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시에서 ‘시적 언어’를 어떻게 규정하고 설명하는지 구체적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또한 시적 언어를 가르치는 방식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시적 언어의 세부 층위는 사회의 변화와 해당 갈래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는 차원에서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시적 언어와 관련된 현재의 담론은 이전 논의의 반복적, 타협적 수용일 뿐 체계적인 단계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시적 언어에 대한 여러 층위의 논의를 살펴보며, 현재 상황에서 적절한 재개념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아울러 중·고등학교 차원의 시적 언어 교수·학습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안해 보았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구상(1988), 『현대시창작입문』, 현대문학. | 미소장 |
2 | 김경린(2019), 「현대시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 다원화사회의 시적 메타언어를 중심으로」, 『문예운동』 142, 문예운동사, 46~54쪽. | 미소장 |
3 | 김남희(2015), 「현대시 교육에서 시론의 위치 -반어와 역설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49, 한국문학교육학회, 119~144쪽. | 미소장 |
4 | 김대행(1999), 『노래와 시의 세계』, 도서출판 역락. | 미소장 |
5 | 김민재(2022), 「문학교육에서 심미성 개념의 재맥락화 고찰 - ‘가상성’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76, 한국문학교육학회, 43~85쪽. | 미소장 |
6 | 김상욱(2017), 「시각언어로서 상형시구의 문자와 이미지 통합성」, 『한국디자인포럼』 57,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65~174쪽. | 미소장 |
7 | 김수영(1981), 『김수영 전집』, 민음사. | 미소장 |
8 | 김언자(1997), 「시적언어의 애매성과 해석과정」, 『불어불문학연구』 34(2), 한국불어불문학회, 481~501쪽. | 미소장 |
9 | 김영철(1993), 『현대시론』, 건국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0 | 김준오(2000), 『문학사와 장르』,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11 | 김준오(2002), 『시론 (제4판)』, 삼지원. | 미소장 |
12 | 류수열‧이지선‧김세림(2015),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거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사설시조 향유층 논란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47, 한국문학교육학회, 85~121쪽. | 미소장 |
13 | 박인기 편역(2001), 『현대시론의 전개』, 지식산업사. | 미소장 |
14 | 박재삼(1986), 『아름다운 삶의 무늬』, 어문각, 127~128쪽. | 미소장 |
15 | 박재삼기념사업회 편(2006), 『삶의 무늬는 아름답다』, 경남. | 미소장 |
16 | 박정환(2019), 「시적 일탈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독일어문학』 84, 219~237쪽. | 미소장 |
17 | 서우석(1981), 『시와 리듬』,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18 | 신재기(2004), 「박용철의 시적 언어론」, 『어문학』 83, 한국어문학회, 253~276쪽. | 미소장 |
19 | 여태천(2008), 「궁핍한 모국어와 시적 혁명」, 『계간 시작』 7(2), 천년의시작, 58~80쪽. | 미소장 |
20 | 오규원(1990), 『현대시작법』,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21 | 오규원(2007), 『오규원 시전집 1』,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22 | 오문석(2021), 「이승훈의 부정시학」, 『한국언어문화』, 76, 한국언어문화학회, 37~57쪽. | 미소장 |
23 | 오세영 외 23인(1991), 『시창작 이론과 실제』, 시와시학사. | 미소장 |
24 | 유종호‧최동호 편(1995), 『시를 어떻게 볼 것인가』, 현대문학, 31~39쪽. | 미소장 |
25 | 윤여탁‧최미숙‧유영희(2021), 『시와 함께 배우는 시론 (제2판)』, 태학사. | 미소장 |
26 | 윤영천 편(1988), 『이용악 시전집』, 창작과비평사. | 미소장 |
27 | 이승하 외 11인(2019), 『새로 쓴 시론』, 소명출판, 9~24쪽. | 미소장 |
28 | 이승훈(1989), 「시와 언어」, 현대문학사 편, 『시론』, 현대문학, 20~46쪽. | 미소장 |
29 | 이승훈(1990), 『시론 (증보판)』, 고려원. | 미소장 |
30 | 장노현(2021), 「디지털 포엠의 시적 전략과 디카시의 변화 방향성」, 『한국언어문화』 75, 한국언어문화학회, 207~232쪽. | 미소장 |
31 | 장석원(2001), 「김수영 시의 ‘반복’ 연구 ―카니발의 언어와 ‘부정/생성’의 시학」, 『한국근대문학연구』 2(2), 한국근대문학회, 210~240쪽. | 미소장 |
32 | 정재찬‧김정우‧남민우‧김남희‧정정순‧김미혜(2017), 『현대시 교육론』, 역락, 57~80쪽. | 미소장 |
33 | 조강석(2011), 「김춘수 시의 언어의식 전개과정 연구」, 『한국시학연구』 31, 한국시학회, 91~116쪽. | 미소장 |
34 | 최미숙(2019), 「문학교육의 ‘개념’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은유’를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62, 한국문학교육학회, 9~40쪽. | 미소장 |
35 | 현대문학사 편(1989), 『시론』, 현대문학, 20~46쪽.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