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언론을 중심으로 각종 입시 비리 사건과 부작용이 보도되면서 대학 입시 공정성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이 화두로 등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언론은 대학 입시 공정성에 대한 여러 담론들을 생성・유통하였으며, 반대로 대중들의 다양한 인식이 이러한 언론의 담론 형성과정에 반영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여 대학 입시 공정성을 둘러싼 다채로운 논의들이 형성하는 특정한 담론적 질서를 조명한다. 특히,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과 맞닿아 있는 대학 입시 공정성 담론들이 언론을 통해 대중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을 보도하는 신문 기사들은 ‘잠재력 평가’ 담론, ‘스펙 쌓기’ 담론, 공정성 잣대로 본 ‘학종 대 수능’ 담론이 서로 접합・배열된 형태로 대학 입시 공정성을 둘러싼 독특한 담론적 질서를 형성하고 있었다.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의 ‘잠재력 평가’ 담론은 ‘스펙 쌓기’ 담론으로 왜곡・변용되면서 능력주의와 결합된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와 접합하였고, 이로 인해 형성된 담론적 질서는 대입 경쟁의 과열 및 불안 심리의 확산과 더불어 개인의 ‘능력’ 형성에 작용한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언론을 중심으로 형성된 이러한 담론적 질서는 대학 입시의 절차적 객관성과 투명성 확보라는 미시적 차원에만 주목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정의의 실현에 대한 논의를 부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 현존하는 불평등의 구조적 문제를 정당화하고 이를 끊임없이 재생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대학 입시 공정성에 대한 다채로운 접근, 즉 대학 입시를 둘러싼 경제・사회・문화적 갈등의 다양한 요인들과 이를 초래하는 불평등한 권력관계에 대한 깊은 논의의 필요성을 촉구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igital literac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배상훈, 곽은주, 조성범, 조은원, 황수정, 한송이 p. 1-26
대학 학생성공 해외 연구동향 분석 = A bibliometric study of student success in higher education : 상세 서지정보 분석 장창성, 곽은주, 조성범 p. 27-51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의 생애사를 통해 본 실존적 탐색과 역사적 자아의 재구성 = Existential expl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self through the life histories of youth human rights activists 조지혜, 유성상 p. 53-85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대학생의 대학 몰입 예측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college students' institutional commitment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focusing on educational presence : 교육 실재감을 중심으로 박기나, 전재은 p. 87-117
포스트휴먼 장애학 관점에서의 ‘학생 주도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Interrogating 'student agency'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rough the lens of posthuman disability studies :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수한, 박유나, 이설 p. 119-149
대학입시 공정성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 A media discourse analysis on the discourses of fairness of the college admission systems in South Korea : 학생부종합전형을 중심으로 유하라 p. 151-183
공동체 의식 형성에 대한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 교수방식의 영향 = The influe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styles as hidden curriculum on building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김경년 p. 185-215
교사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of teachers 이은주 p. 217-243
지속 가능한 교사양성교육(ITE) 방향성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initial teacher education(ITE) : insights from Singapore and Finland cases : 싱가포르와 핀란드 사례에 기초하여 홍미영 p. 245-275
학업 상황에서의 대학생 자기통제 전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control strategies scale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contexts 김명섭, 황혜영, 장유진 p. 277-303
다산 정약용의 영명(靈明)으로서의 인간 = Human as a spiritual beings by Dasan Jeong Yagyong : focusing on mind education : 마음교육을 중심으로 고명희 p. 305-322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청소년의 학업열의 관련 주요 변수 탐색 = Exploring key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 academic engagement using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한정아 p. 323-349
교육 연구방법으로 계보학의 가능성과 의의 =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genealogy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유주영 p. 351-378
일반학교를 경험한 학생들의 중·고 통합 공립 대안학교 선택 이유와 학교생활 경험 분석 = A study on the reasons for students who attended ordinary school to choose an public alternative school as integrated middle and high school and an analysis on the experience of their school lives 허가람, 성열관 p. 379-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