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교통사고로 인한 인체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전 좌석에서 의무임에도 불구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교통사고 사상자수는 여전히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주행차량 내 전 좌석 안전벨트 착용 검지시스템은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착용을 유도하는 시스템으로 안전벨트 미착용 사상자수 감소를 위한 유용한 기술적 대응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순서형프로빗 모형을 활용한 교통사고 상해심각도 영향요인 평가를 통해 시스템 도입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안전벨트 착용 여부는 교통사고 상해심각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안전벨트 착용 시 사망 및 치명상에 이를 확률이 0.054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안전벨트 및 교통사고 상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시스템 도입 시 기대되는 사고심각도 감소효과를 추정하였다. 사고심각도 감소효과 분석결과, 안전벨트 착용 시 사망사고가 63.3%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앞좌석은 75.7%, 뒷좌석은 58.1%의 사망사고 감소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메타분석 결과와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시스템 도입 시 기대되는 교통사고 사상자수 감소효과를 도출하여 시스템의 교통안전 측면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스템 도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벨트 미착용 교통사고 사상자수가 감소하였으며 시스템 도입률이 60%일 경우 사망자수는 현재 대비 3배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안전벨트 착용률을 높이고 사고심각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Although it is mandatory to wear a seat belt that can minimize human injury when traffic accident occurs,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casualties not wearing seat belts still accounts for a significant proportion.The seat belt wearing detection system for all seats is a system that identifies whether all seat passengers wear a seat belt and encourages their usage, also it can be a useful technical countermeasure. Firstly, this study established the viability of system implementation by assess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injuries in traffic accid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ordered probit mode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seat belt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reducing the probability of death or serious injury by 0.054 times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Secondl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prior research related to seat belts and injuries in traffic accidents to estimate the expected reduction in accident severity up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accident severity reduction revealed that wearing seat belts would lead to a 63.3% decrease in fatal accidents, with the front seats showing a reduction of 75.7% and the rear seats showing a reduction of 58.1% in fatal accidents. Lastly, Using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and traffic accident statistics, the expected decrease in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casualtie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was derived to analyze the traffic safety effects of the proposed detection system.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with an increase in the adoption rate of the system, the number of casualties in accidents where seat belts were not worn decreased. Specifically, at a system adoption rate of 60%, it is anticipated that the number of fatalities would decrease by more than three times compared to the current scenario.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perational strategies for the system were proposed to increase seat belt usage rates and reduce accident sever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LSTM을 활용한 고속도로 교통정보 예측 모델 개발 방법론 = Methodology for developing a predictive model for highway traffic information using LSTM 이요셉, 진형석, 김예진, 박성호, 윤일수 p. 1-18

국도 사고비용 산정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사고원단위 개선 =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rat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valuation of accident costs savings on national highways 조완형, 금기정 p. 19-29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주행행태 최적화 및 자율주행차 도입률별 일반자동차 교통류 안전성 분석 = Driving behaivor optimization using genetic algorithm and analysis of traffic safety for non-autonomous vehicles by autonomous vehicle penetration rate 신소명, 박신형, 김지호 p. 30-42

가상주행실험 기반 운전자 시각행태에 따른 옐로카펫 설치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yellow carpet installation according to driving behavior with eye tracking data 주성갑, 김도훈, 문혜민, 최호민 p. 43-52

주행차량 안전벨트 착용 검지시스템 교통안전 효과 분석 = Analysis of traffic safety effectiveness of vehicle seat-belt wearing detection system 박지원, 박수빈, 강상철, 오철 p. 53-73

드론 영상기반 교통안전시설 효과분석 방법론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using drone images 박용우, 김양중, 박신형 p. 74-91

지하도로 내 전기차 화재 대응지침 구축 = Establishment of the fire response guideline for electric vehicles on underground roads 강동효, 조성우, 김해, 유호인, 윤일수 p. 92-107

고속도로 동적 갓길버스전용차로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for dynamic bus-only hard shoulder running on expressway 신언교, 김주현 p. 108-126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고령층의 대중교통 정보이용 격차 해소방안 연구 = A study on mitigating the disparity in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age among the elderly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빈미영, 손슬기, 김현주, 이채원 p. 127-136

LiDAR 반사 강도 영상의 초해상화 신경망 모델 최적화를 위한 파라미터 분석 = Parameter analysis for super-resolution network model optimization of LiDAR intensity image 심승보 p. 137-147

도시부 도로 내 자율주행차량의 교통안전표지 정보 인지 시점에 따른 교통류 분석 = Analysis of traffic flow based on autonomous vehicles’ perception of traffic safety signs in urban roads 김종호, 장혁준, 한음, 고은정 p. 148-162

자율주행자동차의 공사구간 안전주행 지원을 위한 교통안전시설물 개발 실증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development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for safe autonomous vehicle operation in construction areas 김지윤, 김지수 p. 163-181

Level 4 자율주행서비스 ODD 구성요소 기반 공간정보분석을 통한 자율주행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요인 분석 = Spatial factors’ analysis of affecting on automated driving safety using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based on level 4 ODD elements 김탁영, 맹주영, 강경표, 배상훈 p. 182-199

자율주행차 사고심각도의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autonomous vehicle accidents : combining accident data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formation : 사고데이터와 교통인프라 정보를 결합하여 김창훈, 김정화 p. 200-215

자율주행차량 상황 정보 알림 시스템 = Autonomous vehicle situa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김진우, 김기태, 민경욱, 최정단 p. 216-223

PVD를 활용한 C-ITS 차량 내 경고정보 제공에 따른 주행 및 환경영향 분석 = Analysis of driving and environmental impacts by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in C-ITS vehicles using PVD 김윤미, 김호선, 강경표, 김승범 p. 224-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