreataxation.org 미소장
31 최헌섭, 장지인, 신상철. 2006. 기업수명주기별 회계이익과 현금흐름의 상대적 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5권 제5호:1339-1360. https://kasba.or.kr 미소장
32 Anthony, J. H., & Ramesh, K. 1992. Association between accounting performance measures and stock prices:A test of the life cycle hypothesi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15(2-3), 203-227. https://doi.org/10.1016/0165-4101(92)90018-W 미소장
33 Black, E. L. 1998. Life-cycle impacts on the incremental value-relevance of earnings and cash flow measures. Journal of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4:40-57. 미소장
34 Blair, M., and Wallman. 2001. Unseen wealth:Report of the Brookings task force on intangibles. Brooking Institute Press. 10(3):7-38. 미소장
35 Chan, L. K., Lakonishok, J., and Sougiannis, T. 2001. The stock market valu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The Journal of Finance. 56(6):2431-2456. https://doi.org/10.1111/0022-1082.00411 미소장
36 Chauvin, K. W., and Hirschey, M. 1993. Advertising, R&D expenditures and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Financial Management. 128-140. https://www.jstor.org/stable/3665583 미소장
37 Coad, A., and Rao, R. 2006. Innovation and market value:a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Economics Bulletin. 15(13):1-10. https://uwe-repository.worktribe.com/output/1035381/innovation-and-market-value-a-qua ntile-regression-analysis 미소장
38 Core, J. E., Guay, W. R., and Van Buskirk, A. 2003. Market valuations in the new economy:An investigation of what has changed.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34(1-3):43-67. https://doi.org/10.1016/S0165-4101(02)00087-3 미소장
39 Daniel, K., and Titman, S. 2006. Market reactions to tangible and intangible information. The Journal of Finance. 61(4):1605-1643. https://doi.org/10.1111/j.1540-6261.2006.00884.x 미소장
40 De Bondt, W. F., and Thaler, R. 1985. Does the stock market overreact? The Journal of Finance. 40(3):793-805. https://doi.org/10.1111/j.1540-6261.1985.tb05004.x 미소장
41 Eurostat. 2008. Rev. 2-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economic activities in the european community. 미소장
42 Fama, E. F., and French, K. R. 1992. The cross section of expected stock returns. The Journal of Finance. 47(2):427-465. https://doi.org/10.1111/j.1540-6261.1992.tb04398.x 미소장
43 Hall, B. H., and Oriani, R. 2006. Does the market value R&D investment by European firms? Evidence from a panel of manufacturing firms in France, Germany, and Italy.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24(5):971-993. https://doi.org/10.1016/j.ijindorg.2005.12.001 미소장
44 Hribar, P., Yehuda, N. (2007). Life cycle, cost of capital, earnings persistence and stock returns. Working Paper, The University of Iowa Columbia University. 미소장
45 Hung, M., and Subramanyam, K. (2007). Financial statement effects of adopting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the case of Germany. Review of Accounting Studies. 12(4):623-657. https://doi.org/10.1007/s11142-007-9049-9 미소장
46 Jiang, H. 2010. Institutional investors, intangible information, and the book-to-market effect.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96(1):98-126. https://doi.org/10.1016/j.jfineco.2009.11.007 미소장
47 Kothari, S. P., and Zimmerman, J. L. 1995. Price and return models. Journal of Accounting Economics. 20(2):155-192. https://doi.org/10.1016/0165-4101(95)00399-4 미소장
48 Kumar, K. R., and Krishnan, G. V. J. T. A. R. 2008. The value-relevance of cash flows and accruals:The role of investment opportunities. The Accounting Review. 83(4):997-1040. https://doi.org/10.2308/accr.2008.83.4.997 미소장
49 Lev, B., and Zarowin, P. 1999. The boundaries of financial reporting and how to extend them.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37(2):353-385. https://www.jstor.org/stable/2491413 미소장
50 Miller, D., and P. H. Friesen. 1980, Momentum and Revolution in Organizational Adap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3(4):591-614. 미소장
51 Ohlson, J. A. 1995. Earnings, book values, and dividends in equity valuation.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11(2):661-687. https://doi.org/10.1111/j.1911-3846.1995.tb00461.x 미소장
52 Oriani, R., and Sobrero, M. 2008. Uncertainty and the market valuation of R&D within a real options logic.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9(4):343-361. https://doi.org/10.1002/smj.664 미소장
53 Quinn, R. E., and Cameron, K. 1983. Organizational life cycles and shifting criteria of effectiveness:Some preliminary evidence. Management Science. 29(1):33-51. https://doi.org/10.1287/mnsc.29.1.33 미소장
54 Toivanen, O., Stoneman, P., and Bosworth, D. 2002. Innovation and the market value of uk firms, 1989-1995*.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4(1):39-61. https://doi.org/10.1111/1468-0084.00002 미소장
55 Woolridge, J. R. (1988). Competitive decline and corporate restructuring:Is a myopic stock market to blame? Journal of Applied Corporate Finance. 1(1):26-36. https://doi.org/10.1111/j.1745-6622.1988.tb00155.x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