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에서는 〈금시조〉의 서사 문법을 추출하기 위해 심층 구조를 표면구조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탐구해보았다. 〈금시조〉의 등장인물들은 예술혼 혹은 획득하지 못한 것을 ‘찾기’위해 수련하고 방황하는 인물들이다. 핵심이 되는 단어는 ‘찾다’ 혹은 ‘찾으려하다’라는 동사이며, 이 ‘찾다’는 동사를 통해서, 명사와 동사의 결합인 가장 간단한 문장으로 변환시켜 심층 구조와 표면 구조를 살펴본 결과, 이 소설 텍스트는 ‘수련(고난) : 완성(성취)’ 이라는 행위의 의미론적 대립항으로 이루어진 심층 구조의 핵이 표면구조에서 다양하게 재현되고, 변형되면서 서사를 진행시켜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텍스트 표면’인 층위와 텍스트에 배치된 사건을 시간으로 재구성한 스토리 층위를 통해서 사건과의 관계로서의 행위들이, 대립적으로 제시되어 소설 텍스트 전체 구조에 유기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 대립항은 각각 헤어짐 : 해후, 수련(고난) : 완성(성취), 그리고 수수께끼 : 해결이었고, 그것들은 의미론적 변별적 자질을 지니며 작동하고 있었다. 이 변별적 자질들은 모순-대립 관계에 있던, 석담과 고죽의 예술론을 통합하는 ‘찾기’의 의미망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금시조〉의 금시조 그림을 도상으로 파악하였다. 도상은 주로 어떤 사물과의 유사성을 빌려 그 사물을 가리키는 기호로 정의할 수 있는데, 그것은 일차성, 즉 고유한 특징을 통해 의미작용한다. 그러나 고죽에게 있어서 금시조라는 한자어 도상은 고유한 특질을 얻어 낼 수 없는 추상의 대상이었다. 매체 형식에 의존하는 도상성(iconicity)을 바탕으로 하여 금시조가 지니는 도상성을 하위도상의 은유의 영역까지 발전시켜 해석해보았다. 고죽과 석담의 양항 대립은 결코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의 영역으로 다가가고자 하는 통합의 ‘찾기’였던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순정과 SF의 조우 = Sun-jeong meets science fiction : inhuman others in 1990s SF women’s comics : 1990년대 SF 순정만화 속 비인간 타자들 김은정 p. 11-38

에코테크네 디스토피아와 생명 정치의 타자성 = Ecotechne dystopia and the otherness of biopolitics focusing on Chun Sun-ran’s Moss Forest : 천선란의 『이끼숲』을 중심으로 오윤호 p. 39-67

한국 현대 SF의 과학자 재현양상 = Representations of scientists in contemporary Korean science fiction : centered on the novels of Kim Cho-yeop, Shim Nae-ul, and Jung Bo-ra : 김초엽, 심너울, 정보라 소설을 중심으로 홍덕구 p. 69-103

초국가적 몸짓산업과 ‘키네틱 애니매시’의 회절 = Transnational bodily motion industries and the diffraction of ‘kinetic animacy’ : bodies on and off the basketball court, affective geographies of the bodily motion : 농구 코트 안팎의 몸들과 몸짓의 정동지리 권두현 p. 105-142

<잔등>의 귀환 서사적 특성 연구 = A study of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return of the novel Jandeung 김병구 p. 143-172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의 모성 재현 양상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aspects of motherhood in <The Apartment with Two Women> : focus o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 ‘어머니와 딸’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박민아 p. 173-202

이문열 <금시조>에 대한 기호학적 독서 = Semiotic reading of Yi, Mun-yeol's “Geumsijo” : focusing on the semantic structure and iconicity of actions : 행위의 의미구조와 도상을 중심으로 박상익 p. 203-225

지아장커 영화의 경관, 지아장커 영화라는 경관 = Scapes of Jia Zhangke's films, Jia Zhangke's films as scapes : the utilization and cultural politics of cinematic scapes : 영화적 경관의 활용과 문화정치 이승빈, 신지연 p. 227-283

초기 한국 e스포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early Korean e-sports 이현중 p. 285-317

웹소설의 역사-현실과 게임적 세계관 = History-reality and game worldview of web novels a study on The Youngest Son of a Chaebol Family : 산경의 『재벌집 막내아들』을 중심으로 조형래 p. 319-352

1950년대 대중잡지 『아리랑』의 법담론 구성과 매체전략 = The composition of legal discourse and media strategy of 『Arirang』 a popular magazine in the 1950s 홍순애 p. 353-386

다이렉트 시네마의 ‘발견’과 ‘재구성’을 통한 매체 교육 연구 = A study on media education through ‘discovery’ and ‘reconstruction’ of direct cinema 홍인영 p. 387-445

조너선 크래리 읽기 = Reading Jonathan Crary : a study of Scorched Earth: Beyond the Digital Age to a Post-Capitalist World (2022) : 『초토화된 지구: 디지털 시대를 넘어 포스트-자본주의 세계로』(2022)를 중심으로 하승우 p. 447-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