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팬데믹 이후,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이라는 용어가 주목받고 있다. 조용한 사직은 근로자가 조직에서 주어진 업무에는 충실하지만, 추가 노동을 하지 않고 승진이나 좋은 평가 등을 바라지 않는 태도를 말한다. 최근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조용한 사직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리학적 구성개념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용한 사직을 행동과 정서, 두 가지 차원으로 체계화 한 Patel 등(2023)의 다차원적 조용한 사직 척도(Multidimensional Quiet Quitting Scale; MQQS)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N1 = 220, N2 = 400)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조용한 사직 척도가 2요인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시민행동, 발언행동 등의 심리적 개념과 관련성을 분석하여 척도의 수렴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증분 타당도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우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지속적 몰입, 심리적 계약위반, 위반 감정을 통제하고도, MQQS가 조직시민행동과 이직 의도에 유의미한 증분 설명량을 갖고, 고유한 분산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MQQ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창의성 역설 = The creativity paradox : the more you believe creativity is important, the more desirable you rate the creative characteristics of others? : 창의성이 중요하다고 믿을수록 타인의 창의적 특성을 더 바람직하게 평가하는가? 서희영, 장재윤 p. 403-437

팀 기반 공유 리더십 척도의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shared leadership scale for teams 주영경, 김명소 p. 439-470

지각된 과잉자격과 상대적 박탈감이 지식은폐 동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relative deprivation on knowledge hiding motivation : moderated mediation of work meaningfulness :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영일, 유태용 p. 471-500

도전적·방해적 스트레스원이 직무열의를 통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 Differential effects of challenge and hindrance stressors on OCBs through work engagement 김희진, 박형인 p. 501-526

유자녀 직장인의 부부 친밀감과 일-가정 갈등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work-family conflict among working parents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job satisfaction and work-role salience : 직무 만족과 직업역할 중요도의 조절된 매개모형 박정현, 이기학 p. 527-555

다차원적 조용한 사직 척도(MQQS)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study of the multidimensional quiet quitting scale (MQQS) 김광태, 이혜원, 손영우 p. 557-583

리더의 직무소진과 혁신행동 = Leader's job burnout and innovative behavior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를 중심으로 이서현, 하규영 p. 585-610

채용 과정에서 인공지능 기술 적용이 조직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recruiting process on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 when and why AI recruiting leads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 언제 왜 조직 매력도를 향상시키는가? 정예슬, 박지영 p. 61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