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자전거 관광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서 도출된 다양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여러 분야 중 향후 어느 분야부터 우선적으로 양성해야 하는지 우선순위를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층화 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통하여 우선순위를 밝혔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1은 자전거 인프라 분야, 자전거 교육 분야, 자전거 이벤트 분야 순으로 도출되어 자전거 인프라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전거 이벤트 분야의 계층2는 자전거 이벤트 기획 분야, 자전거 이벤트 운영 분야, 자전거 이벤트 평가 분야 순으로 산정되어 자전거 이벤트 기획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전거 인프라 분야의 계층2는 자전거 관련 홍보 분야, 자전거 관련 시설 분야, 자전거 관련 정책 분야 순으로 도출되어 자전거 관련 홍보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자전거 교육 분야의 계층2는 자전거 고도화 개발 관련 분야, 자전거 관련 교육 분야, 자전거 관련 자격증 제도 분야 순으로 산정되어 자전거 고도화 개발 관련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유소년 생활체육 태권도의 인성교육 프로그램 분석 연구 = Study o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Chinese youth leisure sports taekwondo 유설함, 진승태 p. 1-18

자전거 관광 문화 확산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분야의 우선순위 산정 = Prioritise areas for training professionals to promote tourism culture 박수정, 서호정, 문승현 p. 19-37

체육학 분야의 가상·증강현실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i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김의재 p. 39-56

산림레포츠 참여자의 웰빙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소비행동 분석 = Analysis of physical self-concept and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well-being lifestyle of forest leports participants : focusing on forest plogging activities : 산림 플로깅 활동을 중심으로 홍선옥, 강현욱 p. 57-77

빅카인즈를 활용한 ‘플로깅’ 트렌드 분석 = Analysis on ‘plogging’ trends using BIG Kinds 오경아, 나규민 p. 79-98

초등학생 태권도 관여도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aekwondo involvement on school happiness in Korean elementary schoolers : the mediating role of confidence : 자신감의 매개효과 강형길 p. 99-112

20대 청년들의 여가대처전략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Leisure coping strategies of young adults in their 20s impact on grit 전세현, 박지원 p. 113-129

해양레저 이용자의 시각적 레저환경 시뮬레이션을 통한 혼잡지각 연구 = A study on effect of visual stimulation of user of marine leisure’s perceived crowding 현재민 p. 131-153