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 내 CO2와 광도에 따른 오이 및 토마토 묘의 생육 =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seedlings by different light intensities and CO2 concentrations in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윤지혜, 정현우, 황소영, 유진, 황희성, 황승재
|
p. 257-266
|
|
|
|
1-Methylcyclopropene(1-MCP)와 MAP 처리가 저온 저장 중 복숭아 ‘대홍’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and MAP on quality changes of peach ‘Daehong’ during cold storage
|
노유한, 이주환, 권용범, 최인이, 정햇님, 강호민
|
p. 267-277
|
|
|
|
상추 재배 식물공장의 환경변화에 따른 연중 에너지 요구량 분석 = Annual energy demand analysis of a lettuce growing plant facto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
최은정, 김재현, 이상민
|
p. 278-284
|
|
|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도로 식재 배치 유형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분석 = Analysis of fine dust reduction according to road planting arrangement type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이승헌, 김찬민, 김락우
|
p. 285-294
|
|
|
|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설향’ 딸기 러너플랜트의 생장과 발육 촉진 = Promo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Seolhyang’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runner plant by gibberellin treatment
|
김은지, 김치선, 정현수, 이준구
|
p. 295-301
|
|
|
|
과피색이 다양한 풋고추 과실의 성숙단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변화 = Changes in bioactive compounds throughout ripening stages of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exhibiting varied fruit skin colors
|
최효길, 정재연, 이재면, 강남준
|
p. 302-311
|
|
|
|
Changes in light transmittance of greenhouse covering materials and cucumber growth as affected by particulate matter = 미세먼지 발생에 의한 온실 피복재의 광투과율 감소 및 오이 생육 변화
|
Inseo Hong, Yoomin Ha, Yurina Kwack
|
p. 312-318
|
|
|
|
보광 광원 종류에 따른 약광기 품종별 오이 접목묘의 생육과 묘소질 및 정식 후 초기 과실 수량 = Growth and seedling quality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by different cultivars and supplemental light sources of low radiation period and early yield of cucumber after transplanting
|
최형은, 황소영, 윤지혜, 유진, 황정훈, 박은원, 구정길, 황희성, 황승재
|
p. 319-327
|
|
|
|
고추와 브로콜리 토양의 센서 전기전도도 값과 유효태 양분 함량의 관계 평가 = Evaluation of plant available nutrient levels using EC monitored by sensor in pepper and broccoli soil
|
신수경, 김정연, 박진희
|
p. 328-335
|
|
|
|
가온 하우스 재배 블루베리 ‘신틸라’에 있어서 2차 결과지의 과실 특성 = Fruit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earing shoots of blueberry ‘Scintilla’ grown in a heated greenhouse
|
천미건, 박경미, 최상우, 최성태, 윤혜숙, 김영광, 김진국
|
p. 336-341
|
|
|
|
UV-A 조사 전 CO2 농도에 따른 케일의 생육과 항산화적 페놀릭 함량 변화 = Changes in growth and antioxidant phenolic contents of kale according to CO2 concentration before UV-A light treatment
|
이진희, 오명민
|
p. 342-352
|
|
|
|
수직농장에서 광도와 광주기가 수경재배 바질의 생육 및 페놀 함량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light intensity and photoperiod on the growth and phenol contents of hydroponic basil in vertical farms
|
김선우, 박종석
|
p. 353-358
|
|
|
|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llium koreanum H.J. Choi & B.U. Oh for effective propagation = 효과적인 번식을 위한 돌부추의 종자 및 발아 특성
|
Hee Sung Hwang, Jeong Hun Hwang, Ji Hye Yun, So Yeong Hwang, Ji Eun Park, Hyeon Eui Oh, Sang Jun Lee, Jeong Mi Park, Seung Jae Hwang
|
p. 359-365
|
|
|
|
영상 및 기온 데이터 기반 배추 생육예측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kimchi cabbage growth prediction models based on image and temperature data
|
강민서, 심재상, 이혜진, 이희주, 장윤아, 이우문, 이상규, 위승환
|
p. 366-376
|
|
|
|
Sodium Nitroprusside 처리가 배추의 저온 스트레스 경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exogenous application of sodium nitroprusside on alleviation of low temperature stress in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ssp. pekinensis)
|
이진형, 위승환, 이혜진, 이상규, 강민서, 김태양, 장성회, 이희주
|
p. 377-383
|
|
|
|
Estimation of greenhouse tomato transpiration through mathematical and deep neural network models learned from Lysimeter data = 라이시미터 데이터로 학습한 수학적 및 심층 신경망 모델을 통한 온실 토마토 증산량 추정
|
Meanne P. Andes, Mi-young Roh, Mi Young Lim, Gyeong-Lee Choi, Jung Su Jung, Dongpil Kim
|
p. 384-395
|
|
|
|
농업용 네트의 폐쇄율에 따른 압력 강하 예측 = The estimation of pressure drop according to blockage rate of agricultural nets
|
염성현, 강승희, 류희룡, 윤홍기, 이우수, 유영지
|
p. 396-404
|
|
|
|
삽목 조건이 ‘설향’ 딸기의 묘소질 및 과실 수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utting condition on quality of nursery plant and fruit yield in ‘Sulhyang’ strawberry
|
이상우, 이용혁, 홍점규, 최성환, 박수정
|
p. 405-415
|
|
|
|
겨울과 봄철의 CO2 시비 토마토 온실에서 온도에 따른 CO2 농도 구명 = Determination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CO2 supplemental greenhouse for tomato cultivation during winter and spring seasons
|
최수현, 우영회, 장동철, 정영애, 윤서아, 김대현, 서호석, 최은영
|
p. 416-422
|
|
|
|
항공 살포에 의한 농약 비산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시험 농경지 구축 및 운영 =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test bench for assessment of pesticide drift by aerial application
|
박진선, 이세연, 최락영, Daniel Kenidh Favour, 홍세운
|
p. 423-433
|
|
|
|
상추잎 너비와 길이 예측을 위한 합성곱 신경망 모델 비교 = Comparison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s for lettuce leaf width and length prediction
|
송지수, 김동석, 김효성, 정은지, 황현정, 박재성
|
p. 434-441
|
|
|
|
딸기 육묘용 광폭 플라스틱 필름 온실 개발 = The development of wide-span plastic film greenhouse for strawberry seedling cultivation
|
최만권, 조명환, 신현호, 권기범
|
p. 442-448
|
|
|
|
관부 난방 시스템 적용으로 인한 고설 딸기의 재배 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출뢰, 개화 및 수확량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ltivation environment changes, the emerging budding, flowering and yields in high bed strawberry due to the application of crown heating system
|
이태석, 김진구, 한길수
|
p. 449-455
|
|
|
|
컴퓨터 비전과 과실 모델링을 이용한 멜론 과실 생장과 네트 품질의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lon fruit growth and net quality using computer vision and fruit modeling
|
윤승리, 신민주, 김진현, 방지웅, 정호정, 안태인
|
p. 456-465
|
|
|
|
범용 농지에서 코이어 폐배지를 이용한 콩의 생육 및 품질 증대 = Enhancement of the growth and quality of soybeans using wasted coir substrates on multi-purpose utilization land
|
왕신, 박지우, 이용재, 이광야, 박종석
|
p. 466-474
|
|
|
|
관수 개시점에 따른 복숭아 ‘천중도백도’의 과실 품질 및 생산성 변화 분석 = Analysis of fruit quality and productivity of ‘Kawanakajima Hakuto’ peach according to the different irrigation starting point
|
이슬기, 조정건, 정재훈, 이동용, 한점화, 장시형, 류수현, 김희태, 강상현
|
p. 475-483
|
|
|
|
플라스틱 온실 내 이산화탄소 시비에 따른 토마토 생육과 생체 반응 및 Plant-induced Electrical Signal 간 관계 분석 =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omato growth, vital response, and plant-induced electrical signal in a plastic greenhouse due to carbon dioxide enrichment treatment
|
구희웅, 이규원, 송욱진, 김도현, 박현준, 박경섭
|
p. 484-491
|
|
|
|
순환식 수경재배 멜론의 수량과 품질, 관개수 및 양분 이용 효율성 평가 = Evaluation of fruit yield and quality of netted melon, water and nutrient use efficiency in a closed hydroponic system
|
신민주, 윤승리, 김진현, 정호정, 김성겸
|
p. 492-500
|
|
|
|
기온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사과 주산지 만개일 예측을 위한 모델 평가 = Model evaluation for predicting the full bloom date of apples based on air temperature variations in South Korea’s major production regions
|
정재훈, 한점화, 조정건, 이동용, 이슬기, 장시형, 류수현
|
p. 501-512
|
|
|
|
고설베드 형태가 참외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growth and quantity according to form of high bed in cultivation of Korean melon
|
원도연, 최지혜, 백창현, 박나윤, 강민구, 서영진
|
p. 513-52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