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제주지역 재래시장 등에서 유통되고 있고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행한 2019년 특용작물 생산실적에서 생산량 순위가 높은 약용식물 총 103건에 대해 곰팡이독소 4종(오크라톡신 A, 제랄레논, 푸모니신 B1, 푸모니신 B2)의 검출 현황을 조사하였다. 약용식물 분류별 구입수는 근 및 근경류 52건, 과실류 17건, 엽류 12건, 전초류 11건, 피류 8건, 등목류 2건, 버섯류 1건이며, 구입시료 총 103건 중 10건(9.7%)의 시료에서 곰팡이독소 12건이 검출되었다. 곰팡이독소 성분별 검출 결과는 푸모니신 B1이 5건(4.9%)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오크라톡신 A 4건(3.9%), 제랄레논 2건(1.9%), 푸모니신 B2 1건(1.0%)의 순으로 검출되었다. 곰팡이독소가 검출된 약용식물을 살펴보면 상백피에서 오크라톡신 A(2.7 μg/kg)가 검출되었으며, 석창포 2건에서 제랄레논(15.7 μg/kg), 푸모니신 B1(43.2 μg/kg, 51.0 μg/kg)이 검출되었고, 옥죽에서 푸모니신 B2(2.7 μg/kg), 황기에서 오크라톡신 A(3.7 μg/kg), 시호에서 오크라톡신 A(7.1 μg/kg), 오미자에서 제랄레논(12.5 μg/kg), 푸모니신 B1(41.3 μg/ kg), 복분자에서 푸모니신 B1(8.2 μg/kg), 구기자에서 오크라톡신 A(15.8 μg/kg), 개질경이에서 푸모니신 B1(21.9 μg/ kg)이 검출되었다. 국내산 약용식물의 분류별 곰팡이독소 검출 현황을 살펴보면 과실류(Fructus)는 16건 중 3건(18.7 %)에서 검출되어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였고, 엽류(Herba)는 12건 중 1건(8.3%)에서 검출되었으며, 근 및 근경류(Radix)가 44건 중 3건(6.8%)이 검출되었다. 전초류(Plant), 피류(Bark), 등목류(Tuber), 버섯류(Mushroom)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독소의 약용식물 원산지별 검출률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구입한 부위인 근 및 근경류의 경우 수입산은 8건 중 3건(37.5%)에서 검출되었고, 국내산은 44건 중 3건(6.8%)에서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시중에 유통되는 약용식물에서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생약(한약) 규격집에 허용기준 미설정된 곰팡이독소 4종(오크라톡신 A, 제랄레논, 푸모니신 B1, 푸모니신 B2)이 검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검출량이 인체에 얼마만큼의 위해를 가하는 수준인지 알기 위한 위해성 평가가 필요하리라 판단되며, 이를 위해서는 각 약용식물에 대한 정확한 섭취량 정보 조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약용식물의 생산, 유통, 저장과정 중 어느 곳에서 곰팡이독소 오염이 발생했는지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약용식물의 생산, 유통, 저장과정 중 곰팡이독소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곰팡이독소 허용기준이 미설정된 약용식물의 곰팡이독소 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죽엽 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양갱의 품질 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Yanggaeng supplemented with bamboo leaf powder 강혜미, 백진주, 유수인, 백진경 p. 879-885
바실러스 균주를 이용한 분리대두단백 발효물의 항산화 및 항고지혈 효과 = Antioxidant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isolated soybean protein ferments using Bacillus spp. 김현왕, 오현화, 정도연, 송근섭 p. 886-896
숙취해소 평가를 위한 in vitro 및 in vivo 수행 =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for hangover relief : effect of Lactobacillus fermentum HDB1098 on acetaldehyde production : Lactobacillus fermentum HDB1098의 아세트알데히드 생성과 이에 미치는 영향 윤민규, 김현정, 인정훈, 이창완, 송지원, 김두성, 이승훈 p. 897-906
전자코, 전자혀, GC-MS를 이용한 제주산 레드비트의 감각 특성 분석 = Flavor and taste of red beet (Beta vulgaris L.) harvested in Jeju Island using the electronic nose, electronic tongue, and GC-MS 윤소정, 홍기배, 정향연, 홍성준, 조성민, 박현진, 반영란, 윤문연, 천가영, 김정선, 이영승, 박성수, 신의철 p. 907-916
유통 약용식물 중 곰팡이독소 오염도 조사 = Survey of mycotoxin contamination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이휘재, 김은영 p. 917-921
열풍 건조, 동결 건조 및 마이크로웨이브 건조로 생산된 생강, 인삼 분말의 이화학적 및 감각 특성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arlic and chili pepper powder produced by hot air, freeze, or microwave vacuum drying 김기호, 박성수, 김다인, 홍기배, 신의철, 김인용, 이영승 p. 922-928
아로니아박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aronia pomace powder 황은선, 김소연 p. 929-937
밀웜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영양적 기능 및 품질 특성 = Nutritional functiona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supplemented with Tenebrio molitor Linne (mealworm) powder 윤진아, 신경옥 p. 938-946
열처리와 효소당화 처리에 따른 자색고구마 말랭이의 품질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purple sweet potato with heat treatment and enzymatic saccharification 이기탁, 이소윤, 조현민, 조연재, 정윤조, 정미남, 이준수, 정헌상 p. 947-952
증자처리를 통한 생강의 유효성분 증진 및 건조조건 최적화 = Enhancing the active ingredients in dried ginger with steaming treatment and optimizing drying conditions 송정무, 김하윤, 조용식, 장현욱 p. 953-962
SNS 이용 및 추천정보 활용 정도에 따른 외식 행태 분석 = Degree of SNS use and recommended information utilization affects the eating out behavior 장진아 p. 963-974
햄프씨드의 비타민 E, 파이토스테롤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 분석 = Vitamin E, phytosterol, and carotenoid contents of hemp (Cannabis sativa L.) seed 권예지, 김건오, 허희진, 이준수, 성지혜 p. 975-981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hn SJ, Jeoung SY, Lim MS, et al. Canine renal failure caused by ochratoxin A and citrinin in the commercial dog food. J Vet Clin. 2007. 24:82-87. 미소장
2 Binder EM, Tan LM, Chin LJ, et al. Worldwide occurrence of mycotoxins in commodities, feeds and feed ingredients. Anim Feed Sci Technol. 2007. 137:265-282. 미소장
3 Kim YJ, Kim MR, Choi TS, et al. Monitoring of 7 mycotoxins in pork. Korean J Vet Serv. 2013. 36:303-309. 미소장
4 MFDS. Food code. 2023 [cited 2023 May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vailable from: https://various.foodsafetykorea.go.kr/fsd/#/ext/Document/FC 미소장
5 MFDS. Food code – A general examination method. 2021 [cited 2021 Mar 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vailable from: https://various.foodsafetykorea.go.kr/fsd/#/ext/Docume nt/FC?searchNm=곰팡이독소&itemCode=FC0A691003004A700 미소장
6 MFDS.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2012a [cited 2023May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vailable from:https://www.mfds.go.kr/brd/m_207/view.do?seq=6065&srch Fr=&srchTo=&srchWord=대한약전&srchTp=0&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Data_stts_gubun=C9999&page=1 미소장
7 MFDS. The Korean phamacopoeia. 10th ed. 2012b [cited 2023May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vailable from:https://www.mfds.go.kr/brd/m_207/view.do?seq=6049&srch Fr=&srchTo=&srchWord=대한약전&srchTp=0&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 y_nm=&Data_stts_gubun=C9999&page=1 미소장
8 Midio AF, Campos RR, Sabino M. Occurrence of aflatoxins B1, B2, G1 and G2 in cooked food components of whole meals marketed in fast food outlets of the city of Sa∼o Paulo, SP, Brazil. Food Addit Contam. 2001. 18:445-448. 미소장
9 Rheeder JP, Marasas WFO, Thiel PG, et al. Fusarium moniliforme and fumonisins in corn in relation to human esophageal cancer in transkei. Pathophysiology. 1992. 82:353-357. 미소장
10 Santos L, Marin S, Sanchis V, et al. Screening of mycotoxin multicontamination in medicinal and aromatic herbs sampled in Spain. J Sci Food Agric. 2009. 89:1802-1807. 미소장
11 Seeling K, Dänicke S, Ueberschär KH, et al. On the effects of Fusarium toxin-contaminated wheat and the feed intake level on the metabolism and carry over of zearalenone in dairy cows. Food Addit Contam. 2005. 22:847-855. 미소장
12 Song HH, Kim J, Lee C. A review of mycotoxins from Fusarium species. Safe Food. 2006. 1(3):19-28. 미소장
13 Toth D. Multi mycotoxin analysis. Safe Food. 2012. 7(4):8-17. 미소장
14 Yong KC. Contamination and detoxification of ochratoxin A in alcoholic beverage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1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