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회의 교육적 효과를 점검하고,학생들의 인식을 수렴하여,비교과 활동의 하나인 온라인 독서토론대회를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제1회,제2회 온라인 숙명독서토론대회 본선에 진출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는 독서토론대회에 미친 대학 교양교육의 효과성,대회의 교육적 효과성과 독서토론 방식의 적절성,온라인 대회 운영의 적절성과 효과성으로 진행되었다.이를 통해 온라인(ZOOM)에서 실시간 진행된 독서토론대회 전반에 걸쳐 학생들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고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독서토론대회가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토론과 글쓰기 교육이 활성화되고,교과 및 비교과의 연계가 필요하며,독서토론대회에 학생들의 참가를 높이기 위해 적절한 주제와 지정 도서를 선정할 필요성과 온라인 공간에 청중들의 역할과 참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 글쓰기에서의 장르 인식에 근거한 서평 작성 교육 방안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writing a book review based on genre awareness in university writing 김현정 p. 13-41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와 방법 연구 = Study on the effects and methods of writing feedback : focusing on comparison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writing feedback : 대면 및 비대면 글쓰기 피드백 비교를 중심으로 송명진 p. 43-64
외국인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설계와 운영방안 연구 = Study of a Korean writing class plan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 focusing on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anslation : 한국어교육 및 한국어 통번역 전공 유학생을 중심으로 이가원 p. 65-93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 방안 연구 = Research o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methods using cultural content : focusing on trans-media storytelling use cases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손혜숙 p. 95-120
소통의 관점에서 공동체 문제 인식과 참여를 위한 소설 읽기 교육 = Novel reading education for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 focusing on Lee Cheong-jun's Your Heaven :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을 중심으로 백윤경 p. 121-152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 표현 교육의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citation expression education in college writing classes : focusing on changes in error patterns according to course phases : 수업 단계에 따른 오류 양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원희, 이은경 p. 155-185
대학 글쓰기교육에서 ‘개요’ 작성 지도가 갖는 의미와 효과 = The meaning and effect of outlining teaching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이부순 p. 187-215
'단어 선물하기' 활동을 통한 자기 성찰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self-reflection writing education through 'giving a word as a gift' activities 임보연 p. 217-241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Research trend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전대일 p. 243-268
대학생 글쓰기 교육에서 ‘생성형 AI’ 활용방안에 대한 시론 = Study on how to use 'generative AI' in writi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 조선대 <열린사고와 표현> 교과목에서의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상민 p. 269-293
포스트 챗GPT 시대에 평생 필자 기르기 = Developing lifelong writers in the post-ChatGPT era : how has th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hanged the environment of writing instruction? : 생성 인공지능은 작문 교육 환경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장성민 p. 295-322
대학생의 읽기 목적에 따른 위키 사이트의 이용 현황 및 인식 연구 = College students' perception and use of Wikipedia according to reading purpose 백혜선 p. 323-345
온라인 독서토론대회 본선 참가자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in online reading debate competition : based on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 대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통하여 백목원, 신희선, 서정혁, 김지윤 p. 347-386

대학교 신입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분석 =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university freshmen 최지연, 김민옥 p. 387-413
시 낭송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poetry recitation 서효원, 김태수 p. 415-447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학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literature education of the foreign students using the cultural contents : centering around Song Ki-sook's "Uturi - The Alive, Follow Me 1" : 송기숙의 「우투리-산 자여 따르라 1」을 중심으로 나선혜 p. 449-474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에 나타난 절망과 죄의 문제 = The theme of despair and sin in Dazai Osamu's No Longer Human : an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Kierkegaard : 키에르케고르의 관점으로 읽기 이경희 p. 493-519
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읊조림(吟詠)의 전통 = The roots and tradition of "Eupjorhim" in K-Pop 김수경 p. 521-544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Public language diagnostic study for migrants : focusing on immi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network : 사회통합정보망을 중심으로 안정민, 한혜민 p. 475-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