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인류세는 인간이 지질학적 행위자가 되어 생태를 교란하고 있는 현재를 지칭하는 개념이지만, 가시적인 환경 파괴나 기후 변화의 징후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인간의 인지 영역 바깥에서 시간과 공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확산된 객체들이 더 이상 배경이 아니라 우리의 삶의 전면으로 직접적으로 침투했음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인류세는 근본적으로 인식론적 문제이자, 미학의 영역이다. 객체지향존재론을 자신의 생태철학과 결합하고 있는 티머시 모튼의 생태 미학은 이 문제를 사고하는 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인류세적 객체를 ‘초객체’로 이론화하고 오늘날 생태 위기의 근본적 원인이 ‘농업로지스틱스’의 사고형식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대문자 자연’이 존재한다는 사고로서, 자연을 우리 인간의 밖에 있는 것으로, 하나의 통일된 객체로 상정하는 것을 말한다. 모튼은 객체지향존재론을 수용하여 초객체의 미학적 인과성을 도출하고, 예술의 경험을 통해 그러한 존재론적 사실을 인정하는 것을 해답으로 제시한다. 오토래디오그래피는 이러한 생태 미학의 표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모튼의 생태 미학은 일정한 한계를 갖는다. 이는 그가 해로 제시하는 미학적 인과성이야말로 오늘날 인간들이 생태 위기를 부인하고 기존의 질서를 유지하는 주된 동기로 작동함을 애써 무시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객체의 출현이 주체의 발생과 동연적임을 밝히고, 정신분석의 주체와 증상의 개념을 활용해 대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박찬경 작가의 〈늦게 온 보살〉(2019)을 통해 대안적 생태 미학을 예증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