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혜원화첩》(1808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은 혜원 신윤복의 산수인물화 중심으로 구성된 문인 취향 화첩이다. 이 화첩은 두 면의 행서와 여섯 면의 그림으로 글씨, 사군자, 산수인물화, 도석인물화 등 다양한 화목이 수록되어 있다. 이 화첩은 그동안 풍속화의 그늘에 가려져 주목받지 못한 그의 문인 취향 성격의 작품을 살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깊이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혜원화첩》에는 “무진년 음력 7월 혜원(戊辰孟秋 蕙園)”이라는 낙관과 ‘유어예(游於藝)’, ‘신가권인(申可權印)’ 등 다양한 인장이 찍혀 있어, 신윤복이 그의 나이 50세가 되던 해인 1808년에 그렸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칭(傳稱)으로 불리거나 제작연대를 알 수 없었던 그의 작품들 사이에서 기준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 같은 중요성에 주목하여, 이 논문은《혜원화첩》에 수록된 각 작품을 면밀하게 분석·고찰하여 신윤복과 그의 작품세계에 대해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혜원 신윤복의 《혜원화첩(蕙園畫帖)》고찰 = In contemplation of Hyewon Sin Yun-bok's Hyewonhawcheop(蕙園畫帖) 임미현 p. 5-31

순조 28년 순원왕후 생신 진작과 야연·회작의 정례화 = Celebration of Queen Sunwon's birthday Jinjak Ritual(進爵儀) and regularization of Yaeyeon and Hoejak in 1828(Sunjo 28 years) 임혜련 p. 33-63
식민통치 및 식민권력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 Recent trends and challenges of research on colonial rule and colonial power 김제정 p. 65-96
고대 동아시아 대외교섭 상에 보이는 연회 = Banquets that appear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ancient East Asia : 8세기 일본의 對新羅·渤海 관계의 일면 강은영 p. 97-128
원 제국 제왕(諸王)의 고려 유배 양상 = A review of the aspect of the Yuan Dynasty Kings'(諸王) exile to Goryeo 권용철 p. 129-155
카이로회담 전후 연합국 군사동맹의 비판적 검토 = A critical analysis of the allied military alliance before and after the Cairo Conference 기세찬 p. 157-187
그레고리우스 1세 시대의 로마 페스트 = Images and experiences of the plague of Rome during the time of Gregory I : 역병의 이미지와 역병의 경험 이혜민 p. 189-217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미국의 핀업 걸에 나타난 애국주의 = Patriotism in American Pin-Up Girls during World War Ⅱ 이성재 p. 245-274
1920년대 미국 사회의 심리상태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 Psychoanalytical study of American society in the 1920s from the view of F.S. Fitzgerald :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를 중심으로 박기태 p. 219-243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문일평, 『湖巖全集』 2, 朝光社, 1946. 미소장
2 吳世昌, 『槿域書畵徵』 오세창, 『국역 근역서화징』, 시공사, 1998. 미소장
3 김정래, 낙파 이경윤<월하탄금도>의 무현금 연구 ,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미소장
4 오주석, 단원풍속첩과 혜원전신첩-<기로세련계도> 및 <미인도>와 관련하여- , 『조선시대 풍속화』, 국립중앙박물관, 2002. 미소장
5 유옥경, 朝鮮時代繪畵에 나타난 飮酒像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6 이양재, 혜원 신윤복을 찾아서 , 『미술세계』 108-109, 1993. 미소장
7 이양재, 혜원 신윤복의 인생과 예술 , 『한국고미술』 9, 1997. 미소장
8 이원복, 혜원 신윤복의 화경 , 『미술사연구』 11, 1997. 미소장
9 임미현, 조선 후기 미인도 연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미소장
10 임미현, 일재 신한평의 생애와 회화연구 , 『백산학보』 122, 2022. 미소장
11 임재완, 『(삼성미술관 Leeum 소장) 고서화 제발 해설집』 2, 삼성문화재단, 2008. 미소장
12 장언푸, 『한권으로 읽는 도교』, 김영진 역, 웅진씽크빅, 2008. 미소장
13 장진성, 처절한 생황 소리: <송하취생도>, <단원도>와 김홍도의 내면풍경 , 『미술사문화비평』 9, 2018. 미소장
14 함은혜, 조선 후기 소나무 그림 연구 ,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미소장
15 허영환, 혜원 신윤복의 작품세계 , 『동양미의 탐구』, 학고재, 1995. 미소장
16 황정연, 조선시대 화원과 궁중회화 ,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2. 미소장
17 황효순, 혜원 신윤복 연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