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양산시 금산리 일원에서 확인된 양산단층 남단의 제4기 단층활동 = Quaternary faulting along the southernmost part of Yangsan fault in Geumsan-ri, Yangsan-si, SE Korea / 한종원 ; 임현지 ; 하상민 ; 임혜원 ; 이성준 ; 임보성 ; 강희철 ; 이선갑 ; 손문 ; 류충렬 1

Abstract 1

요약 1

1. 서언 1

2. 지질학적 배경 2

3. 연구결과 4

3.1. 금산리단층-1 지점 4

3.2. 금산리단층-2 지점 5

3.2. 금산리단층-3 지점 6

4. 토의 및 결론 7

References 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늙은 산개성단 M67에 대한 운동학적 연구 = A kinematic study of the old open cluster M67 황경우, 이유나, 유의정, 김혜인, 구재림, 홍종석, 임범두 p. 361-372

보기
대기모델링(WRF)을 이용한 미세먼지의 발생과 지형학적 유입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fine dust and topographical inflow characteristics using atmospheric modeling (WRF) 최현정, 박창현, 이강열 p. 373-402

보기
지역 수치 모델의 영역 크기와 수평 해상도에 따른 이상적인 열대저기압의 진로와 베타자이어의 민감도 분석 = Sensitivity of ideal tropical cyclone’s track and beta-gyre to domain size and horizontal resolution of regional numerical model 이충희, 정형빈, 강현구, 김재진 p. 403-423

보기
태풍 곤파스와 솔릭 전과 후의 고창 동호리 사질 조간대 표층 퇴적물과 집적률 특성 =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and accumulation before and after the typhoon Kompasu and Soulik in the Gochang Donghori sandy intertidal flat, Korea 강솔잎, 양우헌 p. 424-441

보기
대한해협 해저사퇴 심부코어 SSDP-101의 퇴적상과 퇴적환경 =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s of the SSDP-101 long-core in a submarine sand ridge in the Korea Strait 김성필, 양우헌 p. 442-455

보기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NOAA-20/VIIRS 해수면온도 검증과 오차 특성 = Validation of NOAA-20/VIIRS sea surface temperature and error characteristics in the seas around Korean Peninsula 김희영, 박경애, 주희태, 이준수, 양준용 p. 456-468

보기
인공위성 Sentinel-2 자료를 이용한 경기만 수중 탁도 산출 = Retrieval of underwater turbidity in Gyeonggi Bay using Sentinel-2 satellite data 김수란, 김태성, 박경애, 박재진, 이문진 p. 469-481

보기
양산시 금산리 일원에서 확인된 양산단층 남단의 제4기 단층활동 = Quaternary faulting along the southernmost part of Yangsan fault in Geumsan-ri, Yangsan-si, SE Korea 한종원, 임현지, 하상민, 임혜원, 이성준, 임보성, 강희철, 이선갑, 손문, 류충렬 p. 482-492

보기
오일러 벡터 결정 알고리즘 = Euler vector determination algorithm : regional plate motion : 지역 지각판 운동 나성호, 조정호 p. 493-500

보기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선다형 문항 제작 과정에 나타난 논의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creating multiple choice items by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inquiry : 구성주의 근거 이론 접근 안유민, 이종진 p. 501-519

보기
‘미세먼지 없는 학교 위치 선정’ MEA활동에서 고등학생들의 데이터 우선순위 설정 전략 탐색 = Exploring high school students’ strategies in prioritizing data during a ‘finding a fine dust-free school location’ model-eliciting activity (MEA) 이은지, 남윤경 p. 520-53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