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덕현·김현주·심승희(역), 장소와 장소상실, Edward Relph(2008), 서울: 논형. |
미소장 |
2 |
김동규(역),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후설에서 메를로퐁티까지, Pierre Thévenaz(2017), 서울: 그린비. |
미소장 |
3 |
김동일(역), 사회적 삶의 이해, William Outhwaite(1986),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4 |
김현권(역), 일반언어학 강의, Ferdinand de Saussure(2022), 서울: 그린비. |
미소장 |
5 |
남상희(2002), 공간과 시간을 통해 본 도시와 생애사 연구: 독일 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한울. |
미소장 |
6 |
박성희(2004),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생애사 연구(Biography research)를 중심으로, 서울: 원미사. |
미소장 |
7 |
손민호·조현영(2014), 민속방법론: 현상학적 사회학과 질적 연구,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8 |
염미경(2006), 지방사연구에서 구술사의 활용현황과 과제, 역사교육 98, 237-262. |
미소장 |
9 |
위경혜(2018),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의 지역사(성) 연구와 구술사 방법론, 한국극예술연구 59, 85-114. |
미소장 |
10 |
유형숙·손경희·이정희(2018), 부산해녀의 문화관광 콘텐츠 발굴을 위한 질적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14(1), 1-22. |
미소장 |
11 |
윤동환·신희라(2022), 근현대 생활문화유산 기록화: 군포 문화유산 조사와 기록을 중심으로, 무형유산학 7(2), 7-29. |
미소장 |
12 |
윤택림·함한희(2006),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서울: 아르케. |
미소장 |
13 |
이미홍(2022), 기억의 재구성을 통한 마을공간 복원에 관한 연구: 수몰마을 예안면 부포리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이종인(역), 바르트, Jonathan Culler(1999), 서울: 시공사. |
미소장 |
15 |
이종주·이정훈(2015), 식민지농촌 구술의 서사구조와 문화콘텐츠적 의의: 전북 정읍 신태인읍 화호리 지역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38, 157-180. |
미소장 |
16 |
이진경(1997),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서울: 푸른숲. |
미소장 |
17 |
장혜원·서광용·홍성화(2023), 관광커먼즈 기반 생태관광 추진에 관한 구술사: 제주 선흘리 동백동산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7(5), 37-52. |
미소장 |
18 |
장혜원·오상훈·최병길(2017), 제주 가시리마을의 목축문화 기반 농촌관광 창출에 관한 연구: 융합관광의 관점에서, 관광학연구 41(1), 203-221. |
미소장 |
19 |
전경수(편역)(1994), 관광과 문화: 관광인류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일신사. |
미소장 |
20 |
정세연(2022), 공공도서관의 지역 구술 활성화 방안: 경기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정재욱·박성신(2019), 구술사를 통해 본 지역의 역사와 지역재생의 방향성: 서천군 장항읍 ‘황금정’ 마을을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10(2), 145-174. |
미소장 |
22 |
조성실·이정우(2022), 군산 신흥동 도시재생사업에서 구술기록과 활용: 마을 역사 재구성과 콘텐츠화의 관점에서. 문화와융합 44(5), 755-774. |
미소장 |
23 |
조애리 외(공역), 문화 코드, 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화연구의 이론과 실제, Elaine Baldwin 외 공저(2017), 파주: 한울. |
미소장 |
24 |
태지호(2012),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를 통한 사회적 기억 제도로서의 영상 재현에 관한 연구: <우리는 8·15를 어떻게 기억하는가>(KBS)에 나타난 1945년 8월 15일의 기억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6(4), 431-471. |
미소장 |
25 |
Baldwin, E., Longhurst, B., McCracken, S., Ogborn, M., & Smith, G.(2004), Introducing Cultural Studies(Revised 1st ed.), Harlow, UK: Pearson Education. |
미소장 |
26 |
Barthes, R.(1976), Mythologies(A. Lavers, trans.), New York: Hill and Wang. |
미소장 |
27 |
Carr, E. H.(1961), What Is History?, London: Macmillan. |
미소장 |
28 |
Carrier, P.(2000), Places, Politics and the Archiving of Contemporary Memory in Pierre Nora's Les Lieux de Mémoire, in S. Radstone(ed.), Memory and Methodology(pp. 37-57), Oxford: Berg. |
미소장 |
29 |
Fiske, J., & Hartley, J.(1978), Reading Television, London: Methuen. |
미소장 |
30 |
Foucault, M.(1990), Andere Räume, in K. Barck, P. Gente, H. Paris, & S. Richter(eds.), Aisthesis: Wahrnehmung heute oder Perspektiven einer anderen Ästhetik(pp. 34-46), Leipzig: Reclam. |
미소장 |
31 |
Halbwachs, M.(1992), On Collective Memory(L. A. Coser, tran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32 |
Husserl, E.(1970), The Crisis of European Science and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n Introduction to Phenomenological Philosophy,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3 |
Jameson, F.(1991),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London: Verso. |
미소장 |
34 |
Lowenthal, D.(1961), Geography, Experience, and Imagination: Towards a Geographical Epistemolog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51(3), 241-260. |
미소장 |
35 |
Lynch, M.(1995), The Idylls of the Academy, Social Studies of Sciences 25, 582-600. |
미소장 |
36 |
MacCannell, D.(1976), The Tourist: A New Theory of the Leisure Class, New York: Schocken Books. |
미소장 |
37 |
Natanson, M.(1963), A Study in Philosophy and the Social Sciences, in M. Natanson(ed.), Philosophy of the Social Sciences: A Reader(pp. 271–285), New York: Random House. |
미소장 |
38 |
Schütz, A.(1962), Collected Papers, I: The Problem of Social Reality, The Hague: Nilhoff. |
미소장 |
39 |
Schütz, A.(1967),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G. Walsh & F. Lehnert, trans.),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0 |
Thompson, P.(2000), The Voice of the Past: Oral Hist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1 |
van der Leeuw, G.(2006), Sacred and Profane Beauty: The Holy in Art(D. E. Green, tran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2 |
Wach, J.(1929), Das Verstehen: Grundzüge einer Geschichte der Hermeneutischen Theorie im 19. Jahrhundert(Vol. Ⅱ), Tübingen: Mohr. |
미소장 |
43 |
Wagner, P. L.(1972), Environments and Peopl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미소장 |
44 |
Wax, M. L.(1974), On Misunderstanding Verstehen: A Reply to Abel, in M. Truzzi(ed.), Verstehen: Subjective Understanding in the Social Sciences, Reading, MA: Addison-Wesley. |
미소장 |
45 |
Weber, M.(1968), Economy and Society: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New York: Bedminster Press. |
미소장 |
46 |
Williams, R.(1983), Culture, in D. McLellan(Rd.), Marx: The First Hundred Years(pp. 15-55), St. New York: Martin's Press.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