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정원 활동 프로그램이 우울 및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있는 노인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전·사후 측정 설계를 이용하여 2022년 9월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주 2회, 회기당 3시간, 총 16회기 정원 활동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우울 및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있는 노인으로 80명을 모집하여 중도 탈락 및 평가에 참여하지 않은19명을 제외하고 실험군 37명, 대조군 25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은 자기 보고식심리검사(불안, 스트레스, 외로움, 우울, 마음챙김, 삶의 만족도, 활력)를 실험군과 대조군에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대상자의 마음챙김, 삶의 만족도, 활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정원 활동 프로그램 후 정서적 안정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고,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부정적인 정서가 감소되었다고 할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IS 지역 한국어 교사 재교육 과정 분석 연구 = A study on reeducation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CIS region : IPA분석을 중심으로 안정민 p. 1-11
한국어와 우즈베크어의 신어 대조 연구 = Research on contrasting Korean and Uzbek neologisms : ‘gae’ and 'it' : 신어 형성 요소 ‘개’와 ‘it’의 대상으로 미로림, 배영환 p. 13-22
대학생을 위한 서평 쓰기 교육의 실제 = The practical practice of book review writi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 to establish the theory of writing a book review : 서평 쓰기 교수 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이연정 p. 23-34
한국어 교재의 지명 분석과 기능 연구 = A study analysis of place names and functions of Korean textbooks :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and ‘Sejong Korean’ : ‘서울대 한국어’와 ‘세종한국어’를 대상으로 김덕신, 라인정 p. 35-47
국내 대학 영어트랙 유학생을 위한 교양 한국어 교육의 쟁점과 과제 = A study on the issues and tasks of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nglish track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류승의 p. 49-63

넷플릭스 K-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한국 문화 관련 어휘 번역 양상 = Aspects of Korean culture-bound lexis translation in the Netflix K-drama "Squid Game" 정윤희 p. 65-80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 exploring the need for critical thinking education :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을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의 필요성 탐색 김경화, 석혜은 p. 81-95

현대시 인공지능(AI) 번역의 오류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error patter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ranslation in modern poetry : focusing on the translation results of Kim So-wol's poem using Chat GPT-3.5 : ChatGPT-3.5를 활용한 김소월 시 번역결과물을 중심으로 이유정 p. 97-110
가상현실 기반 예비교사 에듀테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virtual reality based pre-service teacher edutech program 박현진 p. 111-122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궁중정재의 연구 동향 고찰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GungJoong JeongJae through text mining 최성희 p. 123-134
안전관리 DX화를 위한 메타버스 모델구축 연구 = A study on metaverse model construction for safety management digital transformation : 공급관 파손 사고 관련 메타버스 도상훈련 시나리오 정상훈, 장창수, 엄병주, 김강래, 정해준 p. 135-142
K-POP 아이돌 그룹의 세대별 이슈 변화 분석 고찰 = Analyzing and reflecting on generational issue changes in K-POP idol groups : focusing on news big data : 뉴스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이연경, 김태종 p. 143-162
기술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TRIZ 기반 교수 모형 개발 = Developing TRIZ based instructional model to improve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competency : applying STEP-ABC : STEP-ABC를 활용하여 김창현, 박수홍, 배진호 p. 163-179

대학 내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체계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 Pre-service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curriculum operation system : a case study of U university U-human care convergence curriculum : U대학교 휴먼 케어 융복합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선, 박병숙 p. 181-190
인공지능을 위한 대학에서의 미적분학 교육 = Teaching calculus in universiti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이중경, 김현진 p. 191-203
학생응답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화상 토익집중 프로그램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online intensive TOEIC program with student response system 이인환 p. 205-218
ChatGPT를 활용한 PBL 문학 수업 방법 연구 = Research on problem-based learning(PBL) literature class method using ChatGPT 정래필 p. 219-229
AI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대학교수 인식 연구 = A study of faculty's perceptions on the educational use of AI chatbots : focusing on K university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주연, 남영옥, 채소린 p. 231-242
교원양성기관 역량 강화 기제로서의 수업품질개선보고서(CQI) 활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s a capacity building tool to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 centering on A universities : A 대학을 중심으로 유호준, 박소영, 안은비 p. 243-259
대학 교양 수업에서 디지털 도구(메타버스, 블렌더, PPT)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활동이 학습자의 행복감,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using digital tools (Metaverse, Blender, PPT) for digital storytelling activ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on learner's happiness and learning motivation : focusing on poster and video creation activities : 포스터와 영상 만들기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김수연 p. 261-273
신임교원 교수지원 개선을 위한 강의컨설팅 사례 분석 = Analysis of lecture consulting cases to improve the teaching support program for newly appointed professors at the university : focusing on A university's newly appointed professors’ lecture consulting cases : A대학교 신임교원 강의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서용희 p. 275-290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비교과 교육 항목 타당도 검증 연구 = Validity verification research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items for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 focusing on foreign students after they have entered their university major : 대학 전공 진입 후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김성재 p. 291-305
워즈워스의 “우리는 일곱”에 나타난 공감과 소통의 시적 가능성 = Poetic possibility of sympathy and communication in Wordsworth’s “We Are Seven” 전하영 p. 307-317
송대 은사(隱士) 집단과 은일 문화 = Recluses in Song Dynasty and their recluses culture : history of Song Dynasty·Biography of Recluses : “송사·은일전”을 중심으로 박영순 p. 319-332

서지자료 분석을 통한 윤동주 시 연구 = A study on Yun Dong-ju's poetry through bibliographic data analysis. 4. 4, “조선일보”, “소년”, “문우”를 중심으로 김형태 p. 333-351
“야연”을 통해 본 ‘중서융합’의 서사와 음악 = The narrative and music of the "Chinese-Western integration" through "The Banquet" 최명숙 p. 353-364
‘구보’의 반복에서 나타나는 잠재적 ‘글쓰기’ = Virtual ‘writing’ in the repetition of ‘Kubo’ : 영화 “소설가 구보의 하루”와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중심으로 허진혁 p. 365-375
탈경계 주체와 혼종화 가능성 = A study on the transboundary subjects and possibility of hybridization : 조해진의 “로기완을 만났다”를 중심으로 한혜진 p. 377-386
전근대 및 근대 서사문학에 재현된 모빌리티 연구 = A study on mobility reproduced in pre-modern and modern narrative literature 송명진 p. 387-396
파라텍스트로써의 앨범커버 연구 = A study on album cover as paratext : focusing on the Beatles' album covers : 비틀즈의 앨범커버를 중심으로 박주향 p. 397-409
광주화인 음식문화와 메타버스형 가상박물관 = Gwangju's overseas Chinese food culture and metaverse-based virtual museum 안재연, 박진홍 p. 411-418
일상화된 공공미술을 통한 새로운 방향성의 모색 = A study on the new direction of public art in everyday life : focusing on Antony Gormley’s public artwork, Event Horizon : 안토니 곰리의 <지평선>을 중심으로 성효진 p. 419-430
태국 K-POP 팬들의 다문화 수용성이 K-POP 태도와 소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ulticulutral acceptance of Thai K-POP fans on K-POP attitude and consumption 윤영삼 p. 431-442
루이스 부뉴엘의 영화에 있어서 소리풍경의 초현실성 = The surreality of soundscape in Luis Buñuel’s film : focusing on L'âge d'or : “황금시대”를 중심으로 노시훈 p. 443-453
인도의 한국 영화 리메이크 작품에 나타난 여성 캐릭터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 Changes in female characters in Indian remakes of Korean films and its meaning : “세븐 데이즈”와 “자즈바”, “더 테러 라이브”와 “다마카”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찬효 p. 455-467
미국 대중음악에 나타난 흑인 민권 운동 요소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elements of the black civil rights movement in American popular music : centered around the 1960s : 1960년대를 중심으로 박민호, 홍성규 p. 469-481
영화 속 재즈 음악의 활용 양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trends of music in films : focusing on Malcom X(1992), Catch Me If You Can(2002), and La La Land (2016) : “Malcom X”(1992), “Catch Me If You Can”(2002), “La La Land”(2016)를 중심으로 동이루 p. 483-503
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태 연구 = Budget analysi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 focusing on seventeen metropolitan culture and art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 17개 광역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지설 p. 505-516
NPL 프로세스 분석 기반 대체투자 표준화를 위한 서비스융합디자인 연구 = A study of the service convergence design for the standardization of alternative investment based on the NPL process analysis : focusing on the art market : 미술품 시장을 중심으로 이철진, 설상훈, 박근석, 김서희 p. 517-528
온라인게임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easures to vitalize the online game industry 장민선, 윤준영 p. 529-541
Mendelow Matrix 기반 정책갈등 이해관계자 분석 = Analysis of stakeholders related to policy conflicts based on Mendelow Matrix : 사용후핵연료 관리방식 갈등의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김대중 p. 543-557
유아교육에서 학교폭력 바라보기 = Understanding school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about school violence : 유치원교사의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와 인식 한산섬 p. 559-574
지역 중소 제조업체의 노사상생을 위한 지방정부의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ocal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labor-management coexistence of local manufacturing SMEs : focusing on working environment and employee welfare of manufacturing SMEs an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the SMEs in Ulju-gun, Ulsan, South Korea : 울주군 지역 내 중소 제조업체의 근로 환경과 직원 복지, 정부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도수관 p. 575-591
대형재난 정보획득 수준이 경찰 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large disaster information acquisition level on police role recognition 김상운 p. 593-601
‘조용한 해고’의 특징과 건설적인 방안 탐색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ve plans of ‘quiet firing(cutting)’ 전종희 p. 603-615
집단따돌림 피해 청소년의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완화와 외상후성장 촉진을 위한 심상재각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 of imagery rescriping program to reliev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 bully-victims 허수린, 김근향 p. 617-633
에니어그램 2유형의 대인관계 어려움에 대한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types regarding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enneagram type 2 이지영, 이송이 p. 635-651
정원 활동이 노인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garden activities on the emotions of the elderly 김종혁, 윤숙영, 이대주 p. 653-659
자살생존자 가족집단의 복합비애 비교 = A group comparison of the complicated grief of suicide survivor children, spouses, and parents : 자살생존자 자녀·배우자·부모의 비교 김경희 p. 661-671

독거노인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및 통합력의 조절효과 = The effe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coherence 백옥미 p. 673-681
인슐린 저항성이 심뇌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insulin resistance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 effects of insulin resistance : 인슐린 저항성의 영향 최명식 p. 683-693
국내 무장애관광 유형별 사례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Case studies of characteristics on types of barrier free tourism and activation plan 오성범 p. 695-707
사회자본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K팝 참여문화 연구 = A study on the K-pop participatory culture of social media users based on social capital 백보현, 송혁규 p. 709-723
음악감상수업 참여 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사회활동 적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interpersonal and social adjustment i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music appreciation class 한수정 p. 725-740
경인 지역 4년제 대학 학생들의 공동체 문화자산을 활용한 성숙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Exploring thriving experiences of four-yea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by community cultural wealth in the Gyeonggi-Inchon area 이승연 p. 741-755

실감형 미디어를 통한 융합 수업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convergence class through realistic media :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using STEAM : STEAM을 활용한 국악교육을 중심으로 정승인 p. 757-766
중년 비만 여성의 아바타 모델링을 위한 체형 연구 = A study on the body type for avatar modeling of middle-age obese women 윤지원, 홍은희 p. 767-780

모바일 속성이 놀이속성, 욕구충족, 온라인몰 커뮤니케이션 채널 선택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obile attributes on play attributes, need satisfaction, and online mall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구자성, 김찬호 p. 781-797
상황 묘사를 위한 효과적인 영상음악 제작 기법 연구 = Research on effective video music production techniques to describe situations : 뮤직 라이브러리 Dramatic Mood의 ‘Countdown’ 앨범 분석을 중심으로 김성현, 김현태 p. 799-813
지역정체성 기반 지역축제의 브랜드화를 위한 Z세대의 기대가치 연구 = Study on generation Z’s value expectation for brnadification of regional festivals 김철호 p. 815-830
초등학생의 미디어 활용 및 학교 교육 실태연구 = A study on media use and media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students in forth, fifth and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4,5,6학년을 대상으로 윤주연, 김다원 p. 831-840
대학생의 피임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과 성 건강 = Sexual health: a comparative study of contraceptive knowledge, attitudes, and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 a comparison between health sciences and non-health sciences majors : 보건 계열과 비보건 계열 비교 연구 주경숙, 김영주, 배순자 p. 841-847
시각문법에 기반한 사진치료 창작물 의미 분석 =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phototherapy client’s creations based on the grammar of visual design 정은영, 배상국 p. 849-862
한국 대중음악 소비자의 소비동기와 소비행동 = Consumption motiva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of Korean pop music consumers : Z세대를 중심으로 고선하, 전종우 p. 863-871
제2금융권의 내부마케팅이 직무태도, 조직몰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on job attitud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secondary financial sector 이상희, 신민영 p. 873-886
삶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에 대한 세대차이 연구 = A generational gap study on values and attitudes toward life : comparisons between MZ generation and older generation : MZ 세대와 기성 세대의 비교 최재원, 정태연 p. 887-900
귀환 재외동포의 한국에서의 삶 연구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he life of repatriated overseas Koreans in South Korea : a focus on Goryoins and Sakhalin diaspora : 고려인과 사할린동포를 중심으로 곽민정, 함보연 p. 901-916
AI를 활용한 글쓰기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공감을 위한 네오필리아 = Neophilia for digital literacy and empathy in writing using AI : focusing 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ChatGPT in writing : 글쓰기에서 챗GPT의 이해와 적용 방안을 중심으로 한병인 p. 917-928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치와 구매행동의 관계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value and purchase behavior of functional cosmetics : focusing on the millennial generations :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김다예, 전해정 p. 929-937
세종시 교육 분야에서 1인 1스마트기기 실증학교의 만족도 조사 연구 = A satisfaction study of one smart device per person based learning in Sejong City : focus on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김경리 p. 939-946
미용 실기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action of practical beauty learners 김주혜, 전해정 p. 959-969
<마인크래프트>의 생존서사에 나타난 가상과 현실을 가로지르는 주체의 의미 = Meaning of the subject crossing virtual and reality in the survival narrative of <Minecraft> : focusing on the gap between virtual and reality : 가상과 현실의 간극을 중심으로 이진수 p. 971-983
한국 영아교사 소진척도(Korean Infant Teacher Burnout Inventory: K-ITBI) 개발 및 타당화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Infant Teacher Burnout Inventory 이서영, 하문선 p. 985-1000
외국인 유학생의 SNS 이용 행태와 문화적응 = The effect of SNS usage behavior on cultural adaptation : focusing on foreign students from minority countries : 소수 국적 외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최정열 p. 1001-1013
베이스 드럼 페달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bass drum pedal 김지현 p. 1015-1027
창의융합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is tool for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ies 김정원, 조대연 p. 1029-1045

빈센트 반 고흐의 표현기법을 융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nail art by converging Vincent van Gogh's expression techniques 전연숙 p. 947-957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시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time o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attending a community children’s center : mediating effect of social atrophy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재민, 이규호 p. 1047-1057
퍼포먼스 관점으로 본 온라인 교육드라마의 공간 = The space of on-line educational drama as performance 우혜민 p. 1059-1071
커뮤니티 참여 디자인 관점에서의 문화도시 시민 참여 유형 =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cultural c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munity participatory design 강희정, 한현석 p. 1073-1082
업사이클링 소셜벤처의 성공요인 분석 = A study on success factors of upcycling social venture : a case analysis using ERIS model : ERIS 모델 적용 사례연구 이유리 p. 1083-1091
국내 ‘대화 분석’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f ‘conversation analysis’ 양영하, 이다니엘 p. 1093-1103
음악산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실천을 위한 시론적 논의 = A preliminary study o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practices in the live music industry : 라이브 공연산업 사례를 중심으로 유지연 p. 1105-1121
학제 간 연구를 위한 음악중재효과 활용 = Interdisciplinary research of the effects on music in non-invasive intervention : focused on the trend of digital therapeutics : 디지털 치료제 사례 중심으로 최수빈 p. 1123-1133
보컬믹스에 필요한 이펙터의 개념과 사용법에 대한 제언 = Suggestions on the concept and usage of effects required vocal mixing : with focus on compressor : 컴프레서를 중심으로 손호득 p. 1135-1145
초등무용교육에서 케이팝 대중무용의 활용방안 모색 = Aspects of exploring applications of K-pop popular dance in primary dance education 한애진 p. 1147-1163
고대 세계의 우주생성론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cosmogony in the ancient world : focusing on Mesopotamia, Judaism, and Plato : 메소포타미아, 유대교, 그리고 플라톤을 중심으로 유병우 p. 1165-1177
도시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 사례 연구 = Cultural revitalization of vacant urban spaces : focused on Le Centquatre in Paris and Kulturbrauerei in Berlin : 파리 르 쌍캬트르와 베를린 쿨투어브라우어라이를 중심으로 이민영, 장혜원 p. 1179-1191
영남 교방의 기능과 공연양상에 나타난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Yeungnam Gyobang 양지선 p. 1193-1204

사회참여예술교육의 개념과 의의 = Concept and significance of social engaged arts education : engaged arts education as expanded art : 확장된 예술로서의 참여예술교육 박호상, 김면 p. 1205-1222
영화를 활용한 영어 문화어휘 학습 방안 연구 = A suggestion for acquiring English cultural vocabulary using movies 김혜정 p. 1223-1232
미용 전공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경험이 학습무기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on cosmetology majors' learning apathy and self-efficacy 임미연, 문소희 p. 1233-1241
미디어에 재현된 전화교환원의 노동 경험과 젠더화 = The labor experience and gendering of telephone operators represented in the media : focusing on the Netflix series <Cable Girls> : 넷플릭스 드라마 <마드리드 모던걸>을 중심으로 고운이, 최윤 p. 1243-1257
근대 대중가요의 죽음 표상과 그 형상화 방식 = The representation of the death of modern popular songs and their formative methods 하성운 p. 1259-1269
SNS를 통한 과시적 자기표현이 성인의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pression of self-exaggeration through SNS on adult interpersonal competency 이강석 p. 1271-1281
한중속담의 역사적 연원 고찰 = A review of the historical origins of Korean-Chinese proverbs 이인경 p. 1283-1293
젠더갈등 혐오표현의 인지언어적 의미 = Cognitive linguistic implications of gender conflict hate speech 한주희 p. 1295-1305
SNS 방송 클립 영상 시청의 공감 반응이 본방송 호기심과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empathic response of watching SNS broadcasting clip on the curiosity and viewing intention of live program 전미향 p. 1307-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