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염소 바이패스 분진의 주성분은 칼슘, 알칼리 및 염소 성분이며,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염소 성분 제거가 필요하다. 시멘트업체에서는 염소 바이패스 분진의 시멘트 원료 사용과 KCl 회수를 위해서 수세 처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소 바이패스 분진 및 수세 잔류물의 재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35,000톤/년 규모 염소 바이패스 분진 수세 설비에서 사용한 염소 바이패스 분진과 수세 잔류물의 화학성분, 광물 특성 및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염소 바이패스 분진의 염소 함량은 23.9%에서 수세 처리 후에 1.4%로 감소하여 수세 잔류물의 시멘트 원료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세 잔류물에서의 염소 성분은 대부분 Calcium Aluminium Oxide Chloride Hydrate 광물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aO 성분은 22.4%에서 49.8%로 증가하였으며, K₂O 성분은 25.2%에서 5.45% 감소하였다. 수세 잔류물의 평균입경은 22.72μm로 수세 전의 염소 바이패스 분진의 평균입경 12.13μm와 비교하여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염소 바이패스 분진에 포함되어있는 1μm 이하의 염소화합물 입자가 수세 과정에서 용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main components of chlorine bypass dust are calcium, alkali, and chlorine. Chlorine components must be removed from chlorine bypass dust to enable its recycling as a cement raw material. Cement companies usually employ water-washing treatment to recover KCl from chlorine bypass dust. In this study, the chemical composition, miner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the chlorine bypass dust and washed residues obtained from a 35,000 ton/year chlorine-bypass-dust-washing facility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recycling the dust and its washed residues. The chlorine content of the dust decreased from 23.9% to 1.4% after washing, thus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washed residues as a cement raw material. The CaO component increased from 22.4% to 49.8% whereas the K₂O component decreased from 25.2% to 5.45%.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water-washed residues was 22.72 μm,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hlorine bypass dust before washing (12.13 μm). This result was attributed to the dissolution of chlorine compound particles measuring less than 1 μm in the chlorine bypass dust during wash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Lithium extraction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LIBs) using mechanochemical process : a comprehensive review Yuik Eom, Richard Diaz Alorro, Jonah Gamutan, Aleksandar N. Nikoloski p. 3-17

석회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원단위 산정 및 대응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mission intensity and response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in the lime industry 권석제, 조진상, 김영진, 김양수, 서준형 p. 18-27

황산용액을 이용한 초경합금 슬러지로부터 코발트 및 텅스텐의 분리 침출 거동 = Separation leaching behaviors of cobalt(Co) and tungsten(W) from tungsten carbide sludge by sulfuric acid solutions 안종관, 이진영 p. 28-34

비탄산염 원료를 사용한 시멘트 혼합원료 및 클링커 특성 = Characteristics of cement raw mix and clinker used non-carbonated materials 이영준, 염우성, 서성관, 추용식 p. 35-43

염소 바이패스 분진 및 수세 잔류물의 특성분석 = Characteristics analysis of chlorine bypass dust and water-washed residue 이선목, 이대근, 길준호, 이태우, 송훈, 염우성 p. 44-51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바나듐 정광의 수침출에 대한 염배소 요인 영향 연구 = Effect of salt roasting factors on water leaching of vanadium concentrate by design of experiment 김민석, 정경우, 김리나 p. 52-61

시멘트 클링커 특성에 미치는 IM과 염소 함량의 영향 분석 = Effects of IM and chlorine contents on cement clinker 이영준, 염우성, 서성관, 추용식 p. 6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