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국민체력100 체력인증센터의 유치과정 및 운영실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체력인증기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시 체력인증센터를 연구대상(사례)으로 선정하였으며, 유목적 표집법을 통해 총 5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다. 비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고 Weber(1985)가 제시한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치과정’은 회고록적 관점에서 유치과정 전반의 맥락과 주요 쟁점 사항을 고찰하였고, ‘운영실태’는 재정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으로 구조화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지역 체력인증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력인증센터의 개소수 확대를 위해 국민체력100 사업 유치를 위한 지자체 공무원들의 적극 행정이 요구된다. 둘째, 사업의 예산 증액을 위한 방안으로 체력증진교실에 한해 유료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체력인증기관 선정 평가 시 공간 활용도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넷째, 체력항목 별 측정방법을 통일하여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다섯째, 사업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실적(정량지표) 조정이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필라테스 이용자의 참여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ilates us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 주관적 건강상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도경민, 서일한 p. 1-13
유소년 수영대회의 이벤트 속성이 지속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event attributes of youth swimming competitions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value and event satisfaction : 서비스 가치와 이벤트 만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효림, 서명석, 문황운, 서원재 p. 15-29
학교예술교육에서 아트에듀테크 ‘메타교실-예술과 춤추다’ 참여가 중학생의 무용 학습몰입 및 학습흥미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rt-edutech ‘Meta Classroom-Dance with Art’ on middle school students’ dance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interest in school art education 홍혜전 p. 31-43
축구 국가 간 A매치 승부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구축 = Building a machine learning model to predict the outcome of international soccer matches 강명수 p. 45-56
골프장 방문 행동 분석 = Golf course visiting behavior analysis :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계획행동이론의 확장 한지훈 p. 57-67
주성분 분석(PCA)을 통한 프로야구 경기장 환경요인 특성 분석 =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factors in professional baseball stadium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오승욱, 한진욱 p. 69-81

국민체력100 체력인증센터 유치과정 및 운영실태 분석 = An analysis of the hosting process and management status of a Physical Fitness Certification Center of the National Fitness Award 100 : a case of A city’s physical fitness certification center : A시 사례를 중심으로 박재우, 김동학, 최윤석 p. 95-110
8주간의 슬괵근 스트레칭 운동이 척추 시상면 부정렬 환자의 근생리학적 지표, 운동조절, 요추전만각 및 요통을 개선시키는가? = Dose hamstring stretching exercise of 8 weeks improve muscles physiological indices, motor control, lumbar lordosis, and lower back pain in patients with sagittal imbalance of the spine? 음영배, 이지은, 이윤환, 이호성 p. 83-94

카누선수와 지도자의 LMX(지도자-선수 간 교환관계)가 지도자신뢰와 운동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anoe players and leader’s LMX (leader-member exchange) on leader trust, exercise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김국주, 김태형, 김선희 p. 123-136
프로야구 재부흥을 위한 핵심정책 및 경영전략 방안 = Exploring key policies and management strategies to revitalize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using the Delphi technique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정윤덕 p. 183-203
가스통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스포츠 = Sport based on Gaston Bachelard’s theory of imagination 이경숙 p. 205-216
코로나19 팬데믹 전, 중, 후에 따른 베이비붐 세대 여가 경향의 변화 = Changes in the leisure trend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due to COVID-19 : a network analysis using news data : 뉴스 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 변희성, 남궁진, 이준성 p. 233-251
한국형 스포츠동기척도(SMS-K)의 적합성 검증 = A psychometric item goodness-of-fit of the Korean version of Sport Motivation Scale(SMS-K) 이동률, 남정훈 p. 253-264
중년여성 요가참여자의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요가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yoga satisfaction in middle-aged female yoga participants 이예진, 이용수 p. 265-297
생활체육 동호인의 또래동기분위기가 팀 응집력과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eer motivational climate on team cohesion and intention to persist in sport of participants in the recreational sports club 주우영, 이보경, 최다빈, 김보람 p. 299-310
한국 프로농구리그 내에서의 제도변경에 따른 경쟁균형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 Efficiency analysis of the competitive balance by system changes in the Korean Basketball League (KBL) 박주호, 조정환 p. 311-319
스포츠인권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human rights in sport 서예진, 임다연 p. 321-337
딥러닝 및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한국프로농구 경기결과 예측과 스포츠토토 베팅 적용 = Predicting the outcome of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games and applying sports bett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김필수 p. 339-361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접근성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 Assessing the spatial equity of Seoul’s public sport facilities based on its accessibility : a spatial analysis : 공간분석을 중심으로 류윤지, 김기한 p. 363-376
국내 프로야구 경기력 지표 인식 조사 = An analysis on perception about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오승욱, 한진욱 p. 377-387

스포츠 참가 경험의 질적 도약의 계기로서 교양체육의 역할과 의미 = The role and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as liberal arts as an opportunity for a qualitative leap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sports 오승현 p. 389-403
파워태권도와 일반태권도의 시청 경험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viewing experience between power taekwondo and general taekwondo : focusing on gamification : 게이미피케이션을 중심으로 유수환, 김기한, 김종호 p. 405-422
K리그 U22 교체 규정이 대학축구 선수들의 인식, 진로고민 및 운동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탐색 = Exploring the impact of K League U22 substitution regulations on university soccer players’ perceptions, career concerns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exercise 송명수, 박범영 p. 423-437
스포츠시설 조직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행동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behavior factors in sports facilities organization 김태중 p. 439-449
올림픽 유산에 대한 인식이 미래 이벤트 개최 지지도와 개최지역에 대한 자부심에 미치는 영향 = Perception of Olympic legacy influence on support for future event hosting and community pride : a study of resident’s perceptions in the host region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ith application of the construal level theory : 해석수준이론을 적용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역 주민 인식 연구 이부영, 김기한, 노예영 p. 451-465
스포츠공공조직의 내부 커뮤니케이션과 구성원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ommunication of public sport organiz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 a multi-group analysis on year of service : 근속연수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박종철, 최유리, 김일광 p. 467-492
생활체육 참여 중년여성의 긍정심리자본, 운동몰입, 건강증진행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xercise commitmen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time sports 정미남, 김지태 p. 493-506
골프장 캐디의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innovative behavior among golf course caddies 송정명 p. 507-519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체육특기자 제도에 관한 속성과 군집 도출 = Derivation of key attributes related to sports specialist system applying big data analysis 박성언, 김하영 p. 521-529
신체조성이 G-Test 결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body composition on an result of G-test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체계적 검토와 메타분석 성준영, 한승아, 이정훈, 오태웅 p. 531-539
중국 체육계열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검증 = Verification of metacognitiv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hinese physical education college students 마설려, 윤인애 p. 541-551
청소년들의 여가시간 신체활동은 어디서 오는가? = Where does adolescent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come from? : longitudinal research ground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종단 연구 김보람, 천승현 p. 553-566
초보 스포츠심리상담사 K의 상담경험 사례연구 = A single study on counseling experience of the novice sport psychology counselor, K 김동현, 강지훈 p. 567-579
필라테스 고객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건설적 발언, 친사회적 침묵, 조직몰입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constructive voice, prosocial sil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of Pilates center customers 김범, 정정희 p. 581-594
H 대학교 특수체육관련 학과 문화 연구 = An ethnography study of the culture within H university's adapted physical activity-related department 오광진 p. 595-608
퍼스널 트레이너의 신체자본이 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sonal trainers’ body capital on enrollment intention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expertise depending on trainers’ gender : 트레이너 성별에 따른 인지된 전문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문호, 김대환 p. 111-122
유소년 스포츠클럽 교육서비스품질과 만족 및 성과와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sports club educati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박상현 p. 137-146
“우리 동네에도 레일바이크” = “A rail bike in our town” : exploring the meaning and needs of parent-participated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 부모참여 특수체육 프로그램의 의미와 한계 탐색 유수정, 양혜경, 조가람, 이용호 p. 147-164
스포츠 이벤트 참여자 경험 향상을 위한 서비스 프로세스 개선 전략 연구 = A study on service process improvement strategies to improve the experience of sports event participants : focusing on the Jeonbuk Asia Pacific Masters Competition : 전북 아시아태평양마스터스 대회를 중심으로 우성희, 김진세 p. 165-181
신국권(申國權)의 1923년 호주 원정 축구경기의 사적 의미 =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hin Guk-Kwon’s 1923 away soccer game in Australia 김병중 p. 217-231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봉수, 임승엽(2021). 영국 The Duke of Edinburgh’s Award 프로그램 고찰을 통한 국민체력 100정책제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4(3), 116-130. 미소장
2 국민체육진흥공단(2020). 2020년 국민체육진흥기금지원 사어 생활체육 활동 및 체력인증기관수시 선정⋅공모 공고. 서울: 국민체육진흥공단. 미소장
3 국민체육진흥공단(2023a). 2023년 국민체력100 사업계획. 서울: 국민체육진흥공단. 미소장
4 국민체육진흥공단(2023b). 2023년 국민체력100 체력인증센터 성과평가 계획. 서울: 국민체육진흥공단. 미소장
5 김경미(2021.02.17). “고령화 속도 가장 빠른 한국…노인빈곤율도 OECD 1위”.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994291#home 미소장
6 김남순(2017).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세종: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7 김단비(2023. 06. 18). “육지 나가려면 8만원”... 화장실도 없는 섬 주민들. 여수 MBC. https://ysmbc.co.kr/article/CNfGJWtQpt1R5iiKJSqN 미소장
8 김미숙(2014). 일상생활에서 생애주기별 스포츠활동 증진을 위한 “국민체력 10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9(1), 75-88. 미소장
9 김상영, 류종식, 김종근(2021). 8주간 국민체력 100체력증진교실 참여가 남성 노인의 신체조성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30(1), 1055-1064. 미소장
10 김세중, 도재현(2022). 국민체력인증검사 결과에 따라 처방된 운동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31(1), 987-996. 미소장
11 김양례(2019). 국민체력 100 사업 추진 현황 및 발전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7(1), 43-59. 미소장
12 김양례(2023). 2023년도 한국체육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지방체육 진흥과 선진화를 위한 방안 탐색” 자료집. 미소장
13 김영천(2016). 질적연구방법론I: Bricoleur, 제3판. 아카데미프레스. 미소장
14 김종근, 김상영, 류종식(2020). 8주간 국민체력 100체력증진교실 참여가 중년여성의 신체조성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9(3), 1055-1064. 미소장
15 김진성(2023). 세종특별자치시 체력인증센터 운영고도화 요인 탐색. 한국스포츠학회지, 21(1), 319-330. 미소장
16 문화체육관광부(2010). 2010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미소장
17 문화체육관광부(2013). 국민체력100사업 성과제고방안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미소장
18 문화체육관광부(2019). 건강한 100세 시대 구현을위한 체력인증과 맞춤형 생활체육 참여 방안.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미소장
19 문화체육관광부(2023). 2021 체육백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미소장
20 박세정, 송홍선, 김광준, 진영윤, 김형준(2014). 노인의 국민체력 100 체력증진교실 참여가 일상생활체력 및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5(4), 650-663. 미소장
21 법제처(2023). 국민체육진흥법 시행령 제16조의2. https://www.law.go.kr/LSW/lsSc.do?dt=20201211&subMenuId=15&menuId=1&query=%EA%B5%AD%EB%AF%BC%EC%B2%B4%EC%9C%A1%EC%A7%84%ED%9D%A5%EC%A7%84%ED%9D%A5%EB%B2%95#undefined 미소장
22 배진남(2022.10.11). 체육진흥공단, 민간 기업과 ‘국민체력100 헬스업’ 시범사업.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1011149500007 미소장
23 전원재, 임수원, 이원희. (2015). “국민체력100” 거점체력인증센터 운영시스템의 문제점과 금후과제. 한국체육학회지, 54(3), 113-126. 미소장
24 Weber, R, P. (1985). Basic content analysis. Sage Publication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