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문일평, 『湖巖全集』 2, 朝光社, 1946. |
미소장 |
2 |
吳世昌, 『槿域書畵徵』 오세창, 『국역 근역서화징』, 시공사, 1998. |
미소장 |
3 |
김정래, 낙파 이경윤<월하탄금도>의 무현금 연구 ,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미소장 |
4 |
오주석, 단원풍속첩과 혜원전신첩-<기로세련계도> 및 <미인도>와 관련하여- , 『조선시대 풍속화』, 국립중앙박물관, 2002. |
미소장 |
5 |
유옥경, 朝鮮時代繪畵에 나타난 飮酒像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미소장 |
6 |
이양재, 혜원 신윤복을 찾아서 , 『미술세계』 108-109, 1993. |
미소장 |
7 |
이양재, 혜원 신윤복의 인생과 예술 , 『한국고미술』 9, 1997. |
미소장 |
8 |
이원복, 혜원 신윤복의 화경 , 『미술사연구』 11, 1997. |
미소장 |
9 |
임미현, 조선 후기 미인도 연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미소장 |
10 |
임미현, 일재 신한평의 생애와 회화연구 , 『백산학보』 122, 2022. |
미소장 |
11 |
임재완, 『(삼성미술관 Leeum 소장) 고서화 제발 해설집』 2, 삼성문화재단, 2008. |
미소장 |
12 |
장언푸, 『한권으로 읽는 도교』, 김영진 역, 웅진씽크빅, 2008. |
미소장 |
13 |
장진성, 처절한 생황 소리: <송하취생도>, <단원도>와 김홍도의 내면풍경 , 『미술사문화비평』 9, 2018. |
미소장 |
14 |
함은혜, 조선 후기 소나무 그림 연구 ,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미소장 |
15 |
허영환, 혜원 신윤복의 작품세계 , 『동양미의 탐구』, 학고재, 1995. |
미소장 |
16 |
황정연, 조선시대 화원과 궁중회화 ,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2. |
미소장 |
17 |
황효순, 혜원 신윤복 연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