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논문의 목적은 이재 황윤석의 초상화를 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재연보(頤齋年譜)」와 「이재난고(頤齋亂藁)」 및 그의 사환생활(仕宦生活)의 행적을 통하여 그의 성격과 인품, 다른 사람들의 이재의 외모에 대한 기록, 이재가 사주(四柱)와 관상(觀相)을 보고 기록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재가 사주를 보았고 사주감정가(四柱鑑定家)가 이재의 사주팔자를 통하여 그의 성격과 얼굴의 특징을 말했기 때문에 사주와 관상 관련 서적을 통하여 이재의 성격과 면상(面相)을 추정해 보았다. 그 구체적인 방법은 이은(李溵)의 초상화-인품-심상(心相)-인상(印相)-면상(面相)-사주팔자(四柱八字)-후손의 사진과 초상화-생존 후손 얼굴이라는 단계를 통하여 실제에 가깝게 재현하여 복원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지금 발달된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여 초상화를 재현할 수 있는 전문가를 찾아서 실물에 가깝게 복원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만약 본 논문의 연구처럼 이재의 초상화가 재현된다면 그의 생가(生家)와 학술대회 그리고 그와 관련된 번역서와 연구서 및 저서에 활용되어 이재 선생을 홍보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reate the portrait of Hwanf Yun-Seok. Through "Lee Jae Yeon Bo (頤齋年譜)," "Lee Jae Nan Go (頤齋亂藁)," and his experiences in officialdom, I have investigated his personality, character, records of his appearance by others, and his own observations after studying fate (四柱) and physiognomy (觀相). Additionally, based on his fate reading and insights provided by a fate expert (사주감정가), I have attempted to infer his personality and facial traits by referencing fate and physiognomy-related literature. The specific methodology involves progressing through stages such as the portrait of Lee Eun (李溵), his character, the inner disposition (心相), the outward expression (印相), facial features (面相), fate analysis (四柱八字), photographs and portraits of descendants, and the surviving descendants' faces. The ultimate goal is to locate experts who can utilize the currently advanced digital devices to reproduce portraits. Their expertise would involve restoring the portraits as faithfully as possible and leveraging them in practical applications. If Lee Jae's portrait, similar to the research in this paper, is successfully reproduced, it could be effectively employed in promoting Teacher Lee Jae through its utilization in his place of birth, academic conferences, as well as translations, research books, related literature, and authored work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록관리 관점에서 본 공공분야 페이퍼리스 동향 분석과 시사점 연구 =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paperless trends in the public sector from the record management perspective 김태영 p. 5-25

시청각 유형 보존포맷 선정을 위한 필수보존속성 연구 = A study on significant properties for selection of audiovisual type preservation format : focused on digital audio : 디지털 오디오를 중심으로 전한역, 김지혜, 김현태, 양동민 p. 27-53

정보자산의 선별 절차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lection process of information assets 김명훈 p. 55-74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일상생활에서의 정보추구행위 = International students’ everyday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in Korea 정은경, 구하린, 윤정원 p. 75-96

온라인 미디어에 나타난 혐오표현 수집 및 분석 = Collecting and analyzing hate speech in online media : focused on the "no ○○ zone" : “노○○존”을 중심으로 백지원, 김현수, 김하경, 오효정 p. 97-112

주제 특화도서관의 기능적 특성 연구 = A study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specialized libraries : focusing on the case of Kim Geun-Tae Memorial Library-Archives : 김근태기념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박태선 p. 113-131

침해사고 분석을 위한 LSTM-CRF 기반 IOC 추출 연구 = A study on IOC extraction based on LSTM-CRF for intrusion incident analysis 정혜란, 한태현, 이주영, 이태진 p. 133-145

SW·AI 에듀톤 대회 결과 기반 초·중등 예비교원의 SW·AI 교육역량 분석 = Analysis of SW and AI education capabilities of elementary and middle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W and AI eduthon competition 이용배, 김평 p. 147-166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의 초상화 재현을 위한 시론(試論) = An research on restoration of Yi Zai Huang-YunXi in Yijainangou 박순철 p. 167-181

장수향교의 건립과 특징 = The establishment and characteristics of Jangsu Hyanggyo 박정민 p. 183-202

프랑스에서 한류문화 확산 현황과 경향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the spread of Korean wave culture in France 김현태, 김건 p. 203-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