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아날로그TV 방송 시대에는 Mono/Stereo 오디오 방송과 음성다중방송이 있었고, 디지털HDTV 방송 시대에는 Dolby AC-3 기술에 의한 5.1채널 입체오디오 방송이 추가 서비스로 이루어졌다. 지금의 4K-UHDTV 방송 시대에는 채널기반 오디오(Channel-Based Audio) 7.1.4채널 입체오디오 방송을 비롯하여 객체기반 오디오(Object-Based Audio) 기본방송 및 편파방송과 해설방송 등 유저의 선택과 맞춤형 방송이 가능하고, 장면기반 오디오(Scene-Based Audio) 몰입형 공간수음효과 3D 입체음향 방송 등이 MPEG-H 기술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국내 UHDTV 방송 전송방식(ATSC 3.0)과 함께 Audio 규격으로 규정된 MPEG-H 기술 응용에 대한 실험을 통해 오디오 서비스 개발의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22 카타르월드컵’ 기간 중 카타르와 SBS 간 전송링크 구간의 국제신호(IS) 현장음 및 SBS 아나운서와 해설자 음성 전송용 음향채널 오디오를 소스로 사용하였으며, 객체기반의 기본, 해설, 현장, 집중 4가지 오디오 모드를 구성하여 SBSi 채널을 통해 모바일 스트리밍 전송을 하였다. 그리고 수신은 SBS 모바일 앱에 Decoder를 설치하여 유저의 음향모드 선택과 활용 및 향후 MPEG-H 기술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오디오 서비스 개발의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In the era of analog TV broadcasting, there were mono/stereo audio broadcasting and Bilingual Broadcasts, and in the age of digital HDTV broadcasting, 5.1-channel 3D audio broadcasting using Dolby AC-3 technology was provided as an additional service. In the current era of 4K-UHDTV broadcasting, MPEG-H technology can be used to provide Channel-Based Audio, which is 7.1.4-channel stereoscopic audio broadcasting, and Object-Based Audio, which is customized broadcasting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including basic broadcasting, polarization broadcasting, and commentary broadcasting. Using MPEG-H technology, immersive spatial sound collection effects and 3D stereoscopic sound broadcasting are also possible.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audio services by conducting experiments with the application of MPEG-H technology, as specified in the audio standard, along with the domestic UHDTV broadcasting transmission method (ATSC 3.0). To conduct this study, field sounds of the international signals (IS) and audio signals from SBS announcers and commentators were used as sources during the '2022 Qatar World Cup' transmission link section between Qatar and SBS. Four object-based audio modes, including basic, commentary, field, and intensive, were configur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BSi channel via mobile streaming. And for the reception, a decoder was installed in the SBS mobile app to allow users to select and use sound modes, as well as to experiment with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various types of audio services based on MPEG-H technology in the near future.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서정일ㆍ장대영ㆍ이태진, 「차세대 실감방송서비스를 위한 MPEG-H 3D Audio 표준화 동향」, 『대한전기학회 전기의 세계』, 제64권제2호, 2015. | 미소장 |
2 | 이미숙ㆍ백승권ㆍ이태진, 「UHDTV 방송 서비스를 위한 MPEG-H 3D 오디오 기술」, 『TTA 저널』, 제67호, 2019. | 미소장 |
3 | 정현주ㆍ오현오,「VR/AR 오디오 기술 및 표준화 동향」, 『ICT 주간기술동향』, 1884호, 2019. | 미소장 |
4 | 한국방송기술연합회, 『디지털 방송용어 사전』, 2003. | 미소장 |
5 | 「MPEG-H 오디오의 이해」, Fraunhofer Audio BlogSBS, 『차세대 UHD 방송 Guide Book』, 2021. | 미소장 |
6 | Ferdinando OlivieriㆍNils PetersㆍDeep Sen, 「Scene-Based Audio and Higher Order Ambisonics」, 『EBU Technical Review』, 2019. | 미소장 |
7 | Robert BleidtㆍArne BorsumㆍHarald FuchsㆍS. Merrill Weiss, 「Object-Based Audio: Opportunities for Improved Listening Experience and Increased Listener Involvement」, 『SMPTE Journal』, 2015. | 미소장 |
8 | Schuyler R. Quackenbush, Jürgen Herre, 「MPEG Standards for Compressed Representation of Immersive Audio」, 『IEEE 저널』, 제109권제9호, 2021. | 미소장 |
9 | WBM2 Information Manual, FIFA World Cup Qatar, 202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