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아날로그TV 방송 시대에는 Mono/Stereo 오디오 방송과 음성다중방송이 있었고, 디지털HDTV 방송 시대에는 Dolby AC-3 기술에 의한 5.1채널 입체오디오 방송이 추가 서비스로 이루어졌다. 지금의 4K-UHDTV 방송 시대에는 채널기반 오디오(Channel-Based Audio) 7.1.4채널 입체오디오 방송을 비롯하여 객체기반 오디오(Object-Based Audio) 기본방송 및 편파방송과 해설방송 등 유저의 선택과 맞춤형 방송이 가능하고, 장면기반 오디오(Scene-Based Audio) 몰입형 공간수음효과 3D 입체음향 방송 등이 MPEG-H 기술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국내 UHDTV 방송 전송방식(ATSC 3.0)과 함께 Audio 규격으로 규정된 MPEG-H 기술 응용에 대한 실험을 통해 오디오 서비스 개발의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22 카타르월드컵’ 기간 중 카타르와 SBS 간 전송링크 구간의 국제신호(IS) 현장음 및 SBS 아나운서와 해설자 음성 전송용 음향채널 오디오를 소스로 사용하였으며, 객체기반의 기본, 해설, 현장, 집중 4가지 오디오 모드를 구성하여 SBSi 채널을 통해 모바일 스트리밍 전송을 하였다. 그리고 수신은 SBS 모바일 앱에 Decoder를 설치하여 유저의 음향모드 선택과 활용 및 향후 MPEG-H 기술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오디오 서비스 개발의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In the era of analog TV broadcasting, there were mono/stereo audio broadcasting and Bilingual Broadcasts, and in the age of digital HDTV broadcasting, 5.1-channel 3D audio broadcasting using Dolby AC-3 technology was provided as an additional service. In the current era of 4K-UHDTV broadcasting, MPEG-H technology can be used to provide Channel-Based Audio, which is 7.1.4-channel stereoscopic audio broadcasting, and Object-Based Audio, which is customized broadcasting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including basic broadcasting, polarization broadcasting, and commentary broadcasting. Using MPEG-H technology, immersive spatial sound collection effects and 3D stereoscopic sound broadcasting are also possible.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audio services by conducting experiments with the application of MPEG-H technology, as specified in the audio standard, along with the domestic UHDTV broadcasting transmission method (ATSC 3.0). To conduct this study, field sounds of the international signals (IS) and audio signals from SBS announcers and commentators were used as sources during the '2022 Qatar World Cup' transmission link section between Qatar and SBS. Four object-based audio modes, including basic, commentary, field, and intensive, were configur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BSi channel via mobile streaming. And for the reception, a decoder was installed in the SBS mobile app to allow users to select and use sound modes, as well as to experiment with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various types of audio services based on MPEG-H technology in the near fu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level of use of information devices in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ntegration :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 분석 윤경동 p. 15-44

객체기반 모드 선택형 UHDTV 다채널 오디오방송을 위한 MPEG-H 활용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PEG-H for object-based mode-selectable UHDTV multi-channel audio broadcasting 김성훈 p. 45-70

랴오닝성 조대수 석패방 (祖大壽 石牌坊)의 석각 인물 그림 고찰 =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Zu Dashou stone archway in Liaoning Province 바이씬 p. 71-87

중국대학생의 열정과 끈기(그릿)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rit on education satisfac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mediating effect of major identity : 전공정체감의 매개효과 한연 p. 71-102

사회적 배제의 다차원 특성이 중⋅고령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in middle and older adults 구정숙 p. 103-127

경로당 활성화 요인 연구 = A study on elements that activates the functions of senior citizen hall : a deep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a senior citizen hall program manager : 서울시 경로당프로그램 관리자 관점 심층분석 노경선 p. 129-148

네팔 국가 정치가 시각 예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Nepalese national politics on visual arts 카말라 p. 149-173

Integr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 전통과 현대의 융합 : 쑤저우 박물관 신관 베율명 디자인 원칙 연구 : research on I.M. Pei's design principles in the New Suzhou Museum Ma Ruidong p. 175-203

하소기(何紹基)의 미적 추구와 후세의 영향 = He Shaoji's aesthetic pursuit and the influence of later generations 왕완난 p. 205-221

蕭雲從의 산수화 圖式에 관한 연구 = Xiao YunCong landscape painting schema study 비쇼리 p. 223-240

중국 대학교 음악 예술경영 전공의 교육 현황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music and arts management major at university of China 鲁美琳 p. 241-261

『개자원화전(芥子園畫傳)·매보(梅譜)』의 부호 표현 분석과 의의 = Analysis of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Jieziyuan Painting Manual·Plum Blossom』 and its application 姜易藝 p. 263-279

명(明)나라 려기(呂紀)의 화조화 구도 분석 = An analysis of the composition forms of Lv Ji's flower-and-bird paintings in the Ming Dynasty 리우거 p. 281-302

명(明) 만력(萬曆)년간의 화보(畫譜)와 원본(原本)의 심미적 차이점 = A study on the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pictorials and originals in the Wanli period of the Ming Dynasty 뤄쇼엔 p. 327-344

唐宋시기 顔眞卿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Yan Zhenqing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 focusing on the critiques of Zhongzheng's brushwork : 『中正之筆』의 평론을 중심으로 陳煜璧 p. 303-325

중국당대(中國當代)의 도자인(陶瓷印) 창작연구 = Research on the creation of Chinese contemporary ceramic seals 유효영 p. 345-367

참고문헌 (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서정일ㆍ장대영ㆍ이태진, 「차세대 실감방송서비스를 위한 MPEG-H 3D Audio 표준화 동향」, 『대한전기학회 전기의 세계』, 제64권제2호, 2015. 미소장
2 이미숙ㆍ백승권ㆍ이태진, 「UHDTV 방송 서비스를 위한 MPEG-H 3D 오디오 기술」, 『TTA 저널』, 제67호, 2019. 미소장
3 정현주ㆍ오현오,「VR/AR 오디오 기술 및 표준화 동향」, 『ICT 주간기술동향』, 1884호, 2019. 미소장
4 한국방송기술연합회, 『디지털 방송용어 사전』, 2003. 미소장
5 「MPEG-H 오디오의 이해」, Fraunhofer Audio BlogSBS, 『차세대 UHD 방송 Guide Book』, 2021. 미소장
6 Ferdinando OlivieriㆍNils PetersㆍDeep Sen, 「Scene-Based Audio and Higher Order Ambisonics」, 『EBU Technical Review』, 2019. 미소장
7 Robert BleidtㆍArne BorsumㆍHarald FuchsㆍS. Merrill Weiss, 「Object-Based Audio: Opportunities for Improved Listening Experience and Increased Listener Involvement」, 『SMPTE Journal』, 2015. 미소장
8 Schuyler R. Quackenbush, Jürgen Herre, 「MPEG Standards for Compressed Representation of Immersive Audio」, 『IEEE 저널』, 제109권제9호, 2021. 미소장
9 WBM2 Information Manual, FIFA World Cup Qatar, 202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