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최치원이 쓴 「신라수창군호국성팔각등루기」를 신라하대 사회 및 불교문화의 흐름 속에서 고찰하여 10세기초 호국성의 성주인 이재(異才)가 팔각등루를 건립한 후 거행한 낙성회의 성격을 분석한 것이다.

898년(효공왕 2)경 이재가 수창군에 세운 호국성의 불좌(佛佐), 불체(佛體), 천왕(天王), 달불성(達佛城), 불산(佛山) 등의 공간에는 『금광명경』에서 설하는 붓다의 법신에 근원을 두고 나타나는 공덕으로서의 호국의 관념이 담겨 있다. 또 칠미륵상이라는 표현에서 약사여래의 본원력에 의한 호국을 설하는 『약사경』󰡕의 영향도 엿볼 수 있다.

선행 연구들에서는 908년(효공왕12) 11월 4일 팔각등루를 건립한 후 개최한 낙성회를 법상종에서 주도한 것으로 보았지만, 이 글에서는 이와 다른 해석을 시도하였다. 낙성회에 동화사의 홍순대덕, 태연대덕, 영달선대덕, 경적선대덕, 지념연선대덕, 흥륜사 융선주사 등이 참여하였는데, 이들의 소속 및 호칭을 볼 때 낙성회에서 행한 의례는 밀교의례, 구체적으로는 속명번등법(續命幡燈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도성의 흥륜사 승려가 법상종 자격으로 참여한 것이 아니라 도성 사찰의 대표로서 참여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천관산기」 통해 본 ‘호남(湖南)’ 불교계 =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Honam(湖南)" region, examined through Cheon'gwan-san-gi(天冠山記) 신선혜 p. 25-55
10세기초 신라의 불교의례와 교단 = Shilla Buddhist rituals, and the religious board in the early 10th century : examination of the Shilla Suchang-gun Hoguk-seong Palgakdeung' ru-gi : 「신라수창군호국성팔각등루기」를 중심으로 박광연 p. 57-83
고려 불교 문화 관점에서의 『동문선』 연구 = Study of Dongmunseon from a Goryeo Buddhist cultural perspective : with a focus on the Sarira Faith : 사리 신앙 양상을 중심으로 옥나영 p. 85-126
『동문선』에 나타난 고려시대 낙산 관음 신앙 = The Cult of Bodhisattva Avalokitesvara at Korea's Mount Potalaka, Nansan, revealed in Dongmunseon, or the Selected Writings of the East 최선아 p. 127-166
『노상추일기』를 통해 본 조선후기 외관 포폄의 실상 = Evaluation of the local officials' conducts and performance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oen Dynasty, examined through the No Sang-chu Diary 서민주 p. 167-211

18세기 전반 『남계집(南溪集)』 편간과 ‘박세채(朴世采)의 탕평(蕩平)’에 대한 논란 = Compilation of Namgye-jib(南溪集) in the 18th century's early half, and controversy surrounding Park Se-chae(朴世采)'s Tangpyeong(蕩平) discussions 진오균 p. 213-262
개항기 일본 정부의 조선 연해 수산업 조사 = Japanese government's survey of the fishery industry in Joseon waters during the port-opening period of Joseon 이영학 p. 263-307
인천상륙작전 초기 구상과 좌절 = Early concepts and setbacks of Inchon Landing Operation during the Korean War : from Operation Blue Hearts to Operation Red Hearts : 블루하츠 작전에서 레드하츠 작전으로 이상호 p. 309-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